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3 20:07:35

스티븐 모팻

스티븐 모팟에서 넘어옴
<colcolor=#fff><colbgcolor=#000> 스티븐 모팻
Steven Moffat

OBE
파일:external/1.bp.blogspot.com/550w_cult_doctor_who_steven_moffat.jpg
본명 스티븐 윌리엄 모팻
Steven William Moffat
출생 1961년 11월 18일 ([age(1961-11-18)]세)
스코틀랜드 렌프루셔 페이즐리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직업 각본가, 프로듀서
배우자 수 베르투 (1999년 결혼)[1]
자녀 루이스 모팻, 조슈아 모팻
1. 개요2. 활동
2.1. 닥터후
2.1.1. The Curse of Fatal Death (1999)2.1.2. 뉴 시즌 1 ~ 4 (2005 ~ 2008)2.1.3. 뉴 시즌 5 ~ 10 (2010 ~ 2017)
2.1.3.1. 11대 닥터 시즌 (2010 ~ 2013)2.1.3.2. 12대 닥터 시즌 (2014 ~ 2017)
2.1.4. 뉴뉴 시즌 1 ~ (2024~)2.1.5. 스타일2.1.6. 모팻이 만들어낸 캐릭터와 설정들2.1.7. 모팻이 뽑은 최고의 11개 에피소드2.1.8. 닥터후 매거진 474호에 수록된 모팻의 닥터후 에피소드 순위
2.2. 셜록 (2010 ~ 2017)2.3. 틴틴: 유니콘호의 비밀 (2011)2.4. 클래스 (2016)2.5. 드라큘라 (2020)2.6. 인사이드 맨 (2022)
3. 평가 및 비판 혹은 반론
3.1. 닥터후에서의 평가3.2. 여성관에 대한 논란?3.3. 지나친 떡밥 투척3.4. 더 선정적이다?3.5. 더 폭력적이다?3.6. 러셀후를 무시하는 너무 많은 변화들?
4. 이야깃거리5. 한국과의 관계6. 수상 기록

[clearfix]

1. 개요

영국각본가이자 TV 프로듀서.

BBC의 간판 SF 드라마 닥터후의 뉴 시즌 두 번째 수석 작가이며, 셜록 홈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드라마 셜록에서 마크 게이티스와 함께 공동 제작자로 많은 에피소드를 집필했다. 특히 닥터후에서는 각종 떡밥반전을 능수능란하게 구사하며 그가 각본을 맡았던 에피소드들은 상을 휩쓸었다. 2015년에는 대영제국 훈장 4등급(OBE)를 획득했다.

닥터후 오디오 코멘터리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어렸을 때부터 닥터후의 골수팬이었다고 한다. 자신이 뽑은 최고의 에피소드는 5대 닥터의 Snakedance와 Kinda라고. 이러한 모팻의 열정은 1990년대에 "Press Gang", "Coupling" 등 코미디 드라마각본을 집필해 승승장구하던 때에도 닥터후에 대한 오마쥬를 작품 곳곳에 반영했고, 닥터후 뉴 시리즈가 시작하기도 전인 1995년에 이미 '닥터'라는 개념 자체에 대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발상을 내놓기에 이른다. 그리고 그로부터 16년 뒤에 모팻은 자신의 발상을 현실로 옮긴다.

2. 활동

2.1. 닥터후

2.1.1. The Curse of Fatal Death (1999)

모팻이 자신의 열정을 현실화시킨 첫 작품은 "Continuity Errors"라는 닥터후 소설. 그 이후 1999년코믹 릴리프로 'Doctor Who and the Curse of Fatal Death'를 집필, 처음으로 자신의 닥터후 작품이 TV에 나오며 극한 희열을 느꼈다고.[2]

미스터 빈으로 유명한 로완 앳킨슨9대 닥터로 등장했으며[3] 시간여행을 능수능란하게 이용하며 코믹적인 효과를 낳았다. 재생성시간 여행, 그리고 작위적 설정 패러디를 이용한 웃음 포인트가 압권.

2.1.2. 뉴 시즌 1 ~ 4 (2005 ~ 2008)

마침내 2005년, 러셀 T. 데이비스가 수석 작가를 맡은 닥터후 뉴 시리즈의 시즌 1이 방영을 시작했고 모팻도 여기에 참여해 각본을 맡았다. 모팻이 맡은 각본은 뉴 시즌 1 에피소드 9~10인 "공허한 아이(The Empty Child)", "닥터의 춤(The Doctor Dances)". 특히 에피소드 9는 역시 모팻이 썼던 뉴 시즌 3 에피소드 10 "깜박임(Blink)"과 함께 닥터후 뉴 시리즈 사상 가장 공포스러운 에피소드로 손꼽히는 작품. 2006년 휴고상(Hugo Award)에서 영상 부문 단편상을 수상했다.

2006년 뉴 시즌 2에서는 에피소드 4 "벽난로 속의 여인(The Girl in the Fireplace)"의 각본을 집필했는데 그 동안의 공포물 분위기에서 벗어나 닥터가 컴패니언이 아닌 여성과 나눈 사랑 이야기를 다뤘다. 이 작품도 닥터후 뉴 시리즈 가운데 가장 로맨틱하면서도 애절한 에피소드를 꼽을 때 빠지지 않고 들어가며, 2007년 휴고상에서 다시 한번 영상부문 단편상을 수상했다.

2007년 뉴 시즌 3에서는 닥터후 에피소드 전체를 통틀어 가장 무서운 작품으로 후비안들이 주저없이 꼽는 에피소드 10 "깜박임(Blink)"을 썼으며 우는 천사도 여기에서 첫 선을 보였다. '짜임새 있는 구성과 함께 극한 공포의 진수를 보여줬다'는 찬사를 받아 2008년 한 해에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BAFTA)에서 최고작가상을, 휴고상에서 또 다시 영상부문 단편상을,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웨일즈(BAFTA Cymru)에서 최고각본가상을 수상해 세 개의 시상식을 휩쓰는 기염을 토했다. 또한 닥터후 매거진에서 팬들이 선정한 뉴 시즌 3의 최고 작가이자 최고 에피소드로 뽑히기도 했다. 2007년 칠드런 인 니드에서는 10대 닥터와 5대 닥터가 타디스 안에서 조우하는 짤막한 에피소드 "시간 충돌(Time Crash)"을 맡았다.

