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15:41:39

원자력 잠수함

핵잠수함에서 넘어옴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한미 관세·안보 팩트시트 중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건조}}}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획]]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획#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획#한-미 양국 팩트시트 발표|한-미 양국 팩트시트 발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미 관세·안보 팩트시트 중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건조: }}}{{{#!if 같은문서1 == null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획]]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획#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획#한-미 양국 팩트시트 발표|한-미 양국 팩트시트 발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군함의 함종별 분류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근대
협선 · 판옥선 · 거북선 · 해골선 · 안택선 · 세키부네 · 화공선 · 갤리선 · 드로몬 · 갤리온 · 전열함 · 건보트 · 철갑선
수상전투함
전함 ·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 드레드노트급 ·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 순양전함 · 고속전함
순양함 · 정찰순양함 · 방호순양함 · 장갑순양함 · 경순양함 · 중순양함 · 대형순양함 · 중뇌장순양함 · 방공순양함
구축함 · 호위함 · 호위구축함 · 지휘구축함 · 선도구축함 · 유도탄구축함 · 유도탄호위함 · DDH
초계함 · 원양초계함 · 구잠함 · 구잠정 · 초계정
경비함 · 경비정
고속정 · 어뢰정 · 미사일 고속정
항공모함 및 상륙함
항공모함 · 호위항공모함 · 경항공모함 · 중형항공모함 · 헬리콥터 모함 · 수상기 모함 · 무인기모함 · 강습상륙함
강습상륙함(LHA · LHD · LPH) · 상륙수송선거함 · 상륙선거함 · 전차상륙함 · 중형상륙함
공기부양정 · LCU · LCM
잠수함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 순항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 공격 원자력 잠수함
잠수정 · 잠수순양함
지원함
군수지원함 · 공작함 · 구조함 · 정보수집함 · 군용 병원선 · 원정이동기지선 · 지휘함 · 훈련함
기뢰전함
기뢰부설함 · 소해함
구축함모함 · 잠수함모함
무장상선 · 수송선 · 전시 동원 선박
기타 방공함 · 항공전함 · 항공순양함 · 잠수 항공모함 · 해방함 · 모니터함 · 고속단정 · SDV }}}}}}}}}}}}}}}


파일:SSN-782-USS-Mississippi-020.jpg
버지니아급 잠수함
1. 개요2. 특징
2.1. 장점2.2. 단점
3. 핵무기와의 연관성4. 형식별 분류5.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획6. 각국의 원자력 잠수함7. 기타8. 관련 문서

1. 개요

원자력 잠수함 또는 핵잠수함(nuclear submarine)은 원자력 추진을 사용하는 잠수함이다.

탑재 무기에 따라 공격 원자력 잠수함,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순항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등으로 구분된다.

2. 특징

2.1. 장점

원자력 잠수함은 연료의 제약이 없어 매우 오랫동안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저농축 핵연료는 10여 년 주기로 교체하며, 고농축 핵연료는 수십 년 이상 유지돼 폐함할 때까지 교체할 필요가 없다. 식량과 같은 보급품 소모와 승조원들의 피로, 정비 문제 등으로 무제한 잠항은 어렵고 90~110일 정도를 1주기로 운용한다. 동력 여유가 커 장비를 충분히 가동해 청수와 산소를 제약 없이 공급한다.

원자로의 특성상 디젤 잠수함 같은 중소형 선체는 최적화가 어렵고, 큰 출력을 바탕으로 큰 선체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잠항 능력과 속도가 우수하고 스노클링이 필요 없다.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소음이 비교적 크나, 기술의 발달로 정숙성 문제가 크게 개선됐다.

2.2. 단점

원자력 에너지를 쓰다 보니 몸체를 두꺼운 차폐체로 둘러싸야 하기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가고, 그 외에도 복잡한 안전 시설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값이 매우 비싸다. 잠수함용 원자로는 지상이나 수상함에 비해 제약 조건이 많다. 설비의 안정성이 낮아 사고 위험이 높으며, 사고 시 대처가 어렵다. 소련 최초의 원잠 K-19는 진수서부터 잦은 사고로 히로시마, 과부제조기 등의 별명을 얻었다. 사고가 나면 해수의 방사능 오염 위험성이 있다.

연료로 농축도가 낮은 우라늄을 사용할수록 수명이 짧고, 연료나 원자로를 교체하는 절차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다.# 퇴역 후 핵연료와 원자로 격실 등 방사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절차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다. 영국에서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 미비와 비용 부담 등의 문제로 해체 작업 중단과 지연이 이어져, 항구에 정박된 퇴역 원자력 잠수함이 20척 이상 쌓이는 상황이 발생했고, 2025년부터 처리가 재개됐다.#

3. 핵무기와의 연관성

원자력 잠수함은 원자력으로 추진하는 잠수함이므로 그 자체가 핵무기는 아니지만, 특성상 핵무기와 매우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핵연료의 농축은 무기화 기술과 연결점이 많고,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은 가장 중요한 핵 투발 수단으로 사용된다. 핵무기를 탑재하지 않은 공격 원자력 잠수함 역시 아군의 SSBN을 호위하고 적의 SSBN을 추적하는 등 핵무기 운용과 연관되는 경우가 많다.

원자력 잠수함은 기술적인 난이도가 높고 국제적 기술 통제가 심하다. 원자력 잠수함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로 모두 핵무기 보유국이다. 핵무기 비보유국 중에서는 호주, 브라질, 한국이 기존 보유국의 협조를 받아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는 핵무기 비보유국에서 해군 핵추진을 사용할 경우, 핵연료를 무기화할 수 없도록 규제를 설정하고 있다.#

4. 형식별 분류

5.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획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획#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획#|]]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각국의 원자력 잠수함

7. 기타


파일:attachment/아내/info.jpg

8. 관련 문서


[1] 하지만 핵연료 재처리는 허용되지 않았고, 미국과 영국은 잠수함에 필요한 핵물질을 아예 용접된 형태로 제공하기로 했다. #[2] 수중에서 안 그래도 조용한 전략 원잠의 소리를 추적하기 위해 헌터 킬러 잠수함은 전략 원잠의 후미 매우 가까이에 붙어서 미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 갑자기 적 잠수함이 한바퀴 돌아서면 발각되는 게 문제가 아니라 충돌할 위험이 크다. 물론 추격받는 쪽에서는 그걸 노리는 것이다.[3] "피잉-! 피잉-!" 하는 매우 큰 소리다. 들리는 순간 귀가 찢어질 정도로 아프다고 한다. 그래서 요즘에는 일정 소리 크기를 넘기면 기계가 알아서 소리를 차단한다.[4] 여담으로 함장의 가정 상황도 나왔는데 이미 아내와 이혼하고 가정이 파탄나 본인 혼자 독신자 숙소에서 쓸쓸히 머무는 모습으로 나왔다.[5] 출처는 타이푼급 잠수함다룬 다큐멘터리의 한 장면이다. 인터뷰 장면은 35분, 아내가 갈구는 장면은 42분 50초이다.[6] 여담으로 영상으로 보면 카메라맨에게도 불똥이 튀어 '당신도 남의 사생활 촬영하는 거 아니에요!' 따지는데 슬금 슬금 뒤로 물러나는게 소소한 웃음 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