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0:54:48

부산 버스 1009

창원 버스 1009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개편 전 가덕도 선창과 덕천을 잇는 노선에 대한 내용은 부산 버스 1009-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해결방안 문단 삭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해결방안 문단 삭제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도시
고속
3001 3002 3003 3004
3005 3006 3007 3008
급행
(공항)
2029[A][C][E]
급행
(직행좌석)
2000[C][D]
급행
(일반좌석)
1000 1001 1002 1003
1004[A] 1005[B][C] 1006[A][C] 1008[A]
1009[B] 1009-1[A] 1011[A][C] 1012[B]
좌석 58-1[A] 20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E] 임시노선
}}}}}}}}} ||
파일:부산 버스 1009H.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
3.1. 구.126-1번
4. 특징
4.1. 2기(강서공영차고지~가덕도선창~명지환승센터)4.2. 비판4.3. 시간표4.4. 연간 일평균 승차량4.5. 노선
5. 둘러보기

1. 개요

금진여객에서 운행하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3.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09 노선도.svg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지법서부지원.지검서부지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20
막차 21:00 막차 22:25
배차간격 90~140분(1일 10회)
운수사명 금진여객 인가대수 2대
노선 강서공영차고지 - 삼성전기후문 - 농심 - 부산항홍보관 - GW코퍼레이션[단독] - 신항서문입구 - 부산신항만 - 선창마을 - 부산신항만 - 신항서문입구 - GW코퍼레이션[단독] - 부산항홍보관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119안전센터[단독] - 르노코리아남문[4] - 퀸덤1.2단지 - 명지롯데캐슬아파트 - 명지환승센터 - 지법서부지원.지검서부지청 - 이후 역순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3. 역사

파일:부산 1009 노선도.jpg}}}

3.1. 구.126-1번

4. 특징

===# 1기(금곡동~공항~명지~가덕도선창) #===

4.1. 2기(강서공영차고지~가덕도선창~명지환승센터)

4.2. 비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 버스 1009/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시간표

기점 기준 종점 기준
05:00 06:20
06:30 07:50
08:30 09:50
10:00 11:20
12:00 13:20
13:30 14:50
15:40 17:00
17:10 18:30
19:30 20:50
21:00 22:20

4.4.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840.29
2015년 955.57 △ 115.28
2016년 977.29 △ 21.72
2017년 1084.71 △ 107.42
2018년 1133.42 △ 49.71
2019년 1134.71 △ 1.29

4.5.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9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법서부지원.지검서부지청
12496
지법서부지원.지검서부지청
12495
명지환승센터
12560
명지환승센터
12503
명원초등학교
12537
명원초등학교
12538
행복마을
12278
행복마을
12277
남명초등학교
12279
남명초등학교
12276
롯데캐슬아파트
12280
롯데캐슬아파트
12275
퀸덤3단지
12281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12274
퀸덤1.2단지
12282
퀸덤1.2단지
12273
신호대교
12391
신호대교
12390
르노자동차남문
12522
르노자동차남문
12525
신호119안전센터
-
신호119안전센터
-
송정초등학교
12516
송정초등학교
12517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12265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12264
경제자유구역청사거리
12245
경제자유구역청사거리
12246
부산항홍보관
12300
부산항홍보관
12301
세방물류
13393
세방물류
12392
동방물류센터
-
동방물류센터
-
GW코퍼레이션
-
GW코퍼레이션
-
지앤지
-
크로스독
-
신항국제물류
-
신항국제물류
-
신항서문입구
12369
신항서문입구
12370
글로벌물류센터
12371
글로벌물류센터
12372
부산신항만
12064
부산신항만
12065
부산신항다목적터미널
12292
부산신항다목적터미널
12291
현대상선
12290
현대상선
12289
선창
-
선창
-
현대상선
12289
현대상선
12290
부산신항다목적터미널
12291
부산신항다목적터미널
12292
부산신항만
12065
부산신항만
12064
글로벌물류센터
12372
글로벌물류센터
12371
신항서문입구
12370
신항서문입구
12369
신항국제물류
-
신항국제물류
-
크로스독
-
지앤지
-
GW코퍼레이션
-
GW코퍼레이션
-
동방물류센터
-
동방물류센터
-
세방물류
12392
세방물류
13393
부산항홍보관
12301
부산항홍보관
12300
경제자유구역청사거리
12246
경제자유구역청사거리
12245
농심
12256
농심
12257
동아밸브
12570
동아밸브
12569
삼성전기후문
12568
삼성전기후문
12567
대한제강
12566
대한제강
12565
강서공영차고지
12561
강서공영차고지
12562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가덕해안로
현대상선 ▼▲ 선창
신항남로
글로벌물류센터 ▼▲ 부산신항만
신항로
▲ 신항 서문입구
신항5로
크로스독 ▼▲ 지앤지
신항북로
경제자유구역청사거리 ▼▲ 부산항홍보관
녹산산업대로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르노대로
신호산단1로
송정초등학교 ▼
신호산단4로
삼성자동차남문 ▼▲ 신호119안전센터
신호산단1로
▲ 삼성자동차남문
르노대로
신호대교 ▼
명지오션시티1로
퀸덤아파트1.2단지 ▼▲ 신호대교
명지오션시티10로
▲ 퀸덤아파트1.2단지
명지오션시티2로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
명지오션시티11로
행복마을 ▼▲ 남명초등학교
명지오션시티1로
명원초등학교 ▼▲ 행복마을
명지국제3로
더에듀팰리스부영 ▼▲ 법원검찰청사거리
}}}}}}}}} ||

