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ㅊ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c1c1c1,#4a4a4a> 고대 (~CE 12c) | <colbgcolor=#eeeeee,#222222> 시 · 서사시 |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 저자 미상(만요슈), 기노 쓰라유키(고킨와카슈) |
| 극 · 소설 | 저자 미상(타케토리모노가타리), 무라사키 시키부(겐지모노가타리) | ||
| 산문 | 쇼토쿠 태자(삼경의소), 기노 쓰라유키(도사 일기), 세이 쇼나곤(마쿠라노소시), 저자 미상(고사기), 저자 미상(일본서기), 저자 미상(풍토기), 공해(비밀만다라십주심론) | ||
| 중세 (CE 12c~16c) | 시 · 서사시 | 후지와라노 사다이에(백인일수 · 신고킨와카슈) | |
| 극 · 소설 | 저자 미상(헤이케모노가타리), 제아미(후시카덴), 저자 미상(오토기조시) | ||
| 산문 | 가모노 초메이(호조키), 요시다 겐코(쓰레즈레구사), 도겐(정법안장), 신란(교행신증) | ||
| 근세 (CE 17c~19c) | 시 · 서사시 | 마츠오 바쇼(오쿠노 호소미치), 요사 부손, 고바야시 잇사 | |
| 극 · 소설 | 이하라 사이카쿠(호색일대남), 우에다 아키나리(우게쓰 이야기), 지카마쓰 몬자에몬(소네자키 신주), 쿄쿠테이 바킨(남총리견팔견전), 짓펜샤 잇쿠(도카이도주히자쿠리게) | ||
| 산문 | 후지와라 세이카(가나세이리), 야마가 소코(성교요록), 모토오리 노리나가(고사기전), 이시다 바이간(도비문답) | ||
| 근대 (CE 19c~1920s) | 시 · 서사시 | 요사노 아키코(미다레가미), 이시카와 다쿠보쿠(한 줌의 모래), 기타하라 하쿠슈, 하기와라 사쿠타로(달에게 짖다) | |
| 극 · 소설 | 나쓰메 소세키(나는 고양이로소이다 · 마음 · 도련님), 모리 오가이(무희 · 기러기), 히구치 이치요(다케쿠라베), 시마자키 도손(파계), 다니자키 준이치로(치인의 사랑),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라쇼몽 · 지옥변 · 캇파), 코바야시 타키지(게공선) | ||
| 산문 | 요시다 쇼인(유수록 · 유혼록 · 강맹차기), 후쿠자와 유키치(학문의 권장 · 서양사정), 우치무라 간조(대표적 일본인), 니시다 키타로(선의 연구), 나쓰메 소세키(현대 일본의 개화) | ||
| 쇼와 문학 (CE 1920s~1960s) | 시 · 서사시 | 미야자와 겐지(비에도 지지 않고 · 봄과 아수라), 나카하라 츄야(더러워져 버린 슬픔에) | |
| 극 · 소설 | 미야자와 겐지(은하철도의 밤 · 주문이 많은 요리점 · 바람의 마타사부로), 가와바타 야스나리(설국 · 천 마리 학 · 고도), 다자이 오사무(인간실격 · 사양), 다니자키 준이치로(세설), 하야시 후미코(방랑기 · 뜬구름), 미시마 유키오(금각사), 이시하라 신타로(태양의 계절), 마쓰모토 세이초(점과 선 · 제로의 초점), 야마사키 토요코(하얀거탑 · 화려한 일족 · 불모지대 · 지지 않는 태양), 아리요시 사와코(기노카와 · 복합오염), 요시카와 에이지(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 · 미야모토 무사시), 시바 료타로(료마가 간다 · 언덕 위의 구름), 아베 코보(모래의 여자 · 타인의 얼굴), 오에 겐자부로(개인적인 체험 · 만엔 원년의 풋볼), 이노우에 야스시(덴표의 용마루 · 둔황), 니이미 난키치(고키츠네) | ||
| 산문 | 와츠지 테츠로(풍토 · 인간학으로서의 윤리학), 마루야마 마사오(현대 정치의 사상과 행동) | ||
| 현대 (CE 1970s~2020s) | 시 · 서사시 | 다니카와 슌타로(20억 광년의 고독), 타와라 마치(샐러드 기념일) | |
| 극 · 소설 | 무라카미 하루키(노르웨이의 숲 · 1Q84), 무라카미 류(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요시모토 바나나(키친), 호시 신이치(봇코짱 · 쇼트쇼트 선집), 고마츠 사쿄(일본침몰), 츠츠이 야스타카(시간을 달리는 소녀 · 파프리카), 쿠로야나기 테츠코(창가의 토토), 미야베 미유키(화차 · 모방범), 히가시노 게이고(용의자 X의 헌신 · 백야행), 기리노 나쓰오(아웃), 무라타 사야카(편의점 인간) | ||
| 산문 | 시오노 나나미(로마인 이야기), 아즈마 히로키(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 ||
| 각 지역 문학사 둘러보기 한국문학(고전문학 · 현대문학 · 장르문학) | 영문학 | 중문학 | 일본문학 | |||
관련 문서: 일본 문학|고전주의|신고전주의|계몽주의|낭만주의|초월주의|리얼리즘|역사 소설|자연주의|탐미주의|장르문학|모더니즘|허무주의|상징주의|표현주의|디스토피아|판타지|SF문학|무협 | }}}}}}}}} | ||
| 필명 | 요시모토 바나나(吉本ばなな)[1] |
| 본명 | 요시모토 마호코(吉本真秀子) |
| 국적 | |
| 출생 | 1964년 7월 24일 ([age(1964-07-24)]세) 도쿄도 분쿄구 |
| 학력 | 니혼대학 |
| 가족 | 아버지 요시모토 타카아키, 남편 타바타 히로요시, 언니 하루노 요이코 |
1. 개요
일본의 소설가.2. 특징
가장 유명한 작품은 1988년에 발매된 데뷔작 <키친>이다.2000년 초부터 한국에 불기 시작한 '가벼운 일본 소설 붐'을 일으킨 작가 중 한 명. 술술 읽히는 쉽고 담백한 문장이 특징. 그 가벼움에 "이딴 건 소설이 아니야!"라는 비판도 많이 받지만, 그만큼 젊은 층에게 잘 팔린다. 바나나가 다른 일본 작가들보다 한국에 훨씬 빠른 속도로 그리고 강렬하게 착지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인들에게 '공감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소설을 쓰고 있었기 때문인 듯하다. 이것은 서브컬처 문학이기에 전세계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요시모토 바나나의 소설의 특징이기도 하다.