2008년 뉴 시즌 4에서는 에피소드 8~9 "Silence in the Library"와 "Forest of the Dead"를 집필, 팬들로부터 다시금 "모팻"이라는 찬양을 받았다. 기발한 SF적 요소와 공포감동을 뒤흔들며 자신의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끝내 차기 메인 작가로 선정되었는데 팬들은 기대 중. 다들 좋은 의견이 많고, 오죽했으면 러셀 T. 데이비스가 "다른 작가의 작품들은 내가 고치는 편이지만, 스티븐 모팻의 작품은 토씨하나 고치지 않고 그대로 낸다."고 말했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한편 이 때 등장한 희대의 떡밥 캐릭터가 바로 리버송이다. 차기 자신의 시즌들의 핵심 떡밥으로 정한 듯 닥터와 복잡한 시간대를 가진 시간여행자. '닥터와 결혼까지 했다'고 하는데, 팬들은 엄청난 떡밥이라며 폭풍 같은 분석을 시작했다. 그리고 끝내, 자신의 시즌인 뉴 시즌 5부터 리버송은 엄청난 떡밥을 열었으니(...). 참고로, 처음 모팻이 리버송을 등장시킬 때는 10대 닥터인 데이비드 테넌트가 시즌 5까지 닥터 역할을 계속 할 것을 염두에 두었는데 테넌트가 2009년 크리스마스, 2010년 신년 스페셜 에피소드인 시간의 종말(The End Of Time) 까지만 출연하고 하차하는 바람에 리버송과 11대 닥터와의 관계에 설정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2009년, 4개의 스페셜을 끝으로 닥터후에서 떠나는 러셀 T. 데이비스는 The End of Time으로 많은 팬들을 감동시키며 10대 닥터의 최후를 극적으로 묘사했는데, 원래 러셀이 집필한 초안에서는 이 때 달렉과 타임로드가 같은 편인 걸로 나오려고 했으나, 스티븐 모팻과의 상의 후에 타임로드만 나오는 것으로 했다고. 러셀 T. 데이비스가 닥터후에서 마지막으로 쓴 말은 "'난 가고 싶지 않아.(I don't wanna go.)"' 그 이후 The End of Time에서의 마지막 1분간의 11대 닥터의 첫 등장은 모팻이 썼다.

2.1.3. 뉴 시즌 5 ~ 10 (2010 ~ 2017)

2.1.3.1. 11대 닥터 시즌 (2010 ~ 2013)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Doctor_Who_Producers_Landscape.jpg
모팻 사단

왼쪽 부터 베스 월리스(Beth Willis), 스티븐 모팻, 피어스 웽거(Piers Wenger) 그리고 월리스와 웽거 후임으로 들어오고 뉴 시즌 7에서 제작을 맡은 캐롤라인 스키너 (Caroline Skinner).#

닥터후 뉴 시리즈를 성공적으로 부활시켜 흥행한 러셀 T. 데이비스가 드라마에서 하차하면서 모팻이 새로운 메인 작가로 제작자인 베스 월리스와 피어스 웽거과 함께 닥터후 뉴 시즌 5부터 총괄하게 된다. BBC의 발표가 있자마자 "그 동안의 내 커리어는 이를 위한 비밀스런 작업이었다. 마침내 나의 진가를 알아준 BBC에게 고맙다"며 포부를 드러냈는데, 러셀의 닥터후가 닥터후 올드 시즌과는 거리가 있었기 때문에 모팻은 러셀의 색채를 줄이고 보다 닥터후 올드 시즌다운 분위기를 내기 위해 자신이 맡은 닥터후가 전임자의 것과는 전혀 다른 닥터후라고 천명했지만 결국 뉴 시즌 5로 낙착. 단순히 메인작가일 뿐만 아니라 제작을 총괄하는 프로듀서의 역할도 하게 된 모팻은 자신의 시즌을 '한 편의 장대하고 어두운 동화'로 만들기 시작한다. 동심파괴

'5대, 8대 닥터를 가장 좋아한다'고 말한 모팻은 11대 닥터를 캐스팅할 때 처음엔 적당히 나이가 있는 배우를 뽑으려 했으나 결국 발탁된 11대 닥터는 당시 26세의 맷 스미스. 그의 연기를 보고는 11대 캐릭터에 너무 잘 어울려 자신의 생각을 바꿀 정도로 반해버렸다고 한다. 그리고 맷 스미스는 '모팻의 닥터후'를 구축하는데 일조한다. 물론 처음 등장했을 때는, 특히나 '러셀의 닥터후'에만 익숙해져서 닥터후의 '재생성'과 '변화'라는 중요한 개념에 익숙하지 않았던 대부분의 국내의 후비안들에게는 "내 닥터는 저렇지 않아!"라는 황당한 비판을 들었으나 극이 전개될수록 맷이 연기하는 11대 닥터의 똘끼충만한 정신사나움(…)에 호평을 보냈다. 또한 여러 면에서 11대 닥터의 성격은 모팻의 극의 흐름에 더 맞는 캐릭터라서 보는 데에도 자연스럽다.

뉴 시즌 5에서 모팻이 맡은 각본은 에피소드 1 "11번째 시간(The Eleventh Hour)", 에피소드 2 "지하의 야수(The Beast Below)", 에피소드 4~5 "천사들의 시간(The Time of Angels)" / "살과 돌(Flesh and Stone)", 에피소드 12~13 "판도리카 열리다(The Pandorica Opens)" / "빅뱅(The Big Bang)"이다. 에피소드 1은 11대 닥터를 신선하게 등장시키며 판타지스럽고 어두운 분위기를 개연성 높은 진행으로 찬사를 받으며 1년여의 기다림 끝에 나온 새로운 시즌의 첫 에피소드였기 때문에 시청자가 천만 단위를 넘어갔고 에피소드 2는 당시 영국에서 얼마 남지 않은 선거와 맞물려 유권자의 투표권 행사의 중요성을 SF와 민주주의의 폐해로 역설했다. 에피소드 4~5는 뉴 시즌 3의 명작 에피소드 "깜박임(Blink)"에 나왔던 우는 천사의 재등장으로 많은 기대를 모았으나 천사의 고상한(…) 포스가 뉴 시즌 3만 못해서 마음에 들지 않았다는 평이 다수. 뉴 시즌 5의 파이널 에피소드인 에피소드 12~13은 뉴 시즌 5 전체를 관통한 시간의 틈이라는 떡밥을 적절히 회수하면서도 앞으로의 모팻 체제를 위한 떡밥을 남겼고, 닥터후 뉴 시리즈 사상 처음으로 닥터와 컴패니언 모두가 행복한 결말을 가지는 에피소드가 되어 후비안들에게 극찬을 받았다.

2010년 크리스마스 스페셜 에피소드 "크리스마스 캐롤(A Christmas Carol)"에서는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롤>을 SF적으로 재해석,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한 사람의 인생을 바꾸는 닥터의 이야기를 그렸다. 감미로운 노래와 놀라운 영상미, 시간여행을 이용한 감동의 극대화, 가장 크리스마스 스페셜다운 분위기로 후비안들을 사로잡았으나 일부 팬들은 자신의 계획을 위해 한 사람의 인격을 바꾼 닥터의 행동은 잘못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늙고 못난 심술쟁이 갑부 카즈란 사딕의 가슴 속 깊은 상처를 치유해주고 다시금 사랑을 즐기게 해줬으며, 에이미로리는 물론 타인들을 구한 것이 진정 잘못인지는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다. 단순히 캐롤만 부르고 훈훈히 끝날 줄 알았으나, 사실 "크리스마스 캐롤(A Christmas Carol)"은 또 다른 떡밥의 시작이었으니... 2010년 칠드런 인 니드에서는 타디스 안에 타디스가 들어간 상황을 그린 "공간 그리고 시간(Space and Time)"을 썼다.