5.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창원시 버스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시내 ·······
시외 ·······
공항
각 지자체간 광역환승할인제 미도입으로 창원 - 부산 상호 간 대중교통 환승 시 할인 되지 않음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용원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3002 3006
<colbgcolor=#5fbf15> 지선 305 315 325[b]
마을 352[b] 353
부산 급행 1009[a]
부산 좌석 58-1
부산 마을 강서1[a] 강서1-1[a] 강서9-1[ab]
[a] 청안동 미경유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명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1005 1009 1009-1 1011[A]
2000[A]
좌석 58-1
일반 3 55-1 55-2 58
58-2 61 122 124
128-1 161[B] 171 520
마을 강서 8 강서 20 강서 21 강서 22
김해 220[B] 914
[A] 르노삼성대로만 경유하는 노선 [B] 낙동남로만 경유하는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가덕도 경유 버스 노선


[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단독] [단독] [4] 신호산단1로상에 위치한 단독 정류장에 정차한다.[5] 삼진여객 차량은 1009번의 금곡동 ~ 김해공항 구간을 대동화명대교 경유로 변형한 1012번 차량으로 운행하고 있고, 성원여객 차량은 강서공영차고지 개장과 동시에 신설된 122번 차량으로 운행하고 있다. 또한, 급행버스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6] 신호산단4로가 아닌 신호중학교가 위치한 신호산단1로로 운행될 예정이다.[7] 상황에 따라선 30분 이내로 좁혀진 적도 없지 않아 있다.[8] 107km. 게다가 성원여객과 금진여객은 차고지가 있는 김해에서 공차회송을 했기 때문에 길이가 더더욱 길었었다.[9] 안그래도 1009번은 김해공항, 서부산유통지구, 명지국제신도시, 명지오션시티, 신호주거단지를 거쳐가면서 굴곡이 심했는데 금곡동 아파트단지까지 경유했다면...[10] 다만 성원여객과 금진여객은 김해에서 금곡동까지 공차회송을 했기 때문에 2000번을 훨씬 능가하는 길이였다.[11] 해운대-영선동 간을 운행했던 109번이 폐지된 지 오래이므로 써도 무방하다.[12] 그러니까 1009번 좌석버스 노선에 일반버스 차량을 투입하는 건 불법이지만 109번 일반버스 노선에 일반버스 차량을 투입하는 건 합법이라는 것이다.[13] 그나마 옆 동네보다는 낫다. 거기는 급행, 좌석에 저상버스까지 배차를 하며, 요금은 좌석 요금 그대로 받는다.[14] 이 두 노선 또한 배차간격이 짧은 간격이 아니지만 요금 면에서는 메리트가 있기 때문에 김해공항 시설 직원이나 승무원들이 주로 이용한다.[15] 출퇴근 시간대에는 이 정류장에서 승객 수요가 대거 발생했다.[16] 금진여객끼리, 삼진여객끼리, 성원여객끼리 몰려다녔다.[17] 신호주거단지와 명지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로 인해 접촉자들이 강서브라이트센터(부산 강서보건소)로 코로나 검사를 받으러 가면서 수요가 그나마 조금이라도 늘긴 했다. (예: 중흥1차.부영동문 -> 덕두시장) 그래도 강서구에서 사상구와 사하구를 경유하여 강서구를 가는 그 노선보다는 낮다.[18] 근데 555번은 1일 6회(출근 3회, 퇴근 3회)만 운행하기 때문에 적자가 매우 심했었다. 이 때문에 2021년 1월 16일에 폐선됐다.[19] 급행노선의 취지답게 금곡주공아파트를 미경유하고 금곡대로를 직통하여 와석교차로, 화명역까지 논스톱으로 운행하는데 금곡주차장의 경우 금곡주공1단지 아파트 주민들의 수요로만 연명하는 수준이었으며 덕천역까지 빠르게 갈 목적이라 해도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 효과가 반감되었다.[20] 131번, 138-1번, 168번과 비슷했다. 금진여객, 성원여객의 경우 공차거리까지 합하면 대략 왕복 150~160km로 2000번의 길이를 압도적으로 뛰어넘은 것은 물론이고 1002번, M5438번, M6450번, G2001번, 303-1번이랑 맞먹거나 더 길었다.[21] 다만 녹산산업대로로만 운행하니 환승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22] 그나마 화명동까지는 승객이 있지만 화명동을 지나면 텅 비는 수준이였다.[23] 비슷한 운송수입금을 기록하는 노선으로는 1011번이 있다. 그런데 1011번은 3천명 넘게 이용하지만 환승 수요가 대부분이라 수입금이 매우 낮은 노선이다. 심지어 승객 수는 늘었어도 운송수입금은 하나도 오르지 않았던 때가 있었다.[24] 창원시 진해구로 잠깐 들어갔다 나오기는 하지만 가덕대교, 눌차대교를 이용하지 않으며 신항 내 물류단지를 거쳐 이동해야 하는데, 부산신항 매립지 지역의 부산과 경남 간 행정구역 소송 후 경계가 전체적으로 조정되며 잠시 통과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25] 게다가 1기 노선은 107km로 어마무시한 초장거리노선이였기에 체감상 더욱 짧아보이기도 한다.[26] 그러나 정작 노선 길이는 1000번, 1006번보다도 길다. 이는 가덕도 구간을 왕복 운행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