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56:15

음슴체

1. 개요2. 명칭3. 형식4. 시제 불확실성5. 용례
5.1. 개조식 문체5.2. 군대 무전 말투5.3. 방언 및 역사적 용법5.4. 노래에서
6. 대우법 논란7. 여담8. 창작물에서 음슴체를 쓰는 캐릭터9. 표제어가 음슴체인 문서10. 참고 자료

1. 개요

종결형이 명사형 어미 '-()ㅁ'인 문체이다. 본래 동사명사화할 때 쓰는 종결어미 '-(으)'에서 기인한 문체이다.

2. 명칭

'음슴체'라는 명칭은 '먹음', '있음[이씀]' 등 일반적으로 표면형이 '음'과 '슴(씀)'으로 끝나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해체, 해요체 등 기존 문체 명칭과 유사하게 한다면 '함체'가 될 것이다. 엄밀히 말하자면 '하십시오체', '하게체' 등 이런 문체 명칭은 명령형 형식에 '-체'를 붙이는데 음슴체는 그 특유의 생략적 어법상 명령형에 해당하는 형식이 불분명한 편이다. 학술적으로는 주로 "'-(으)ㅁ' 종결문"이라고 한다.

3. 형식

문체 이름 그대로 '~음'으로 끝난다. 다만 표준어법에서 '-슴'으로 쓸 수는 없다.[1] 다만 반드시 '-음'으로만 끝나는 것은 아니고 동사의 종류에 따라 형태는 바뀔 수 있다. 어쨌거나 명사형 어미 '-ㅁ'을 쓰므로 종성이 ㅁ으로 끝난다.

명사 종결문도 흔히 같이 쓰인다. 엄격히 음슴체로 가자면 이때에도 '-임.'으로 써야 할 것이다.

'- 듯', '- 듯'으로 끝나는 말투도 자주 쓰인다.

하셈'도 음슴체로 볼 여지가 있다. 단, 엄밀히 비교해보자면 하셈체는 다소 최근에 등장한 편이며 다른 음슴체가 어간에 '-ㅁ'이 결합하는 데에 비해 '하셈'은 '하세'가 어간은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기원적으로 'ㅓ'가 붙은 상태에서 ㅁ이 결합한 '하삼' 따위에서 변한 듯하다. 어쨌든 어간 + '-ㅁ' 류의 음슴체에는 명령형이 없으므로 '하셈'이 명령형의 용법으로 자주 쓰이곤 한다.

4. 시제 불확실성

명사형 어미 '-ㅁ'은 기본적으로 시제 형식이 잘 결합하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음슴체에서도 그렇다. '-ㅁ'이 전체에 결합할 수 있게 발달함("그가 학생이었음을 깨달았다" 등)에 따라 '-음', '-ㄹ 것임'과 같이 시제 형식이 결합한 형식이 종종 나타나기도 하나 그렇지 않은 문장이 흔히 나타난다. 이러한 시제의 모호성 때문에 대화할 때에 의미 해석에 차이를 빚는 경우가 많다.[2] 예시로 '다녀옴'이 쓰이는 경우 '다녀오겠다'의 의미로도, '다녀왔다'의 의미로도 '나 어디 다녀옴'이라고 쓸 수 있는데 읽는 입장에서는 두 의미 중 어떤 의도로 쓴 것인지 알기 어렵다.
A: 나 친구 만남 (만났다[직전 과거] / 만나고 있다\현재진행] / 만난다[직후 미래])
B: 뭔 얘기 했는데 ([직전 과거]의 의미로 오해)
A: 아니 이제 만남 ('이제'를 써서 [현재진행] 혹은 [직후 미래]의 의미임을 확정)
다만 오늘날에 '-ㄴ/-ㄹ ' 문형 가운데 '-ㄹ 것'이 더 활발하게 쓰이면서[3] '-ㄹ'의 시상적 특성으로 다소 미래적인 것을 다루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에 대조되어 '-ㅁ'은 약간 과거에 쓰이는 용례가 있다. 예컨대 '학원 감'이라고 하면 미래라면 대체로 '학원 갈 것'이라고 할 것이기 때문에 '학원 감'은 대체로 과거로 해석된다. '지금 운동함', '곧 감'과 같이 [현재], [미래]를 나타내는 부사가 있으면야 어떻게든지 해석될 수 있다. [미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대개 현재형이 나타낼 수 있는 [미래] 범위와 유사하게 [직후 미래] 정도를 의미한다. 예시의 문장에서도 '나 친구 만남'이라고 하면 인제 곧 만난다는 뜻으로 이해하지, 1년 후에 만나는데 저렇게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과거] 역시 먼 과거를 나타내기보다는 특히 막 완료된 [직전 완료\]의 [과거] 사건을 주로 가리킨다고 한다(장경현 201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2
, 2.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2 (이전 역사)
문서의 r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용례

구조적 한계로 인해서 표현할 수 있는 의미가 다소 제한된다. 음슴체의 기능은 주로 통보에 있으며 명령과 같은 기능은 '하셈'과 같이 음슴체와는 약간 다른 표현, 혹은 '-기 바람'과 같이 다른 동사를 활용해주는 수밖에 없다. 이러한 기능의 제약으로 인해서 필연적으로 투박하다는 인상을 준다. 실제로 아래의 용법들을 보면 평범한 대화보다는 신속한 정보 전달이 중요한 환경(보도 자료, 군대 무전 등)에 특화되어있다. 기계 같은 인상을 주는 것 역시 이 때문이다.