한층 더 어두워지고 스케일이 커진 2011년 뉴 시즌 6 파트 1에서는 에피소드 1~2 "불가능한 우주비행사(The Impossible Astronaut)" / "달의 날(Day of the Moon)", 에피소드 7 "좋은 사람이 전쟁에 간다(A Good Man Goes to War)"를 집필했다. 에피소드 1, 2에서는 달 착륙 당시의 시대상을 사일런스라는 의문의 적으로 미스터리하게, 자신의 떡밥을 적당량만 회수하면서 잘 마무리지으나, 떡밥이 너무 복잡해서 그런지 두고 두고 봐야 할 에피소드가 됐다. 시작부터 충격적인 전개로 후비안들의 뒤통수를 후려친 등골 브레이커모팻은 세 시즌에 걸쳐 끌어온 리버송의 정체를 에피소드 7에서 공개했는데 이 에피소드에 대한 영국 현지의 반응이 폭발적인 모양. 관련 영드갤 게시물 참조 바람. 언뜻 보기엔 "스타워즈를 쓰고 싶었던 모팻"이지만 휴고 어워드에 Best Dramatic Presentation, Short Form 부분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파트 2에서는 에피소드 8 "히틀러를 죽이자(Let's Kill Hittler)", 에피소드 13 "리버송의 결혼(The Wedding of River Song)"을 집필했다. 에피소드 8은 에피소드 7에서 밝혀진 리버송의 정체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이야기를, 파이널 에피소드인 에피소드 13에서는 뉴 시즌 6을 아우르는 떡밥을 해결했는데, 모팻을 좋아하는 국내 팬들도 이번 뉴 시즌 6에서의 모팻의 에피소드는 호불호가 좀 갈렸다. '개연성에서의 문제는 없었으나 더 잘 풀어나갈 수 있었음에도 굳이 이런 무리수를 둘 필요가 없었다'는 게 대체적인 반응. 그래도 2011년 크리스마스 스페셜 에피소드 "닥터, 미망인, 그리고 옷장(The Doctor, the widow, and the wardrobe)"으로 다시금 만회했으니, 여전히 그의 다가오는 시즌들을 지켜봐야 할 것이다.

뉴 시즌 7 파트 1부터는 개인 사정으로 하차한 월리스와 웽거 후임 제작자로 들어온 캐롤라인 스키너와 함께 11대 닥터에이미 폰드로리 윌리엄스와 영원히 이별하도록 해 후비안들의 심금을 울렸다. Part 1 시작부터 '폰드 부부로서의 일상'과 '닥터의 동행자로서의 일상'을 놓고 에이미와 로리가 양자택일 하도록 유도했고, 결국 에피소드 5 '맨해튼을 점령한 천사들(The Angels Takes Manhattan)'을 통해 확실하게 못을 박았다. 시즌 5 에피소드 1의 한 장면을 시즌 7 에피소드 5의 마지막 장면으로 한 것이 여운을 남겼다는 평. 여담으로 에이미와 로리의 사망일이 배우들의 생일인 것에서 또 이 분의 센스가 드러난다. 캐롤라인 스키너는 시즌 7만 제작하고 하차했다.

시즌 7 크리스마스 스페셜에도 추수왕 모팻의 진가가 드러난다. 뉴 시즌 7 에피소드 1에 나오는 오스윈 오스왈드를 맡은 배우 제나-루이스 콜먼이 파트 2의 컴패니언 역을 맡는다는 것이 알려졌을 때 다들 관련이 없을 거라 생각했으나 사실은...[4] 특히 "The Name of the Doctor" 에피소드는 팬들이 선정한 모팻 최고의 에피소드에 당선될 정도로 호평을 받았다. 닥터의 감정을 죽음과 비밀이라는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 절절하게 묘사한 것은 물론, 3개의 시즌에 걸친 굵직한 떡밥들은 능수능란하게 해결해 강력한 카타르시스를 선사했다. 더 나아가서 누구도 상상치 못한 떡밥(스포일러[5])을 던지면서 "Doctor Who"에 한층 더 다가갔다.

참고로, 이 에피소드는 국내에서 흔히 "닥터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매끄럽지 않은 번역이다. "닥터의(라는) 이름으로"로 번역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그 에피소드의 마지막 부분에서 닥터의 이름을 쓰지 않은 자11대 닥터가 이야기를 나눌 때, 이런 대화가 오가기 때문이다.
"내가 한 일들은, 평화와 온전함의 이름으로, 선택의 여지가 없었네.(What I did, I did without choice, in the name of peace and sanity.)"
"하지만 닥터의 이름으로는 아니었지.(But not in the name of the Doctor.)"

이 대사처럼, 애초부터 모팻은 독자들에게 닥터의 이름을 알려줄 생각이 없었다. 자신도 닥터의 실명을 공개하는 것이 무리수인 걸 알았던 것이다. 그런데 국내에서는 이게 "닥터의 이름"으로 여겨지니까, 닥터의 이름이 왜 안나왔나면서 또 모팻이 판을 벌렸다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자세히 보자. 타이틀 "The Name of the Doctor"는 마지막 대사에서 유추한 것으로 보는게 옳기에, 닥터의 이름이 나오지 않은 것이다. "닥터라는 이름으로"인데 말이다. 사실 영어판 제목만을 보면 애시당초 이 중의성을 노렸을 공산이 매우 크다. "닥터의 이름"을 공개할 것이라고 예상하게 했지만 다 보고 나면 그것이 "닥터라는 이름으로"였음을 깨닫도록. 당연하게도 KBS 더빙판에서는 '닥터의 이름으로'라는 제목으로 나왔다.

50주년 에피소드를 모팻이 써서 참 다행이라는 후비안들의 반응이 있을 정도로, 모팻은 시즌 6에서 보여주지 못한 역량을 이 에피소드로 다시금 보여주었다. 국내에서는 "모팻 개xx에서 모팻 신으로 바뀌었다."는 반응도 있다. 참고로 여기서 나오는 흑막은 올드 시즌에 나왔던 것으로 타디스와 오프닝과 함께 올드 시즌의 분위기를 물씬 풍겨주신다.

그리고 마침내 스티븐 모팻은, 덕업일치를 이뤄냈다. 닥터후의 50주년 스페셜 The Day of the Doctor를 집필한 것이다. 올닥 팬인데다가 그의 능력까지 인정 받아 많은 팬들이 기대를 했는데, 점점 기대에서 멀어져가는 행보를 보였다. 우선 75분인 러닝 타임도 팬들을 난감하게 했고, 컴패니언도 로즈와 클라라만 데려온다는 것에서 아쉽게 만들었다. 그러나 올드 닥터들도 안나온다고 밝히는건 단순히 아쉬움을 넘어섰는데, 팬들이 엄청난 항의를 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에 대한 실망감을 여실히 들어내고 있었다. 더군다나 트레일러 논란(SDCC, 11초 둘 다)까지 겹쳐, 팬들은 정작 50주년인데 가장 50주년 같지 않다는 말까지 섞어가며 모팻을 비난했다.

