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우주센터 Naro Space Center / 羅老宇宙中心 | |
<colbgcolor=#2a5caa><colcolor=#ffffff> 개장 | 2009년 6월 11일 |
센터장 | 김인성 |
운영기관 | |
위치 |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하반로 508 |
링크 |
[clearfix]
1. 개요
나로우주센터 조감도 |
나로우주센터는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하반로 490(예내리)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기지다.
세계 13번째 우주센터로 2009년 6월 11일 준공되었으며, 규모는 총 부지 5,379,592㎡, 연면적 89,001㎡ 이다.
2. 연혁
- 1998년 11월: 2005년까지 발사장 건설, 2015년까지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세계 10위권내 진입을 목표로 설정.
- 1999년 2월: 우주센터 후보지 선정계획 발표.
- 1999년 12월 17일: 우주센터 건설예산(10억원) 국회 예결위 통과
- 1999년 12월: 권역별 11개 후보지 입지조건 평가 착수[1]
- 2000년 12월: 우주센터 개발사업 착수
- 2001년 1월 30일: 부지선정 발표 - 전남 고흥군 봉래면 예내리
- 2003년 3월: 토목공사 착공
- 2003년 8월 8일: 우주센터 기공식
- 2005년 1월: 건축공사 착공
- 2005년 7월: 제주추적소 기공식
- 2005년 11월 2일: 우주체험관 기공식
- 2007년 6월: 건축토목공사 완공 및 모의비행시험 착수
- 2007년 10월: 우주센터 추적 및 계측장비 구축 완료
- 2008년 3월: 발사대 골조공사 완료
- 2008년 6월: 발사대 개별장비 설치 완료
- 2009년 6월 11일: 나로우주센터 준공식
- 2009년 8월 25일: KSLV-I 나로 첫 발사
- 2013년 1월 30일: KSLV-I 나로 3차 발사 성공
- 2014년 1월: 우주과학관 누적관람객 100만명 돌파
- 2014년 5월: 한국형발사체 터보펌프, 연소기 시험동, 제어계측동 준공
- 2015년 7월: 우주센터 2단계 1차 건설공사(제2숙소동, 지원장비동 등) 준공
- 2015년 9월: 한국형발사체 엔진연소시험설비 준공
- 2016년 6월: 한국형발사체 추진기관시스템 시험시설(PSTC) 준공
- 2016년 7월: 우주센터 2단계 2차 건설공사(연구동, 제주 운영준비동 등) 준공
- 2017년 7월: 우주센터 2단계 3차 건설공사(발사체종합조립동 확장, 위성시험동 확장, 발사체보관동 신축) 준공
- 2018년 11월 28일: KSLV-II TLV 누리 시험발사체 발사운용
- 2021년 10월 21일: KSLV-II 누리 첫 발사
- 2022년 6월 21일: KSLV-II 누리 2차 발사 성공
- 2023년 5월 25일: KSLV-II 누리 3차 발사 성공
3. 발사이력
<colbgcolor=#fff,#1f2023> 횟수 | 일자 | 로켓 | 탑재물 | 결과 |
1 | 2009년 8월 25일 17시 00분 | KSLV-I 나로 1호기 | 과학기술위성 2A호 | 실패[2] |
2 | 2010년 6월 10일 17시 01분 | KSLV-I 나로 2호기 | 과학기술위성 2B호 | 실패[3] |
3 | 2013년 1월 30일 16시 00분 | KSLV-I 나로 3호기 | 나로과학위성 | 성공 |
4 | 2018년 11월 28일 16시 00분 | KSLV-II TLV 누리 시험발사체 1호기 | 8t 질량모사체 | 성공 |
5 | 2021년 10월 21일 17시 00분 | KSLV-II 누리 1호기 | 1.5t 위성모사체 | 실패[4] |
6 | 2022년 06월 21일 16시 00분[5] | KSLV-II 누리 2호기 | 1.3t 위성모사체 성능검증위성 큐브위성 4기[6] | 성공 |
7 | 2023년 05월 25일 18시 24분[7][8] | KSLV-II 누리 3호기 | 차세대소형위성 2호 도요샛(4기) 민간 큐브위성(3기)[9] | 성공 |
4. 시설
- 발사대
- 제1발사대(LC-1): 이렉터 (erector) - KSLV-I 나로와 누리호 시험발사체를 여기서 발사했고, 이후 개발될 KSLV-III 발사를 위해 전면 개축계획이 있다.