자기 의견이나 추측을 강력하게 표명하긴 좀 그렇지만 뭔가 한 마디는 하고 싶을 때, 남들하고 의견 충돌을 피해서 넌지시 말해보려는 용도로 자주 쓴다. "그건 좀 아닌 듯"처럼 비꼬는 말투에도 쓰이며 위키에서도 종종 보인다.

일반적으로 존댓말을 쓰기도 어색하고 반말을 쓰기도 어색한, 익명성이 강한 인터넷 공간에서 자주 쓰이는 말투이다. 아예 디씨처럼 반말을 사용하는 커뮤니티는 아니고 그렇다고 존댓말을 기본으로 써야 하는 커뮤니티가 아닌 중간 단계의 커뮤니티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어투. 별 관심없는 이성 사이에서도 종종 보인다.[4]

오프라인 대화에서는 온라인에서만큼 흔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기본적으로 반말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윗사람이나 낯선 사람들에게 쓰기 힘들고, 앞서 언급했듯 투박한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입말로는 주로 남자들 사이에서 쓰이는 편이다.

나무위키 편집 코멘트로도 종종 쓰인다. 이 역시 편집 코멘트는 대화의 용도가 아니라 편집의 목적을 알리는 통보에 주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딱딱한 어조이기에 거부감을 줄 위험이 있다. 한편 문서 내 서술에서는 '~듯.', '~때문.', '~라고.' 등의 생략형이 자주 쓰이기는 하나 음슴체는 그리 흔히 보이지 않는다.

아래 창작물의 예시에서도 보듯 기계적인 인상을 준다는 점을 활용해 기계 캐릭터나 무미건조한 캐릭터가 음슴체를 쓰곤 한다.

5.1. 개조식 문체

정부부처, 공공기관에서 유통되는 공문서나 일반적인 보고서 등에서 사용되는 개조식 문체는 근본적으로 음슴체와 큰 차이가 없다. 단, 개조식은 기본적으로 문장의 간결함을 꾀하며, 서술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나 가치판단이 배제된 단순 정보전달의 목적을 보다 경제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서술 방식인 반면, 음슴체는 그러한 목적과의 뚜렷한 연관이 없더라도 어떤 문장이든 명사화 시켜 끝내면 성립하게 된다. 따라서 문단 제목마다 일일이 '~임'을 붙이지 않아도 성립이 가능하다.

개조식은 과도한 조사 생략 등으로 오히려 전달력이 저하되는 부작용이 있는바,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그 사용이 배제되고 있는 추세인데 반해 인터넷 상에서는 갈수록 활용 빈도가 늘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5.2. 군대 무전 말투

"8월 22일 제1대대는 목표인 유학산우측고지를 점령하기 위하야 대대장을 선두로 돌격전[5]으로 목표지점 20미터 전방에서 맹렬히 격공하였음 적의 유리한 지형으로 인하야 일시 저지당함 계속하야 22시 대대장이하 전대원이 결사적으로 전후를 각오하는 수류탄을 엄호할 육박공격을 감행 익일[6] 2시 악전고투(惡戰苦鬪)하든 유학산을 완전점령확보함"
《제1사단 11연대 수암산 유학산지구전투상보》中 #(706쪽)
군대에서 무전기전보로 대화를 하게 된다면 평서문에는 이 개조식 문체(음슴체)를 사용한다. 이는 군용 무전의 특징인 간결성을 위한 규정이다. 바로 이 때가 일개 사병이 대대장님과도 말을 놓을 수 있는 유일한 기회.

단, 경찰, 소방, 항만청 등 군 외부와 교신할 때에는 반말하냐고 욕 먹을 수 있으니[7] 가능한 한 존대해야 한다. 이들은 군인과 협업하고 있더라도 민간인 신분이기 때문이다.

상황이 상황인 만큼 인터넷 문체 명령형인 '-셈'은 쓰이지 않는다. 명령형을 써야 하는 상황에서는 '- 바람'을 사용한다.

5.3. 방언 및 역사적 용법

5.4. 노래에서

그속에 빠져 사랑이란 배고픔 느끼지를 못한 나의 깨달음.
처음으로 누군가룰 사랑했음 그런다음
모든 것은 끝나 이제 남은 것은 그리움
돌이킬 수 없음 소중한 믿음 그것 져버렸던 너의 맘||

6. 대우법 논란

음슴체의 낮춤말(반말)[8] 여부는 오랫동안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는데, 그 이유는 음슴체가 문법적으로 존댓말도 아니고 반말도 아닌 애매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최근의 한 설문에 따르면 '윗사람에게 쓸 순 없지만, 아랫사람보다는 동등한 사람에게 더 적합하다'라고 답한 이가 다수를 차지했다고 한다. 그럴 만도 한 게 완전히 아랫사람에게는 대체로 해체를 쓰는 데에 큰 부담을 느끼지 않기 때문이다.