하지만 모팻은 이런 발언들을 귀담아 듣지 않았다. 팬들이 추억팔이에 매달릴 때, 스티븐 모팻은 총 제작자로서 "50주년이니까, 닥터를 위한 시간이 돼야 한다."라고 답했다. 50년 동안 닥터후에선 수많은 캐릭터들과 사건들이 있어왔고, 수많은 팬들이 각자 좋아하는 게 있으니 그걸 보고 싶다는 건데, 과연 누가 그 50년 역사에서 누구는 데려오고 누구는 데려오지 말아야 하는 걸 정할 수 있을까. 모팻은 굉장히 현명한 선택을 한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멀티 닥터 에피소드나 추억팔이용 이벤트들이 있어왔다는 점에서 또한, 오히려 "50주년"이니까 단순 후비안을 위한 추억팔이용을 벗어나 닥터후라는 작품에 의미를 찾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성공했다. 엄청난 시청률과 기네스 석권, 그리고 연이은 극찬이 방영 직후 쏟아졌다. 최고의 생일파티(Best Birthday Eve)이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10점 만점에 10점이라는 평이 대다수. 모팻 특유의 Timey Wimey로 전쟁의 닥터, 10대 닥터, 11대 닥터를 한 자리에 모았고, 그가 엄청난 선택을 하도록 만들었다. 또한 자이곤을 이용한 서브 플롯과 곳곳에 보이는 그의 디테일함에 다들 찬사를 보냈다. 특히나 이번 스페셜은 모팻이 러셀후만 따로 노는 것처럼 보였던 시간 전쟁을 이용함으로써 올닥과 러셀후를 모팻후로 완벽하게 이었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러셀후를 무시한다고 모팻을 비난하던 팬들도 결국은 함구하게 됐다. 무엇보다 소중한 개갞기라며 애증어린 반응을 보이던 국내에서도 그날만큼은 모팻을 찬양한 걸 보면, 다시금 모팻의 역량을 보여주는 스페셜이었던 듯. 닥터후 매거진 50주년 특별 투표에서 팬들이 뽑은 최고의 닥터후 에피소드 1위를 차지했다.[6] 자세한건 닥터의 날 항목 참조.

맷 스미스의 11대 닥터를 떠나보내는 닥터의 시간 에피소드에서 모팻은 그동안의 설정구멍을 매꾼다고 말했다. 누가 타디스를 폭파시켰는지, 침묵이 내린다는 게 도대체 무슨 뜻인지, 트렌잘로어에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던 건지 등을 설명하고자 했는데, 우선 떡밥 회수는 한 것이 있으나, 못한 것도 있다.[7]

해외 반응은 전반적으로는 그럭저럭 호평인데, 이 호평도 어디까지나 맷 스미스의 마지막 연기에 대한 찬사고, 에피소드 자체나 모팻의 떡밥 회수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비판이 나왔다. 굳이 이렇게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었다, 뒷심이 부족했다, 에피소드에 떡밥만 있을 뿐이다, 질질 끌 필요가 없는 떡밥들이었다 등이 그 비판의 내용이었다. 결국 모팻의 점점 배가 되는 떡밥 스타일이 독이 되어 나타난 것이다. 이로써 모팻의 설정 구멍은 나름대로 매워졌지만, 그렇게 깔끔하게 나오진 못했다. 무엇보다 떡밥이 아쉽게 해결된 리버송의 결혼식 에피소드와 다르게, 이번엔 전체적으로 에피소드도 좀 까이는 편이다.

이는 닥터의 시간 에피소드에 다시 한번 몬스터들이 여럿 나오면서 스케일이 배로 커진 것이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어벤져스가 아닌 이상 많은 악당들과 직접 전투를 하지 못하는 닥터는 사건을 해결하는 식으로 이걸 풀어나가야 하는데, 괴물이 많다보니 닥터가 멋진 임팩트를 날리지 못하고 300년이 흘렀다는 식으로 가면서 결과적으로 관객들에게 큰 인상을 주지 못했다는 것이다. 물론 버튼 몇개 눌렀다고 달렉들이 모두 터져버리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보다는 더 나은 플롯이지만, 굳이 이렇게까지 스케일을 키워서 이런 무리수를 둘 필요가 있었는가 하는 반응이다.

그러나, 취향에 따라 최고의 크리스마스 스페셜, 재생성 스페셜이라고 평가하는 이들도 있다. 맷 스미스의 재생성에 대해선 올닥의 설정을 지키면서, 나름대로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냈다. 또 이번 에피소드만큼은 한 곳에 정착해서 다른 이들을 지키면서 늙어가고, 보듬어주면서 서로가 서로를 아끼는 닥터의 훈훈한 모습도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선 호평을 받기도 한다. 클라라와 닥터의 애잔한 관계, 마지막에 다시 나타난 닥터의 친구도 충분히 감동적이었고, 11대 닥터의 재생성이 좀 급작스럽긴 했지만, 11대의 유언이 아름다웠다는 평은 지배적이다.
2.1.3.2. 12대 닥터 시즌 (2014 ~ 2017)
피터 카팔디로 시즌 8을 시작한 스티븐 모팻은 다시 한 번 자신의 역량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시즌 8은 새로운 인카네이션을 갖게 된 닥터와, (어떤 의미에서든) 깊어질 대로 깊어진 클라라와의 관계, 닥터는 과연 선인인가 하는 주제들을 다뤘고, 약속의 땅(The Promised Land)과 미시라는 떡밥을 뿌렸다. 방영 전 각본 유출이라는 위기가 있었지만 팬들과 평단에서 가장 강력했던 시즌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대대적인 호평을 받았다.

4개의 단독 집필, 3개의 공동집필로 시즌 8을 디테일하게 잡아간 스티븐 모팻은 801 "Deep Breath"에서 12대 닥터만의 분위기, 시리즈의 새로운 방향을 제대로 어필해서 찬사를 받았고, 802 "Into the Dalek"에서 필 포드(Phil Ford)와 공동집필하면서 달렉 안으로 들어간 닥터의 이야기를 그렸다. 새로운 닥터와 달렉의 만남에 주목했던 팬들은 되려 마지막 대사[8]에 소름을 받았다고. 클래식 빌런과 새로운 캐릭터들 모두를 진화시키는 매력적인 각본이라는 찬사가 줄을 이었다. 그리고 804 "Listen"에서 모팻은 또 역대급을 뽑아냈다. 그의 전문 분야인 일상 생활에서의 공포와 그만의 'Doctor Who?'가 결합된 작품의 방향성은 물론, 관객을 들었다 놨다하는 의도적인 서술 트릭과 배우들의 열연, 디테일한 각본과 소름 돋는 반전으로 팬들과 평단에서 다시금 모팻을 찬양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블링크, 닥터의 날과 더불어 새로운 모팻의 넘버 원 작품으로 여겨지는 중이다. 805 "Time Heist"에서 스티브 톰슨과 공동 집필한 스티븐 모팻은 하이스트 무비와 타이미 와이미를 적절히 섞어가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지만, 스티븐 모팻이 썼기에 충분히 예측할 수 있었다는 부정적인 평도 곳곳에서 보였다.