- 제2발사대(LC-2): 고정형 발사타워. 현재 운용 중 - KSLV-II 누리를 여기서 발사한다.
- 민간발사대(예정)
- 액체발사대
- 고체발사대
- 발사통제동 (MCC: Mission Control Center)
- 발사지휘센터 (MDC: Mission Direction Center)
- 발사체통제센터 (LCC: Launch Control Center)
- 비행안전통제센터 (FSC: Flight Security Center)
- 추진기관시험시설
- 연소기 연소시험설비
- 터보펌프 실매질시험설비
- 3단엔진 연소시험설비
- 엔진지상 연소시험설비
- 엔진고공 연소시험설비
- 추진기관 시스템시험설비
- 열제어화재안전시험동
- 조립시험시설
- 발사체종합조립동
- 위성시험동
- 고체모터동
- 발사체보관동
- 기숙사
- 제1기숙사(센터내 위치)
- 제2기숙사(우주과학관 뒤편)
- 연구동
- 추적레이더동
- 발전소동
- 우주과학관
- 광학장비동
- 기상관측소
- 제주추적소: 센터에서 200여km 떨어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해있다.
- 팔라우해외추적소: 한국형발사체 임무거리는 3000km 이상으로, 한국의 우주센터에서만 추적하는 건 불가능해 2019년 남태평양의 섬나라 팔라우에 해외추적소(서류상으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해외자회사)를 구축했다. 구글 지도에서 볼 수 있다. KARI Palau Tracking Station
4.1. 우주과학관
공식 안내
- 상설전시관: 기본 원리, 로켓, 인공위성, 우주 탐사, 달 탐사
- 기획전시관
- 로켓전시장: 나로호 2단 및 페어링, 75톤급 엔진
- 3D, 4D관
- 야외 전시: KSR 계획 ~나로호까지 역대 로켓 모형
17시 30분 폐관, 월요일 (월요일 공휴일 시에 다음날), 공휴일 휴무. 자세한 세부 일정
5. 기타
- 나로우주센터 북쪽의 내나로도 덕흥리에는 2010년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산하 국립청소년우주센터(NYSC)와 부속 시설인 덕흥천문대(DOAO)가 건립되었다. 우주 관련 체험 및 전시시설과 플라네타리움 등이 구비된 청소년수련관과 비슷한 시설이라 보면 된다. 매년 1월 한국천문올림피아드(KAO) 겨울학교가 NYSC에서 열리며, 2016년에는 제12회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APAO)가 NYSC에서 개최되었다.
- 로켓 발사를 위해서는 위도가 적도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다. 적도에 가까울수록 지구 자전에 의한 원운동 속도가 큰데, 이를 이용한다면 원하는 속도를 얻는데 들어가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구 밀집 지역이나 항공기 운항 경로 등을 피해 발사해야 하기 때문에 발사 가능한 각도가 제한된다. 마찬가지로 근처에 일본, 필리핀 등 주변 국가들 영공을 피해서 발사해야 하기 때문에 발사 각도가 제한된다. 이는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인데, 대체로 우주기지들은 자국 내에서 적도에 가장 가까우며, 인근에 대규모 거주지가 없는 곳이라는 점이 공통점으로 보인다. 또한 주로 분리된 발사체와 페어링을 안전하게 낙하시킬 수 있는 바다, 또는 아무것도 없는 벌판이 인접한 지점을 선택한다.
