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56:06

은하영웅전설/용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은하영웅전설
파일:은하영웅전설 Die Neue These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등장인물

등장인물 · 기타 인물 · 인물 이름별 분류
설정

용어 · 세력 · 지명 · 역사 · 함선 · 함선일람
미디어 믹스

코믹스(미치하라 카츠미, 후지사키 류(변경사항)) · OVA · 게임 · 연극 · 오디오북 · 은하영웅전설 Die Neue These(변경사항)
기타

발매 현황 · 비판 · 작가 · 2차 창작

1. 개요2. 법령 및 조약3. 역법, 기년법4. 통화5. 군사기술6. 군사7. 정치기구 및 정당8. 기업9. 오락10. 서적11. 기타

1. 개요

은하영웅전설에 등장하는 용어를 정리한 문서. OVA에서만 등장하는 용어는 ★로, DNT에서만 등장하는 용어는 ☆로 표기함.

2. 법령 및 조약

3. 역법, 기년법

4. 통화

5. 군사기술

6. 군사

6.1. 계급

원서에서 계급은 구일본군 육군의 계급과 유사하며 번역은 대부분 한국군 계급이다. 준위는 한국군과 미군처럼 부사관도 장교도 아닌 준사관이라는 별도의 구분이 아니라, 영국군과 구일본군 처럼 부사관(원서에서 하사관)에서 가장 높은 계급이다.
계급외에 원서에 등장하는 군속([ruby(軍属, ruby=ぐんぞく)], 군조쿠)은 주로 군무원으로 번역되지만, 한국군의 군무원과는 달리 복장도 군인과 동일하고 전투에도 참가하는 등 군인과 별다른 차이점이 없다. '병장 대우', '하사(오장) 대우'라는 식으로 계급도 있으며, 전투에서 공을 세워 진급도 한다.[2] 정식 군인이 되면 군무원(군속)시절의 계급이 그대로 이어지는 등,[3] 여러모로 군무원 보다는 견습 군인이나 인턴 군인 같은 존재.[4]
원서 번역 작품내 등장 예시
원수([ruby(元帥, ruby=げんすい)], 겐스이) 원수 양 웬리버밀리온 성역 회전 직전에 진급
상급대장([ruby(上級大将, ruby=じょうきゅうたいしょう)], 죠-큐-타이쇼-) 상급대장 은하제국에만 존재. 라인하르트의 본편 시작시 계급.
대장([ruby(大将, ruby=たいしょう)], 타이쇼-) 대장 양 웬리이제르론 요새 사령관 겸 주류함대 사령관으로 부임하면서 진급
중장([ruby(中将, ruby=ちゅうじょう)], 츄-죠-) 중장 양 웬리이제르론 요새 공략에 성공한 후 진급
소장([ruby(少将, ruby=しょうしょう)], 쇼-쇼-) 소장 양 웬리가 제13함대의 사령관이 되면서 진급
준장([ruby(准将, ruby=じゅんしょう)], 쥰쇼-) 준장 양 웬리의 본편 시작시 계급
대좌([ruby(大佐, ruby=たいさ)], 타이사) 대령 양 웬리율리안 민츠의 보호자가 될 당시의 계급[5]
중좌([ruby(中佐, ruby=ちゅうさ)], 츄-사) 중령 올리비에 포플랭의 최종계급
소좌([ruby(少佐, ruby=しょうさ)], 쇼-사) 소령 양 웬리엘 파실에서 민간인들과 함께 탈출한 공으로 중위에서 연속 진급
대위([ruby(大尉, ruby=たいい)], 타이이) 대위 양 웬리가 6시간 5분이라는 최단 재임 기록을 세운 계급
중위([ruby(中尉, ruby=ちゅうい)], 츄-이) 중위 율리안 민츠가 제국군의 구축함을 탈취한 전공으로 진급. 그의 최종 계급.
소위([ruby(少尉, ruby=しょうい)], 쇼-이) 소위 율리안 민츠가 페잔 판무관 사무소의 주재무관으로 부임하면서 진급
준위([ruby(准尉, ruby=じゅんい)], 쥰이) 준위 율리안 민츠제8차 이제르론 공방전에서 제국군의 작전을 간파한 공으로 준위 대우로 진급
조장([ruby(曹長, ruby=そうちょう)], 소-쵸-) 상사 율리안 민츠가 첫 전투에서 전공을 세우고 상사 대우로 진급
군조([ruby(軍曹, ruby=ぐんそう)], 군소-) 중사 율리안 민츠가 첫 전투에 나갈 당시 계급이 중사 대우
오장([ruby(伍長, ruby=ごちょう)], 고쵸-) 하사 카테로제 폰 크로이처의 첫 등장시 계급이자 최종 계급
병장([ruby(兵長, ruby=へいちょう)], 헤-쵸-) 병장 율리안 민츠가 '병장 대우의 군무원'으로 양 웬리의 당번병이 되어 이제르론 요새로 부임
상등병([ruby(上等兵, ruby=じょうとうへい)], 죠-토-헤-) 상등병 콘라트 폰 모델유년학교 생도로서 가르미슈 요새로 부임할 당시의 계급이 상등병 대우
일등병([ruby(一等兵, ruby=いっとうへい)], 잇토-헤-) 일등병 양 웬리에코니아 포로수용소에 부임했을 때 당번병 창 타오 일등병이 등장
이등병([ruby(二等兵, ruby=にとうへい)], 니토-헤-) 이등병 알렉산드르 뷰코크가 우주력 726년 태어나 10대에 이등병으로 동맹군에 입대