모팻이 집필하지 않은 806, 807, 808, 809는 각 에피소드 별의 분위기, 테마도 테마지만, 닥터와 클라라, 그리고 대니 핑크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는데, 811, 812에서 스티븐 모팻은 이 삼각관계의 끝을 보여주었다. 시리즈 피날레답게 밝혀진 미시의 정체와 그 위험이 드러났는데, 미시의 정체에 대한 팬들의 반응도 볼만하지만, 미시 역의 미셸 고메즈의 환상적인 연기가 일품이었다. 그러나 피날레가 호불호가 갈렸는데, 기존의 모팻식 피날레는 항상 새로운 떡밥을 만들어내고 관객을 머리 아프게 하는 식이었다면, 이번 피날레는 시즌 8의 감정선, 주제를 위해 딱 맞게 끝냈던 것이 포인트로 보여진다. 다만 예고편이 클라라의 타락화를 보여주는 듯해서 관객의 기대치와 방향이 너무도 달랐고, 실제 극의 위기 묘사가 다른 피날레보다 약했던 것이, 기대보다 별로였다는 것이 주된 반응이었다.

평단에게 극찬을 받다시피한 시즌 8이 팬들에게 호불호가 갈리곤 하는데, 그것은 시즌 8의 새로운 방향 때문일 것이다. 자신의 기존 작품에서 묻던 닥터라는 존재에 대한 질문은 닥터가 선인인가 악인인가하는 질문으로 연장되어 진행되었지만, 모팻은 시즌 8에서 유독 클라라를 많이 부각시켰다. 팬들은 닥터후인지 클라라후인지 모르겠다며 지나치게 컴패니언 중심이었던 시즌 8을 별로로 생각했다. 클라라에 대한 부각이 로즈처럼 연인으로 몰아가거나, 에이미처럼 절친으로 몰아가거나 하는 방식이 아닌 점도 크게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관객이 닥터와의 여행 이야기를 쉽게 "재밌게 받아들이게" 하기 위해서는 로즈 같은 연인이나, 에이미 같은 절친 설정이 가장 편한 방법이다. 그러나 모팻은 50주년을 넘어선 닥터후에서 닥터만큼 중요한 요소, 닥터와 컴패니언의 관계에 주목한 것이다. 실제로 닥터와 클라라의 관계 묘사는 가장 현실적이면서도, 사랑인 듯 친구인 듯 썸인 듯 한 관계로 그려내는 방향이었다. 닥터와 컴패니언간의 불화와 갈등도 그려졌는데, 이는 모팻이 클라라를 그려낼 때 "닥터 같은 21세기 현대 영국 여성이 닥터와 여행을 하게 되면 어떨까?" 라는 발상에서 기인한 것이다. 실제로 클라라는 닥터만큼 불가능한 존재였고, 닥터의 타임라인에 들어간 임파서블 걸이 되면서 닥터라는 존재에 영향을 주고 영향을 많이 받은 캐릭터였다. 시즌 8에서 클라라는 성격과 행동마저 닥터화된 컴패니언이 되었다. 이를 통해 모팻은 닥터라는 캐릭터를 클라라를 보는 관객의 시선을 통해서도 볼 수 있게 해주고, 닥터를 보완해주거나 강화시켜주며, 입체성을 부각시켜준다. 이런 클라라의 방향은 닥터와의 여행이 컴패니언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기도 하며, 닥터와의 여행이 항상 좋지만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9]

이렇듯 클라라의 갑작스러운 빌런화는, 모팻 특유의 얄미운 묘사 방향(811 초반 클라라)도 없잖아 있지만, 기존에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컴패니언 상을 구축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더군다나 시즌 7에 등장했는데 컴패니언이라기보다는 떡밥으로만 여겨지던 클라라가 마침내 에이미, 리버처럼 부각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 쪽에서는 클라라의 적극성을 두고, 시즌 8의 다른 여성 캐릭터들과 더불어서, 마침내 모팻에게 능동적인 여성상이 나타났다며 긍정적으로 보는 시선도 있기는 있다.

연장선상에서, 대니 핑크라는 캐릭터와 대니와 클라라의 관계의 희생에 대해 탐구할 수 있다. 대니-클라라는 평소 모팻의 약점답게 러브라인이 왜 형성되는지 알 수 없었고, 대니는 미키만큼 비중이 없어졌다. 팬들 중에서는 미키가 그나마 낫다고 하는 팬도 있지만, 둘 다 플롯과 진 주인공간의 관계를 위해 버려지는 캐릭터라는 점에서는 오십보백보 수준. 그러나 그런 대니 핑크라고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대니 핑크를 통해 시즌 8은 그 주제를 확립하게 된다. 우선 대니는 뜬금없이 유닛의 요원이 되고 마사와 결혼을 하는 각본의 노리개(?)가 된 미키와 다르게 클라라를 닥터라는 동화에서 현실이라는 또 다른 동화[10]로 올 수 있게 하는 캐릭터로써의 역할이 있다.

또한 대니는 시즌 8 내내 닥터가 싫어하는 닥터의 일부 그 자체를 표상하는 캐릭터로써의 기능이 있다. 닥터랑 대니는 서로를 증오하며 대치되는 입장에 서는데, 사실 대니는, 닥터가 제일 싫어하는, 군인이었던 닥터 자신의 과거들을 떠올리게 하는 인물이기에 그렇다. 대니 역시 총을 들지 않은 장교로 닥터를 평가하며 닥터를 싫어하는데, 대니와 닥터의 이런 서로에 대한 증오는 서로가 서로를 닮았다는 걸 알기 때문이다. 두 캐릭터 다 참전 경험이 있으며, 전쟁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고, 닥터는 대니를 통해 전쟁을 하던 자신을, 대니는 닥터를 통해 총을 들지 않은 장교를 본다. 이 관계를 통해 시즌 8은 엄연히 "Am I a good man?" 이라는 주제의 연장선상에서 12대의 자기혐오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11]

피날레에서 미시가 닥터에게 군대를 선물하는 것 역시, 그 자체가 닥터를 내면에서부터 타락시키겠다는 속셈이었다. 닥터가 자신을 idiot이라고 정의내리면서 완벽한 영웅이 되고자 했던 10대의 노력을 성찰하는 대목, 그리고 군대 지휘권을 대니에게 넘기면서 닥터도 대니(참전한 닥터)도 마스터의 닥터 타락화 계획을 완전히 비틀어버리고 트라우마를 이겨냈다는 점에서 모팻은 "Am I a good man?"이라는 질문에 능글맞게 넘어간다. 닥터를 좋은 사람이라고 뻔하게 결말을 낸 게 아니라 그냥 멍청이다라고 한 것이 오히려 주제를 명확하게 드러났다는 평이 대다수. 여기에 804에서 보여진 '총 없는 군인 장난감'은 시즌 8의 주제를, 닥터를 표현하는 백미.

한동안 젊은 배우였던 것과 다르게 피터 카팔디라는 중년(?) 배우를 섭외하면서 시즌 8에서 활발하고 동적인 분위기는 많이 줄어들었다. 오히려 인물들의 관계, 심리묘사, 좀 더 어두워진 톤이 주가 되었다. 이는 시즌 8의 피날레에서 미시가 닥터에게 군대를 선물하면서 정점을 찍게 된다. 군대와 직접적으로 전쟁을 선포하거나, 화려한 입담으로 모두를 쓰러트릴 11대와는 다르게 12대는 차분하게, 약간은 빈정대며 문제를 해결한다. 비록 "닥터를 돕다가 희생당한 사람들을 더 조명했으면 더 좋은 피날레가 되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라라의 시즌 8 후반대의 감정선은 이해할 수 없다"는 아쉬운 평들이 없던 것은 아니나, 가장 감정적으로 강력한 시즌으로서 12대 닥터를 성공적으로 안착시켰다는 점에서 모팻은 다시 찬사를 받았다.