- 미국: 케네디 우주센터(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 러시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아무르주 스보보드니)
-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 유럽: 기아나 우주센터(프랑스령 기아나)- 적도 바로 근처에 있다. 참고로 기아나는 유럽 본토가 아닌 남아메리카에 있다.
- 위의 두 가지 조건을 고려했을 때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소재한 송악산과 가파리(가파도) 및 마라리(마라도)가 고흥의 외나로도보다 더 최적지였으나,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고,[10] 차선인 고흥군 봉래면 예내리(외나로도)가 선정되었다. 다만 두 섬의 면적이 나로도 전체는 물론 5㎢에 달하는 나로우주센터에 비해 훨씬 작아 거의 모든 주민의 이주가 불가피하고 발사대와 부속 시설을 분산시켜야 하며 송악산을 제외하면 육로 진입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게다가 해당 지역의 어민들은 발사 때마다 조업이 제한되므로 이걸 보상해줘야 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 상기한 이유로 인해 누리호는 위험도가 큰 초기상승 단계 때에 제주도와 규슈 사이 남해 지역을 관통하는 궤적을 그었다. 발사 방위각은 170도로 1단과 2단은 그대로 직선상 바다에, 3단에서 비효율을 무릅쓰고 약 188도의 태양동기궤도로 커브를 튼다.
- SBS 시사교양 《관계자 외 출입금지》에 나왔는데 2023년 6월 1일, 6월 8일에 방영되었으며, 첫 정규편성 방영분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우주 발사를 목적으로 건설 되지 않은 비행장이나 연구소 같은 시설을 그냥 확장하여 쓰거나 전략 시설인 우주기지를 적성국의 군사적 감시나 공격 위험에서 보호하기 위한 이유로 이 조건을 거스르는 고위도 또는 내륙에 위치한 경우도 있다.
6. 관련 문서
[1] 제주권 가파도/마라도, 전남권 고흥군/해남군/여수시, 경남권 사천시/통영시/남해군/거제시, 경북권 울산광역시/포항시[2] 한 쪽 페어링 미분리[3] 1단 로켓 폭발[4] 3단엔진 조기종료로 인한 모형위성 궤도진입 실패[5] 당초 2022년 06월 15일 16시에 발사 예정이었으나 14일, 강풍으로 인해 발사대 이송이 하루 미루어지며 발사 예정일도 16일로 순연되었으며, 발사 하루 전날인 15일에는 1단 산화제 레벨 센서 계통 이상을 발견하여 발사대에서 분리되어 다시 조립동으로 이송되었다. 레벨 센서 자체 문제로 판별 났으며, 1단 및 2단 연결부위 분리 없이 6월 17일에 수리를 완료했다.[6] 국내 4개 대학(조선대, 연세대, 서울대, KAIST)에서 개발된 것으로, 2019년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선정된 것이다. 발사에 성공하면서 이 위성들을 만든 대학생들은 자신들의 위성이 큐브위성들 중 최초로 자국산 발사체에 실려서 우주로 쏘아올려지는 뜻깊은 순간을 맞이하게 되었다. 또한 이 위성들은 누리호에 실린 첫 위성이라는 또 다른 뜻깊은 타이틀도 얻었다.[7] 위성 임무 궤도를 고려해 발사시간 고정[8] 원래는 2022년 05월 24일 18시 24분에 발사 예정이었으나, 갑작스런 문제로 05월 25일 동시간으로 일정이 하루 연기되었다.[9] 루미르(LUMIR-T1), 저스텍(JAC), 카이로스페이스(KSAT3U)[10] 우주개발 시설이 군사 목적으로 전용될 수 있다는 주장에 따른 것이었다. 제주도는 과거 4.3 유혈사태라는 역사상의 비극으로 인해 군사 관련 시설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은 지역이며, 그러한 배경으로 해군의 민군 복합항 건설 과정에서 극심한 갈등을 겪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