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7:34:02

진필식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파일:정부상징.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외교부 제1차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외무부차관 (1948~1998)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고창일
제2대
조정환
제3대
박암
제4대
갈홍기
제5대
조정환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허정 내각 <nopad> 장면 내각
제6대
김동조
제7대
최규하
제8대
이수영
제9대(정무)
우희창
제9대(사무)
김용식
<nopad> 장면 내각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박정희 내각
제10대(정무)
김재순
제10대(사무)
이수영
제11대
박동진
제12대
이원경
<nopad> 김현철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제13대
최문경
제14대
정일영
제15대
문덕주
제16대
김영주
제17대
진필식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제18대
윤석헌
제19대
노신영
제20대
윤하정
제21대
이민용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22대
김동휘
제23대
노재원
제24대
이상옥
제25대
오재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26대
박쌍용
제27대
신동원
제28대
유종하
제29대
노창희
<nopad> 문민정부
제30대
홍순영
제31대
박건우
제32대
이시영
제33대
이기주
외교통상부차관 (1998~2005)
<nopad> 국민의 정부
초대
선준영
제2대
반기문
제3대
최성홍
제4대
김항경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nopad> 참여정부
제5대
김재섭
제6대
최영진
제7대
이태식
외교통상부 제1차관 (2005~2013)
<nopad> 참여정부
제8대
이태식
제9대
유명환
제10대
조중표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nopad> 이명박 정부
제11대
권종락
제12대
신각수
제13대
박석환
제14대
안호영
외교부 제1차관 (2013~현재)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초대
김규현
제2대
조태용
제3대
임성남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4대
조현
제5대
조세영
제6대
최종건
제7대
조현동
<nopad> 윤석열 정부
제8대
장호진
제9대
김홍균
외교부장관 · 외교부 제2차관
}}}}}}}}}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장면 내각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손원일
제2대
전규홍
제3대
신응균
제4대
최덕신
제5대
김영주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6대
진필식
제7대
이창희
제8대
이문용
제9대
송광정
제10대
정순근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11대
신정섭
제12대
신동원
제13대
김태지
제14대
홍순영
제15대
이기주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16대
황원탁
제17대
권영민
제18대
이수혁
제19대
최정일
제20대
문태영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21대
김재신
제22대
이경수
제23대
정범구
제24대
조현옥
제25대
김홍균
<nopad> 윤석열 정부
제26대
임상범
}}}}}}}}}
파일:진필식.jpg
<colbgcolor=#043762><colcolor=#fff> 성명 진필식 (陳弼植)
출생 1923년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반곡리
(現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
사망 2008년 8월 23일 (향년 85세)
학력 공주중학교 (졸업)
경성제국대학 예과 (문과 / 수료)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학사)
주요 약력 주일대표부 참사관
한일회담 대표
주중대사관 참사관
외무부 통상국장
외무부 정무국장
주홍콩총영사
주칠레 대한민국대사
제17대 외무부차관
주캐나다 대한민국대사
주서독 대한민국대사

[clearfix]
1. 개요2. 상세3. 가족

1. 개요

대한민국외무관료. 외무부차관, 주캐나다대사 및 주서독대사를 역임. 본관은 여양.

2. 상세

1923년 충청남도 연기군 출생. 1942년 3월 공주중학교 졸업 후, 1943년 4월 경성제국대학 예과 제20회(문과)로 입학하여 대학예과 과정을 수료하였으나, 일제에 의해 학병에 동원되었다. 8.15 광복을 중국에서 맞은 그는 한국광복군항주지대 소대장을 맡았으며, 귀국 후에는 국립서울대학교로 개편된 모교에 복학하여 1948년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1]

1948년 정부 수립 후 출범한 외무부에 주사로 임용되어[2] 조사국 정치조사과 계장에 발령받아 외교관으로서 커리어를 시작하게 된다. 이듬해인 1949년 5월 통상국 정책계장, 8월 정무국 구미(歐美)계장을 거쳐 1950년 정무국 정책계장에 보임되었다. 6.25 전쟁 중인 1952년 7월에는 주샌프란시스코총영사관 부영사로 부임하여 도미했고, 1954년 7월에는 주로스앤젤레스총영사관 영사(총영사대리)가 되는 등 미주 지역에서 초기 경력을 쌓았다.