이 찬사는 2014년 크리스마스 스페셜 "마지막 크리스마스(Last Christmas)"로도 이어진다. 인셉션에일리언을 닥터후스럽게, 크리스마스 스페셜답게 버무린 모팻은 산타클로스, 반전에 반전을 계속하는 각본, 닥터와 클라라의 감정선 등을 탁월하게 보여주어 팬들과 평단에 다시 한 번 찬사를 받았다. 물론 인셉션에일리언를 합친 것 같다는 악평도 있었다.

그리고 2016년 1월 23일에 수석 작가 자리에서 하차한다는 공식 발표가 나왔다. 기사 보기 2016년에는 크리스마스 스폐셜 The Return of Doctor Mysterio만 방영했고 2017년 봄에 시즌 10 방영하고 크리스마스 스폐셜 Twice Upon a Time을 끝으로 완전 하차하였고 맡고 후임은 브로드처치의 수석 작가 크리스 칩널.

2.1.4. 뉴뉴 시즌 1 ~ (2024~)

이후 2021년에 러셀 T. 데이비스가 뉴 시즌 14부터 헤드라이터 직에 복귀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팬들은 모팻의 복귀 역시 바라기도 했지만 "할 일을 다 했기 때문에, 복귀 생각은 딱히 없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쇼러너 직에 복귀할 생각이 현재로써는 전혀 없다고 한다. 그래도 60주년 스페셜 제작 비화[12]를 보면 작게나마 도움을 준건 있는 모양.

그런데 2024년 3월 달 닥터후 뉴뉴 시즌 1에 보조 각본가로 복귀가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 무려 7년 만에 복귀한 셈이다.

이전에 유출된 정보에 의하면 2024년 크리스마스 스페셜의 각본도 담당할 것이라고 한다. 링크 게다가 3화 'BOOM'도 집필이 확정.

닥터후에 복귀한 후 라디오 타임즈에서 닥터후는 사회 반영보다 재밌는 이야기를 보여주는 게 우선이라며 BBC와 칩널 체제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링크 마크 게이티스가 언급했던 것처럼 모팻 체제의 후반기에선 BBC의 간섭으로 억지 PC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보니 당시 데였던 것도 포함한 비판으로 보인다.

그리고 Twice Upon a Time 이후로 오랜만에 집필한 에피소드인 'BOOM'이 평론가와 시청자들에게 공개 되었는데 역시 뉴 시즌의 여러 명작들을 배출했던 모팻답게 뉴뉴닥 최고의 에피소드라는 찬사를 받았다. 뉴뉴 시즌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팬들조차 호평할 정도였다.[13] 그에 대한 반증인지 뉴뉴닥 에피소드 최초로 IMDb 점수 8점대를 돌파했다.

'BOOM'의 공개 이후, 모팻이 담당할 크리스마스 스페셜 에피소드 제목이 'Joy to the world'로 드러났다.

2.1.5. 스타일

모팻이 지금까지 닥터후에서 보여준 것들을 모아봤을 때 모팻만의 스타일을 볼 수 있는데, 모팻은 첫째로 "사랑과 닥터의 섹슈얼리티"에 주목한다. 제한된 시간이라는 틀에서 애틋한 인연을 그린 "벽난로 속의 여인(The Girl in the Fireplace)"이 대표적이며, 닐 게이먼의 "닥터의 아내(The Doctor's Wife)" 각본 서술에 많은 도움을 주며 타디스와 닥터의 사랑을, 닥터의 섹슈얼리티를 이야기한다. 또한 뉴 시즌 5에서는 에이미와 로리와 닥터의 뜨듯미지근한 관계를 여러 에피소드 곳곳에서, 특히 "에이미의 선택(Amy's Choice)"에서 풀어나가며 닥터와 컴패니언의 관계를 자신만의 스타일로 그려내고는 "빅뱅(The Big Bang)"에서 결론을 낸다. 무엇보다도, 리버송과 닥터의 관계에는 사랑과 시간의 비밀이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하며 모팻 체제의 큰 틀을 잡는다. 특히 "리버송의 결혼(The Wedding of River Song)"에서는 닥터에 반한 "리버송"과 "닥터"의 인연에 정점을 찍는다. 이 외에도, "지하의 야수(The Beast Below)", "크리스마스 캐롤(A Christmas Carol)" 등에서 닥터가 결혼을 했다느니, 닥터의 지금까지의 인연이니 등을 간략히 서술하며 "섹시한 난봉꾼 닥터"의 모습을 그리고, 에이미와 로리와 리버송과 닥터의 관계에는 사랑이 크게 작용한다.

두 번째로 모팻이 주력하는 것은 "시간여행과 그 여파, 그 모순"이다. "깜박임(Blink)"에서 닥터가 "Timey Wimey(시간은 구 같은 것)"이라고 말하듯, 그의 시즌 전체에는 상대적인 시간의 개념이 일일이 언급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이 드러난다. 또한 악당을 퇴치하는 게 아니라 사건을 해결하는 데에 집중하는 그의 전개에서 시간여행은 가장 핵심적인 장치로 등장할 수 밖에 없는데, 초기에 러셀식에 길들여진 많은 국내 팬들은 난감하게 여겼으나 지금은 많이들 적응한 상태. "11번째 시간(The Eleventh Hour)"에서 에이미가 닥터를 알게 되는 과정은 시간여행이란 장치로 가장 개연성 높은 컴패니언 관계 중 하나로 그려냈으며, 많은 작품들에서 그려진 닥터와 리버송의 복잡한 시간대는 그의 시즌 전체를 관통하는 열쇠로써 극의 흐름을, 극의 긴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준다. 모팻은 시간여행이 주는 휴머니즘, 반전과 감동의 극대화를 애용하는데, 이러한 그의 스타일은 모팻의 작품을 끝까지 다 봐야 평가할 수 있는 근거로 남는다.

세 번째로 모팻은 "Doctor Who(닥터는 어떤 존재인가 or 닥터의 이름이 무엇인가)?"를 이야기하는데 주력한다. 닥터후의 작가가 되기도 전에 구상한 주제로 모팻은 닥터가 수백 년간 우주를 떠돌면서 우주에 남긴 영향을 보여주는데, 대표적인 예가 감마숲. 닥터가 좋은 모습을 보여준 지구에서만 닥터가 현인이고 덕분에 Doctor라는 단어가 현인이란 뜻을 가졌지만, 감마숲에서 위대한 전사의 모습을 보여준 것 때문에 감마숲에서 Doctor는 전사의 의미다.

한편 반닥터연합이나 사일런스의 진짜 의도는 닥터의 영웅주의를 비트는 것이었다. 닥터가 갈리프레이를 현 우주로 귀환시키려 하자 전쟁이 일어나는 것을 막으려고 사일런스는 과거로 돌아가 타디스를 폭파시켰고 리버송을 만들었다. 폭발한 타디스를 닥터 탓이라 생각한 반닥터연합은 닥터가 타디스를 터트려 우주를 없애버리는 걸 막으려고 결성되었다. 한마디로 이 둘은 닥터의 안타고니스트일 뿐, 어디까지나 우주를 보호하는 파수꾼이며 생존을 위해 싸운 결사라는 것이다. 이런 악당들의 존재는 때로는 지구를 지키기 위해 한 종족을 전멸시키는 닥터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아 악당들의 입체감을 높이며 닥터의 영웅주의를 다른 관점에서 비틀려는 모팻의 노력을 보여준다.