2.1. 작풍
작품들의 주요 내용은 치유계 소설의 맥락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고독한 주인공들이 서로의 상처를 치유하며 어찌어찌 살아간다는 것이다.대부분이 현대의 일상을 배경으로 하며 10~20대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 대체적으로 평범하고 잔잔한 분위기를 보여 준다. 그런데 간간히 간통, 레즈비언, 근친상간, 동반자살 같은 소재가 섞여 있으며 그것을 서정적인 정서, 좀 더 말하자면 일본적인 서정성으로 그것을 풀어가고 있다. 그런 일본적 정서 때문인지 무거운 주제를 다룰 때도 문체가 굉장히 가볍다.
3. 여담
- 이탈리아에서의 인기가 상당하다. 1993, 1996, 1999년에 이탈리아문학상을 연이어 수상했고 책도 많이 팔았다. 어느 정도냐면 일본에서보다 외국에서의, 그것도 한 나라에서의 매상이 더 높은 첫 일본작가가 되었다고 한다.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조국인 프랑스보다 대한민국에서 더 잘 팔리는 것과 비슷한 맥락일 듯.
- 본인의 식생활에 대해 쓴 에세이인 바나나키친에서 하술할 아버지 요시모토 타카아키[2]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학창시절에 아버지가 손수 자신과 언니[3]의 도시락을 싸주었던 일화를 소개하면서, 아버지의 딸바보 기질에 대해 서술했다.
- 세월호 참사에 대해 한글로 애도의 트윗을 남기기도 하였다.
- 비디오 게임을 좋아하는데 D의 식탁의 이이노 켄지 팬이라고 한다. 팬레터를 쓰기도 했다.
3.1. 가족
- 아버지 타카아키는 진보적 사상가이자 유명한 문학평론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베스트셀러 작가인 요시모토 바나나가 더 알려져 있지만, 사실 타카아키가 일본에선 훨씬 더 유명하고 중요한 인물이다.[4] 아버지 후광 얘기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타카아키의 책들은 1960~1970년대 일본 학생운동을 다룰 때 빠짐없이 언급된다.
- 언니 하루노 요이코는 만화가이다. 수필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요이코는 생리를 조절할 수 있다고 한다. 정확한 방법은 알 수 없지만 월경이 시작되면 이를 몸 밖으로 새지 못하게 하다가 화장실에서 한 번에 처리한다고.[5]
케겔운동의 궁극의 단계?
- 롤핑 강사인 타바타 히로요시와 사실혼 관계라고 한다. 같이 책을 쓰기도 했고 아이도 낳은 상태인데, 상대방의 가족과 결혼하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사실혼으로 유지중이라고. 때문에 선택적 부부별성 찬성자기도 하다.
4. 주요 작품 목록
- 그녀에 대하여: 네이버캐스트에서 2010년 6월 24일부터 9월 11일까지 독점연재했다.
- 달빛 그림자(Moonlight Shadow)
- 데이지의 인생
- 도마뱀
- 도토리 자매
- 막다른 골목의 추억
- 멜랑코리아
- 몸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단편집)
- 무지개
- 바다의 뚜껑
- 사우스 포인트의 연인
- 서커스 나이트
- 슬픈 예감
- 아르헨티나 할머니
- 안녕 시모키타자와
- 암리타
- 왕국
- 주주
- 츠구미: 국내 정식발매 제목은 티티새. 등장인물명(고유명사)를 일반명사 취급해버린 만행이다.
이뭐병 - 키친
- 하드보일드 하드 럭
- 하치의 마지막 연인
- 하얀 강 밤배[6]
- 허니문
- 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