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6 19:15:40

요시모토 바나나

{{{#!wiki ㅊ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1c1c1,#4a4a4a> 고대
(~CE 12c)
<colbgcolor=#eeeeee,#222222> · 서사시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 저자 미상(만요슈), 기노 쓰라유키(고킨와카슈)
· 소설 저자 미상(타케토리모노가타리), 무라사키 시키부(겐지모노가타리)
산문 쇼토쿠 태자(삼경의소), 기노 쓰라유키(도사 일기), 세이 쇼나곤(마쿠라노소시), 저자 미상(고사기), 저자 미상(일본서기), 저자 미상(풍토기), 공해(비밀만다라십주심론)
중세
(CE 12c~16c)
· 서사시 후지와라노 사다이에(백인일수 · 신고킨와카슈)
· 소설 저자 미상(헤이케모노가타리), 제아미(후시카덴), 저자 미상(오토기조시)
산문 가모노 초메이(호조키), 요시다 겐코(쓰레즈레구사), 도겐(정법안장), 신란(교행신증)
근세
(CE 17c~19c)
· 서사시 마츠오 바쇼(오쿠노 호소미치), 요사 부손, 고바야시 잇사
· 소설 이하라 사이카쿠(호색일대남), 우에다 아키나리(우게쓰 이야기), 지카마쓰 몬자에몬(소네자키 신주), 쿄쿠테이 바킨(남총리견팔견전), 짓펜샤 잇쿠(도카이도주히자쿠리게)
산문 후지와라 세이카(가나세이리), 야마가 소코(성교요록), 모토오리 노리나가(고사기전), 이시다 바이간(도비문답)
근대
(CE 19c~1920s)
· 서사시 요사노 아키코(미다레가미), 이시카와 다쿠보쿠(한 줌의 모래), 기타하라 하쿠슈, 하기와라 사쿠타로(달에게 짖다)
· 소설 나쓰메 소세키(나는 고양이로소이다 · 마음 · 도련님), 모리 오가이(무희 · 기러기), 히구치 이치요(다케쿠라베), 시마자키 도손(파계), 다니자키 준이치로(치인의 사랑),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라쇼몽 · 지옥변 · 캇파), 코바야시 타키지(게공선)
산문 요시다 쇼인(유수록 · 유혼록 · 강맹차기), 후쿠자와 유키치(학문의 권장 · 서양사정), 우치무라 간조(대표적 일본인), 니시다 키타로(선의 연구), 나쓰메 소세키(현대 일본의 개화)
쇼와 문학
(CE 1920s~1960s)
· 서사시 미야자와 겐지(비에도 지지 않고 · 봄과 아수라), 나카하라 츄야(더러워져 버린 슬픔에)
· 소설 미야자와 겐지(은하철도의 밤 · 주문이 많은 요리점 · 바람의 마타사부로), 가와바타 야스나리(설국 · 천 마리 학 · 고도), 다자이 오사무(인간실격 · 사양), 다니자키 준이치로(세설), 하야시 후미코(방랑기 · 뜬구름), 미시마 유키오(금각사), 이시하라 신타로(태양의 계절), 마쓰모토 세이초(점과 선 · 제로의 초점), 야마사키 토요코(하얀거탑 · 화려한 일족 · 불모지대 · 지지 않는 태양), 아리요시 사와코(기노카와 · 복합오염), 요시카와 에이지(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 · 미야모토 무사시), 시바 료타로(료마가 간다 · 언덕 위의 구름), 아베 코보(모래의 여자 · 타인의 얼굴), 오에 겐자부로(개인적인 체험 · 만엔 원년의 풋볼), 이노우에 야스시(덴표의 용마루 · 둔황), 니이미 난키치(고키츠네)
산문 와츠지 테츠로(풍토 · 인간학으로서의 윤리학), 마루야마 마사오(현대 정치의 사상과 행동)
현대
(CE 1970s~2020s)
· 서사시 다니카와 슌타로(20억 광년의 고독), 타와라 마치(샐러드 기념일)
· 소설 무라카미 하루키(노르웨이의 숲 · 1Q84), 무라카미 류(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요시모토 바나나(키친), 호시 신이치(봇코짱 · 쇼트쇼트 선집), 고마츠 사쿄(일본침몰), 츠츠이 야스타카(시간을 달리는 소녀 · 파프리카), 쿠로야나기 테츠코(창가의 토토), 미야베 미유키(화차 · 모방범), 히가시노 게이고(용의자 X의 헌신 · 백야행), 기리노 나쓰오(아웃), 무라타 사야카(편의점 인간)
산문 시오노 나나미(로마인 이야기), 아즈마 히로키(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각 지역 문학사 둘러보기
한국문학(고전문학 · 현대문학 · 장르문학)영문학중문학일본문학
관련 문서: 일본 문학|고전주의|신고전주의|계몽주의|낭만주의|초월주의|리얼리즘|역사 소설|자연주의|탐미주의|장르문학|모더니즘|허무주의|상징주의|표현주의|디스토피아|판타지|SF문학|무협 }}}}}}}}}
파일:attachment/01-580x386.jpg
필명요시모토 바나나(吉本ばなな)[1]
본명요시모토 마호코(吉本真秀子)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출생1964년 7월 24일 ([age(1964-07-24)]세)
도쿄도 분쿄구
학력니혼대학
가족아버지 요시모토 타카아키, 남편 타바타 히로요시, 언니 하루노 요이코
1. 개요2. 특징
2.1. 작풍
3. 여담
3.1. 가족
4. 주요 작품 목록

1. 개요

일본소설가.

2. 특징

가장 유명한 작품은 1988년에 발매된 데뷔작 <키친>이다.

2000년 초부터 한국에 불기 시작한 '가벼운 일본 소설 붐'을 일으킨 작가 중 한 명. 술술 읽히는 쉽고 담백한 문장이 특징. 그 가벼움에 "이딴 건 소설이 아니야!"라는 비판도 많이 받지만, 그만큼 젊은 층에게 잘 팔린다. 바나나가 다른 일본 작가들보다 한국에 훨씬 빠른 속도로 그리고 강렬하게 착지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인들에게 '공감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소설을 쓰고 있었기 때문인 듯하다. 이것은 서브컬처 문학이기에 전세계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요시모토 바나나의 소설의 특징이기도 하다.

2.1. 작풍

작품들의 주요 내용은 치유계 소설의 맥락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고독한 주인공들이 서로의 상처를 치유하며 어찌어찌 살아간다는 것이다.

대부분이 현대의 일상을 배경으로 하며 10~20대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 대체적으로 평범하고 잔잔한 분위기를 보여 준다. 그런데 간간히 간통, 레즈비언, 근친상간, 동반자살 같은 소재가 섞여 있으며 그것을 서정적인 정서, 좀 더 말하자면 일본적인 서정성으로 그것을 풀어가고 있다. 그런 일본적 정서 때문인지 무거운 주제를 다룰 때도 문체가 굉장히 가볍다.

3. 여담

3.1. 가족

4. 주요 작품 목록



[1] 활동 전반기 쓰던 필명은 よしもと ばなな.[2] 일본의 문학평론가이자 공산주의 사상가다.[3] 상술한 만화가 하루노 요이코다.[4] 한국으로 치면 리영희 급, 또는 그 이상이다.[5] 생리컵을 생리하는 기간 동안 계속 착용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다. 이 방법이 아니라고 해도 유사한 방법으로 추측된다.[6] 제목은 유래는 백하야선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