이렇게 닥터의 어두운 면을 점점 부각시키더니 모팻은 The Day of the Doctor에서 대놓고 전쟁의 닥터를 소개한다. 스스로를 닥터라고 부르지 않는 이 전쟁의 닥터는 닥터의 양면성을 묘사할 뿐만 아니라, 닥터의 이름에 부여된 가치를 관객들에게 어필한다. 닥터의 이름이 비밀인 것도 어떤 면에서는 트렌잘로어에 있는 자신의 타임라인에서 전쟁의 닥터를 찾지 못하게 한 거라고 볼 수 있으며, 닥터라는 이름으로 건 맹세를 다시 말하며 갈리프레이를 구하기로 다짐하는 장면은 어쩌면 Doctor Who?에 대한 모팻만의 대답일지 모른다.

그리고 'Blink'나 'BOOM'처럼 시작하자 마자 닥터를 무력화 시키고 그가 주변 인물의 도움을 받게 만든다.

종종 등장하는 또 다른 컨셉은 "두려움"이다. 흔한 권선징악적 구조에서 벗어나 어쩔 수 없이 악행을 저지르는 나약한 인물들을 묘사하며 모팻은 오늘날 우리를 두렵게 하는 현대사회의 은밀한 악을 이야기한다. 대표적으로 회사의 이익을 위해서 병사들을 희생시키는 기업 빌렌가드가 있다. 또한 적을 미지의 존재로 은연히 남기며 관객들에게 공포와 깊은 인상을 남기는데, 눈을 돌리면 잊어버리는 사일런스, 안 보면 움직이는 우는 천사, 그림자로 기생하는 배쉬타 너라다, 침대 아래의 태엽로봇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공포적인 분위기는 어떤 면에서는 어린이들의 두려움을 테마로 한다고 볼 수도 있겠는데, '소파 뒤에서 본다'는 말을 만들 정도로 당시에는 큰 충격이었던 올닥 시즌의 분위기를 반영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 외에도, 타디스를 통신 수단(telephone box)으로 쓰고, 타디스에게 여성성을 부여하며, 타디스를 좀 더 다양하게 묘사한다는 점도 들 수 있으며(두 번이나 리모델링한 건 모팻이 유일하다!), 빅토리아 시대의 테마를 무척 좋아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캐릭터의 이름이 갖는 의미나 상징성을 무척 좋아하는데, The Girl Who Waited로 일컬어지는 에이미 폰드의 이름에서 에이미에는 말썽쟁이, 사랑받는, 어머니라는 뜻이 있고, 폰드에는 물의 근원이란 뜻이 있어서 리버송의 근원(엄마), 이야기의 근원(에이미 방의 금이 간 벽)으로 해석될 수 있고, The Impossible Girl로 일컬어지는 클라라 오스윈 오스왈드의 경우 클라라에는 길 잃은 자를 빛으로 인도하는 현인이, 오스윈에는 신의 친구, 오스왈드에는 신의 지배자라는 뜻이 있다고 한다. 괜히 불가능의 소녀가 아니다!

2.1.6. 모팻이 만들어낸 캐릭터와 설정들

2.1.7. 모팻이 뽑은 최고의 11개 에피소드

출처

2.1.8. 닥터후 매거진 474호에 수록된 모팻의 닥터후 에피소드 순위

2.2. 셜록 (2010 ~ 2017)

해당 항목 참조 바람. 각본으로 참여한 에피소드는 다음과 같다.
어째 시즌 3부터 비중이 급격히 커진다.
유령 신부부터는 모팻과 게이티스 둘만 남는다.

2.3. 틴틴: 유니콘호의 비밀 (201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틴틴: 유니콘호의 비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클래스 (201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클래스(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드라큘라 (202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드라큘라(202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인사이드 맨 (2022)

3. 평가 및 비판 혹은 반론

3.1. 닥터후에서의 평가

파일:1500232935.png

각본가로써의 능력은 수준급이다.[25] 이 점은 모팻을 까는 사람들조차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즉, 에피소드를 쓰는 능력이 부족하다든지 해서 까이는 것은 절대 아니다.

실제로 모팻은 공식적으로 헤드라이터(Head Writer)를 맡기 전인 시즌 1~4 때 보조 작가로써 여러 에피소드들을 집필했는데, 시즌 1 때는 The Empty Child/The Doctor Dances(캡틴 잭 하크니스의 첫 에피소드)를, 시즌 2 때는 The Girl in the Fireplace를, 시즌 3 때는 Blink(우는 천사의 첫 에피소드)를, 시즌 4때는 Silence in the Library/Forest of the Dead(리버송의 첫 에피소드)를 썼다. 덧붙이자면 IMDB 평점을 기준으로 에피소드들이 모두 각 시즌별 최고의 에피소드 평점을 받았다..

러셀은 시즌 1~2 시절엔 슬리딘, 어브조바로프 등등 정말 특촬물 같은데서 나올 법한 혐오스럽게 생긴 '외계인'의 이미지를 그대로 답습했다면, 모팻은 공허한 아이, 우는 천사, 사일런스등 미스테리한 분위기를 풍기며 외계인이 가진 능력에 대해서 좀 더 참신한 설정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모팻의 영향 때문인지 러셀도 나중에 좀 더 미스테리한 분위기를 풍기는 외계인 설정을 시도하였다. 대표적인 예시가 Midnight. 그리고 모팻은 좀 더 '시간여행'적인 요소를 부각해서 시간의 어긋남, 뒤틀림을 이용한 스토리텔링(Blink, The Girl in the Fireplace, 닥터-리버송 관계의 복잡한 타임라인)에 굉장히 능하였기에[26] 사실상 닥터후가 '애들이나 보는 아동용 특촬물'이라는 인식에서 '성인층 타겟의 시간여행 SF 드라마'라는 인식으로 바뀌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모팻이 쓴 IMDB 에피소드 점수 평균은 8.69로, 이는 러셀의 평균인 8.12 보다 높은 수치이다. 다만 모팻이 러셀보다도 더 오래 활동했기 때문에 평점이 더 높은 측면도 있다. 여담으로 마크 게이티스의 평균은 6.35(…) 출처 실제로 마크 게이티스는 매 에피소드마다 재미가 없다는 평가를 받으며, 특히 시즌 9 9화(Sleep No More)라는 최악의 에피소드가 나오면서 각본가로써의 능력이 꽤나 도마 위에 올라와 있으며 수석작가 겸 제작자가 되면 너무 위험하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고, 셜록 시즌 4를 말아먹은 것도 (셜록 시리즈는 모팻 혼자만 만든 것이 아닌 마크 게티스와의 합작이기 때문에) 모팻이 아니라 게이티스 때문이 아니냐는 말도 나왔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팻에 대한 호불호는 심하게 갈리는데, 그 원인은 모팻의 헤드라이터로써의 단점이다. 후술할 내용을 요약하자면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1. 떡밥과 스토리텔링은 좋지만 모든 것을 다 풀어 나가기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27]
2. 12대 닥터 시즌에서부터 슬슬 보이기 시작한 무리수와 한계
3. 모팻이 맡은 모든 시즌(특히 시즌 10) 마다 잘못 쓴 보조 작가(특히 마크 게이티스) 인력