7. 정치기구 및 정당

8. 기업

9. 오락

10. 서적

11.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7
, 6.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자유행성동맹 정부 연간 예산(약 3.7조 디나르)의 약 27%에 달하는 액수. 2019년 대한민국 정부예산으로 치면 126조 7853억 4백만원에 달하는 거액이다.[2] 율리안 민츠가 첫 전투에서 전공을 세워 중사(군조) 대우에서 상사(조장) 대우로 진급했다.[3] 율리안 민츠양 웬리를 설득한 끝에 정식 군인이 되어 '준위 대우'에서 '준위'가 되고, 페잔 판무관 사무소의 주재무관으로 부임하면서 소위로 진급.[4] 사관학교 같은 군사학교 졸업으로 갑자기 계급이 부여되는 것과는 별도로 일선 부대에서 실무와 실전을 경험한 것을 그대로 임관자격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이는 영국의 넬슨 제독의 사관후보생 시절과 유사하다. 사관후보생이라고 해서 사관학교를 다닌게 아니라 일선 함대의 군함을 타고 다니면서 실무와 실전을 경험한 후에 임관했다.[5] DNT에서는 준장[6] 클롭슈톡 사건의 주범인 빌헬름 폰 클롭슈톡의 선조이다.[7] 그의 성향을 감안하면 과하게 귀족들을 옹호하고 라인하르트 진영을 폄하했을 가능성이 큰데 공정성은 물론 페잔의 정치적 상황을 감안하면 출판이 안 되는게 당연하다. 거기다가 수기도 아닌 전쟁사라는 이름이니...[8] 무엇일지 불명이나 정황상 엘 파실 전투, 아스타테 회전, 제7차 이제르론 공방전, 암릿처 회전, 제8차 이제르론 공방전 중에서는 들어갈듯 하다.[9] 아텐보로는 이게 내게 수입원이 돼줄거라며 연금만 바라보다가 연금도 제대로 못 받은 양을 동정했다.[10] 오토프리트 1세는 어떤 취미도 없어서 독서도 안 했는데 그렇다고 당연히 책을 아얘 안 본 것은 아니겠지만 순전히 독서를 목적으로 읽은 책이 그것뿐이라는 의미일지도 모른다.[11] 병리조직학적으로 혈관의 결합조직에 팽화(膨化)나 괴사(壞死) 따위의 변화가 발견되는 모든 질환을 일괄하여, 그들의 상호관련을 보기 위해 1942년 미국의 P.클렘페러 등에 의해서 제출된 집약개념(集約槪念). 출처: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