1955년 10월 귀국하여 본부 방교국 전례과장에 앉았고, 11월 정무국 제3과장을 거쳐 1956년 3월 정무국 아주과장에 보임되었다. 1957년 6월 주일본대표부에 발령되어 1등서기관, 정무참사관을 역임하였는데 재일동포 북송 문제에 대처했고 한일회담 대표를 수행했다.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1960년 2월 본부 통상국장을 거쳐 4.19 혁명으로 집권한 장면 정부에서 1960년 11월 제5회 한일회담 대표로 임명되어 대학교 대선배인 유진오 수석대표를 모시면서 실무 책임자 역할을 맡았다.

5.16 군사정변으로 장면 내각이 전복되자, 1961년 6월 타이베이의 주중국대사관 참사관으로 발령 받았다. 이후 본부로 복귀하여 1962년 4월 정무국장, 1963년 2월 기획조정관 등 요직을 거쳐 1963년 9월 주제네바대표부 공사로 영전했다. 그러나 군인 출신들에게 제네바 공사 자리가 넘어가면서 1964년 10월 주홍콩총영사로 강등성 전임되었고, 1966년 10월에는 주칠레대사로 부임하는 등 우방국 공관장을 역임하였다. 이윽고 1967년 9월에 44세의 나이로 외무부차관에 임명되었다(#). 이 때 진필식은 해방 이후 외무부에서 최초로 대사 경력을 가진 상태로 부임한 차관이었다고 한다. 차관 재직 시 푸에블로호 피랍사건을 겪었다.

1969년 12월 주캐나다대사로 발령 받은 그는 재직 시절 캐나다의 주한 상주대사관 개설 및 CANDU 원자로의 한국 수입을 성사시켰다. 1974년 1월에는 주서독대사로 부임하는 등, 냉전 시기 주요 서방국 대사를 역임하였다. 그러나 시국 문제로 당시 정부와 갈등을 겪은 끝에, 1975년 서울로 소환되어 서독대사에서 전격 경질되었고 동년 7월 외교부에서 퇴직했다.

은둔생활 끝에 그는 1979년 미국을 경유하여 자신이 대사로 재직하기도 했던 캐나다로 망명성 이민을 선택하였고, 이후 캐나다에서 슈퍼마켓, 모텔 경영 등 소매업에 종사하였다. 2008년 8월 23일 캐나다 노스욕 종합병원에서 사망했다.

3. 가족

부인 이덕경과의 슬하에 2남3녀를 두었다.

장남 진병직은 토론토 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2006년 캐나다화학협회(CSC)에서 수여하는 버나드 벨루상을 수상했다(#).

차남 벤 진(Ben Chin, 한국명 진병규)은 캐나다의 현역 정치인이다. 뉴스 앵커로 인기를 얻은 그는 2006년 캐나다 자유당 후보로 연방 총선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현재 총리 쥐스탱 트뤼도의 수석 고문으로 재직 중이다.

장녀 진병연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회사를 운영하고 있고, 차녀 진병희는 재미 사업가로, 3녀 진병진은 약사로 활동 중이다.

[1] 동기생으로 채문식 전 국회의장, 박준규 전 국회의장, 박한상 전 국회의원 등이 있다.[2] 당시는 고등고시 제1회가 시작되기 전으로, 장철수 초대 정무국장이 일제 외무성 조직을 본 따 조직을 구성했는데 과장급 이상은 전부 일제강점기에 제국대학을 나와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해 판검사 또는 군수로 있던 사람들이었고, 대학 졸업자는 예외없이 서기 직급으로 발령받았으나, 진필식 본인은 입부 시험 성적이나 경성제국대학 출신이라는 점이 감안되었는지 24세의 신입임에도 주사 직급으로 임용되어 주변의 시기와 질투를 받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