7. 여담

한국 라이트노벨/웹소설2010년대 들어 문장형 제목 작품들이 많은데, 주로 판타지 작품에서 음슴체 제목을 자주 쓴다고 한다. 아래에도 나오는 주인공이 힘을 숨김이 대표적인 예이다. 로맨스 판타지에서는 하십시오체를 좀 더 선호하여 약간 차이를 보인다는 모양이다. 그리고 라이트 노벨에서는 '합니다만?' 하고 반문을 한다고.#

현대 한국어에서 문장 전체를 명사화할 수 있는 어미로는 '-(으)ㅁ' 외에 '-'가 있는데, '-기'는 '-(으)ㅁ'에 비해 대화체로 널리 쓰이지 않는다. 간혹 '있기 없기?', '그렇게 하기!' 같은 표현을 쓸 때도 더러 있기는 있다.

파일:attachment/음슴체/음슴체.png
음슴체로 쓴다고 해서 길게 내용이 있다고 기대하게 만들고 남친이 없다고 '음슴'으로 끝내는 유머도 있다. 여기서 변형되어 '남친(또는 여친)이 음스므로 음슴체로 쓰겠음' 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8. 창작물에서 음슴체를 쓰는 캐릭터

9. 표제어가 음슴체인 문서

10. 참고 자료



[1] '없음'을 조금 변형해 '음슴'이라고 쓸 때도 있긴 있다. 이 역시 표준어법은 아니다.[2] 특히 음슴체는 온라인에서 자주 쓰이는데, 온라인의 문자언어 대화 환경에서는 억양이나 대화 맥락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더욱 어려움을 빚곤 한다.[3] '타는 물건'은 '탈것'이라고 하지, '타는 것'이라고 하지 않는다.[4] 웹을 찾아보면 타는 사이끼리 음슴체는 별로라는 글이 보인다. 반대로 그런 사이가 아니면 종종 쓰인다는 것이다.# 평소에 아예 안 쓰는 말투면 '썸 탈 때 쓰지 말아야 하나' 고민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5] 수류탄투척[6] 다음날[7] 작전 수행이나 훈련 중일 테니 무전기에 대고 욕을 할 가능성은 낮지만 만약 이 외부 사람이 업무 끝나고 반말 갖고 군에 민원이라도 넣으면 나중에 업무 끝나고 담당자에게 불려가 야단맞을 수 있다.[8] 반말은 흔히 '-어' 계열 어미로 대표되는 낮춤말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어'와 같은 어미는 본래 '-어 <동사>' 류에서 축약된 것이기 때문에 '축약되었다'라는 의미에서 '반말'(半말)이라고 한 것이 용어의 유래이다. 그런 유래로부터 생각했을 때 음슴체는 형식 자체는 여전히 명사형과 동일하고 축약을 거치지는 않았으므로 반말은 아니다. 여기서 반말 여부를 따지는 것은 흔히 우리가 반말이라고 부르는 어형들에서처럼 낮춤말이냐 하는 점이다. 여담으로 오늘날 하게체 역시 하야쎠 체의 축약형, 즉 반말로부터 유래했고 중세 한국어에서 "반말체 어미"라고 하면 이들 어형을 말한다. 이 반말이 형성되던 16~18세기에는 오늘날 말하는 '-어' 꼴의 반말이 아직 생겨나지 않았다. 오늘날 "말이 짧다 = 예의가 없다" 라는 인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비단 한국어뿐 아니라 언어 전반적으로 격식어는 좀 더 길고, 비격식어는 짧은 경향이 있기에 '축약어'를 의미하는 '반말'도 대체로 비격식어로 변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9] 여담으로 20세기 초에 소설 지문으로 '-더라'가 쓰이던 것이 '-었다'로 변모한 것은 '--'이 '-더-'와는 달리 화자를 상정하지 않는 중립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이지영 2019:12). 김효진(2020:226)에서 당시 소설의 지문은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김동인이광수의 소설에 아직 남아있는 '-더라', '-이러라', '-이로다' 등과 같은 종결어미를 비판했던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10] 다만 이건 번역가의 오역이다. 때문에 많이 까였다.[11] 같은 작품에 나오는 데하카 또한 ~닭으로 끝나는 문체로 유명하다.[12] 더빙판 한정. 일본어 원판에서는 한국어에만 있는 음슴체는 안쓰고 그냥 어미를 으로 끝낸다. 참고로 구판 육가네 6쌍둥이에서는 어미를 쌈바로 끝냈다.[13] 더빙판 한정. 일판에서는 하오체를 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