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7 14:27:07

시어도어 루스벨트 주니어

제10대 필리핀 총독
제164대 푸에르토리코 총독

시어도어 루스벨트 주니어
Theodore Roosevelt Jr.
파일:1000133501.jpg
본명 시어도어 루스벨트 3세
Theodore Roosevelt III[1]
출생 1887년 9월 13일
미국 뉴욕주 롱아일랜드 오이스터베이
사망 1944년 7월 12일 (향년 56세)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노르망디 메오티
부모 아버지 시어도어 루스벨트 (1858 ~ 1919)
어머니 에디스 커밋 루스벨트 (1861 ~ 1948)
형제자매 이복누나 앨리스 루스벨트 (1884 ~ 1980)
남동생 커밋 루스벨트 (1889 ~ 1943)[2]
여동생 에셀 루스벨트 (1891 ~ 1977)
남동생 아치발드 루스벨트 (1894 ~ 1979)[3]
남동생 퀜틴 루스벨트 (1897 ~ 1918)[4]
배우자 엘레노어 버틀러 알렉산더 (1888 ~ 1960, 1910년 결혼)
자녀 그레이스 루스벨트 (1911 ~ 1994)
시어도어 루스벨트 4세 (1914 ~ 2001)
코넬리우스 루스벨트 (1915 ~ 1991)
쿠엔틴 루스벨트 주니어 (1919 ~ 1948)[5]
학력 하버드 대학교
복무 미합중국 육군
최종 계급 미국 육군 준장
복무 기간 1917년 ~ 1944년
주요 전투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소속 정당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미국군인. 미국 제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장남으로 유명하다.

2. 생애

뉴욕 주 롱아일랜드 오이스터베이에서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러프 라이더, 뉴욕 주지사, 미국 부통령, 미국 대통령을 역임한지라 어린 시절부터 탄탄대로를 걸었다.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철강, 카펫 사업을 하다가 1917년 1차 세계대전에 장교로 참전해 서부전선에서 전투를 치르다가 캉티뉴전투에서 부상을 입었다. 이후 복귀해 백일 공세에서 공을 세워 은성훈장을 비롯해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다.

전후엔 정치에도 뛰어들어 하딩-쿨리지 정권에서 해군성 차관, 필리핀 총독, 푸에르토리코 총독을 역임해 공화당의 거물급 정치가로 자리잡았다.

2차 세계대전에 대령으로 군으로 복귀했다. 북아프리카와 시칠리아 전투를 거치며 준장까지 진급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 제4보병사단의 부사단장이던 시어도어는 자청해서 제1진으로 상륙했는데, 제1진의 최고령, 최선임 미군이었다고 한다.

당시 오마하 해변에 상륙할 예정이었지만 유타해변 인근에 수백명의 병력들과 잘못 상륙했다. 현장에서 장교, 참모진들이 최선임자인 그에게 "장군님, 이제 뭘 어떡해야 합니까?" 라고 물어보았다.

장교들은 병력들을 집결해서 유타나 오마하에 있는 병력들을 지원하자 같은 구체적인 명령을 원했겠지만 주변을 둘러보고는 오히려 자신들이 잘못 상륙한 곳이 독일군의 방어선을 돌파하기 좋은 곳임을 눈치채고 "뭘 어떡하냐고? 여기서부터 전쟁을 시작하는거다!" 라고 외치곤 권총을 들고 뛰어다니며 유타 해변에 상륙한 병력들을 집결시켜 자신들이 발견한 독일군의 허점으로 돌격,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하는 혁혁한 전공을 세운다.

그러나 상륙 33일 만에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사후에 명예 훈장을 수훈받았다. 유해는 노르망디 미군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3. 여담

아버지와는 달리 13촌 숙부이자 사촌매형이 되는 프랭클린 루스벨트를 상당히 싫어했다. 또한 2차대전 당시 조지 S. 패튼과도 사이가 좋지 않아 각자의 일기에 서로를 비판하는 내용이 적혀있다.

영화 지상 최대의 작전에서 헨리 폰다가 연기했다.


[1] 정확히는 아버지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풀네임이 시어도어 루스벨트 주니어이기에 시어도어 루스벨트 3세이나 일반적으로 아버지인 시어도어 주니어가 '시어도어 루스벨트'로 유명하기 때문에 이런 자세한 사정을 모르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아들이 주니어로 알려져있다.[2] 2차대전 복무 중 자살했다.[3]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자녀들 중 가장 오래 살았고 아들들 중 2차대전 종전 후까지 살았던 유일한 아들이다.[4] 1차대전 중 프랑스에서 전사. 이는 6개월 뒤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사망의 원인이 되었다.[5] 자신의 막내동생이자 1차대전 때 전사한 쿠엔틴 루스벨트(1897 ~ 1918)에게서 따왔지만 그 역시 이름의 원래 주인인 작은아버지처럼 군 복무 중 사망했다. 차이점이 있다면 작은아버지 쿠엔틴 시니어는 1차대전 중에 전사했고 조카 쿠엔틴 주니어는 2차대전까지는 멀쩡히 살아있었고 2차대전 3년 후인 1948년 사고사한 것. 그래도 시어도어 주니어(3세)가 1944년에 심장마비로 급서한지라 시어도어 주니어 입장에선 참척을 겪진 않았다. 아내 입장에선 참척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