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21:26:36

창원 정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60><tablebordercolor=#ece5b6> 昌原 丁氏
창원 정씨
}}}
관향 <colbgcolor=#fff,#191919>경상남도 창원시
도시조 정덕성(丁德盛)
시조 정진(丁晉)
중시조 정연방(丁衍邦), 정관(丁寬)
집성촌 전라남도 곡성군여수시
전라북도 장수군
경상남도 의령군
인구 31,687명(2015년)

1. 개요2. 상세3. 집성촌4. 항렬5. 인물6. 여담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창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2. 상세

창원 정씨(昌原 丁氏)는 선 창원파(先 昌原派)와 후 창원파(後 昌原派)의 양파(量派)로 나뉘어 진다.선창원정씨( 先 昌原丁氏)는 고려(高麗) 때 상호군(上護軍)을 지낸 정연방(丁衍邦)을 중시조(中始祖)로 하고 있다. 그의 선계(先系)인 정필진(丁必珍)이 고려(高麗)에 공(功)이 있어 의창군(義昌君)에 봉(封)해져 후손(後孫)들이 창원(昌原)에 세거(世居)하게 되었다. 그 후(後) 19세손(世孫)인 정연방이 출세(出世)하자 그를 중시조(中始祖)로 삼고 본관(本貫)을 창원(昌原)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후 창원정씨(後 昌原丁氏)는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때 정난일등공신(靖難一等功臣)에 오른 정관(丁寬)을 중시조(中始祖)로 하고 있다. 그 후(後) 창원군(昌原君)에 봉(封)해져 후손(後孫)들이 본관(本貫)을 창원(昌原)으로 하고 후 창원정씨(後 昌原丁氏)라 하였다. 후(後) 창원파(後昌原派)가 된 연유는 정관(丁寬)과 정연방(丁衍邦)이 같은 23세손(世孫)인데, 정필진(丁必珍)의 득관조(得官租)가 3세손(世孫)이기 때문이라 한다.

선창원파(先昌原派)는 부승공파(副承公派),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사정공파(司正公派)

후창원파(後昌原派)는 직장공파(直長公派), 현령공파(縣令公派), 창랑공파(滄浪公派)로 나뉘었다.


3. 집성촌

-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갑을리

- 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 뇌죽리

- 전라남도 여수시 웅천동

-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사계리

-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봉서리

4. 항렬

5. 인물

이름 생몰년도 비고

6. 여담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