모팻의 문제점이 본격적으로 부각된 것은 시즌 6부터이다. 모팻은 시즌 5부터 사일런스, 타디스의 폭발 등의 떡밥을 두고 닥터후의 스토리를 전개해 나갔다. 그러나, 한 시즌 내에서 한 시즌 전체의 떡밥은 착실히 풀어 나갔던 러셀과는 달리, 모팻은 자신이 뿌린 떡밥을 시즌 5, 6, 7 전체에 걸쳐서 해소해 나갔으며, 그나마 사일런스 떡밥은 시즌 6에서 회수하기라도 했지만 결말에서 또 다시 'Doctor Who?'라는 떡밥을 뿌린 모팻은 "시즌 5에서도 마무리를 찝찝하게 해 놓았고 가뜩이나 지금도 풀 떡밥이 많은데 언제까지 팬들을 기다리게 만들 거냐?"라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게다가 타디스의 폭발 같은 떡밥은 11대 닥터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The Time of the Doctor에서 아주 잠깐의 대화로 해소했는데, 이에 대한 팬들의 반응은 "이걸 가지고 세 시즌이나 끌었다고?" 정도였다. 스케일에 비해서 너무 허접하게 끝났다는 것이다.

그래도, 시즌 5, 6은 최고의 시즌들이라는 평가도 많고, 시즌 7은 그나마 떡밥회수는 나쁘지 않게 끝났고 후반부의 3부작이 캐리했으니, 여기까지였다면 모팻은 그냥 호불호가 어느 정도 갈리는 헤드라이터로 평가받았을 것이다.

문제는 바로 12대 닥터 시즌. 모팻은 시즌 8부터 슬슬 사랑의 힘이라는 무리수까지 둬 가면서 피날레를 허무하게 끝내더니,[28] 시즌 9에서는 두 전투 종족 간의 혼종(The Hybrid)이라는 시즌 9의 떡밥을 애매모호하게 넘기면서 시즌을 끝내버렸다.[29]

시즌12 마지막화에서 마스터가 갈리프레이를 파괴하고 타임로드의 시체를 전부 사이버맨으로 개조했다. 이것을 하이브리드라고 해석하는 의견이 많다. 문제는 시즌12의 막장성과는 별개로 하이브리드 떡밥이 세 시즌 뒤에나 가서야 대두될 정도로 떡밥에 대한 궁금증이 해당 시즌에서 전혀 해소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파일:Doctor_Who_rating_average.png

게다가 시즌 9부터 급기야 닥터후의 시청률이 하락하기 시작하더니[30], 시즌 10에선 닥터후 역대 최저 시청률을 기록했다.[31] 뉴 시즌 10의 시청률이 최저 250만(시청자 수)까지 하락한 것은 비단 시대상에 따른 매체의 변화로만 해석하기에는 상당히 낮아진 것이다.[32] 주관적인 영역이나 점차 모팻의 스토리라인에 강한 불호를 나타내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방영 이후 반응도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지기도 했다. 시청률 무용론 항목 참조. 아무리 시청률이 평가의 모든 것이 아니라고는 해도, 시청률 바닥은 좋은 현상이 절대 아니다.

특히 시즌 10이 안 나온 2016년은 스핀오프인 클래스(드라마) 역시 대 쪽망을 치며 닥터후 뉴 시즌 역사상 가장 암울한 침체기를 맡았던 연도기도 하다. 물론 클래스의 경우 모팻이 아닌 패트릭 네스(Patrick Ness)가 각본을 맡은 것이며, 각본가를 지정한 것도 모팻이 아닌 BBC 측이기 때문에 클래스에 있어서는 모팻을 비판할 부분은 아니다.

다만 모팻 본인이 제작자로 나선 만큼 BBC 몰래 네스의 각본을 중간에 수정할 수도 있었을 것이고, 어쨌든 제작에 참여했기 때문에 역시 책임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33] 덕분에 스핀오프도 더 이상 못 나올지도 모르는 상태까지 만들어놓고 떠났다.

사실 시즌 10을 말아먹은 건 모팻의 에피소드가 아닌 마크 게티스와 토비 위트하우스(Toby Whithouse)) 그리고 피터 하네스(Peter Harness) 같은 보조 작가들의 에피소드이다. 모팻이 쓴 에피소드 4개[34]의 평가는 대체로 준수하고, 특히 피날레 2부작은 뉴 시즌 최고의 피날레라는 평도 심심찮게 듣는다. 가장 큰 문제는 무능한 보조 작가들의 비중을 너무 많이 넣은 것이다. 이 문제점이 가장 부각되는 부분은 시즌 10 6~8화인 수도승 3부작 에피소드이다. 첫 번째 에피소드는 모팻이 단독으로 집필했고, 두 번째는 모팻과 하네스가 공동 집필, 세 번째는 위트하우스가 집필했다. 첫 번째 에피소드는 모팻의 에피소드답게 호평을 받았지만, 두 번째 에피소드부터 그 뒤의 전개가 어떻게 될 지 아직은 사람들이 몰랐기 때문에 무리수 전개로 슬슬 비판을 받기 시작하더니, 세 번째 에피소드에서 제대로 말아먹었다.[35] 3부작이면 세 에피소드 모두 동일한 작가가 써야 안정이 되는데, 어째서인지 나머지를 무능한 보조 작가에게 맡겨서 완전 망해버린 것이다. 모팻이 작품 내적으로는 꽤 뛰어날지는 몰라도 작품 외적으로는 그렇게까지 뛰어나지 않다는 것을 제대로 보여 준 시즌.

다만, 시즌 10이 난장판이 된 것이 모팻 본인의 탓이 아닌 BBC 차원의 문제라는 의혹이 팬들 사이에서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시즌 10에서 기존의 모팻답지 않게 PC 요소가 떡칠되어서 나왔는데 이 점에 대해서 BBC가 억지로 PC 요소를 넣게끔 강요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존재한다. 또한 문제의 수도승 3부작 역시 지금까지 모팻이 2부작 이상의 에피소드를 쓸 때 시작과 끝을 모두 본인이 직접 썼던 것과 달리 첫 번째 에피소드만 모팻이 단독으로 쓰고 두 번째는 보조 작가와 공동 극본, 세 번째는 보조 작가 혼자서만 쓰게 했다는 것이 사실은 BBC 차원에서 일부러 모팻의 영향력을 줄이고 보조 작가들의 비중을 크게 하기 위해 강압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BBC 개입설도 존재한다. 그리고 칩널 체제의 첫 시즌인 시즌 11이 이 문제들로 비판받으면서 BBC 개입설이 사실로 드러났다. 이 때문에 닥터후에 복귀한 이후 BBC에게 앙금이 있었던 모양인지 라디오타임즈에서 나와 BBC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이에 대해 그나마 모팻을 변호할 수 있는 사실이 있긴 하다. 실제로 모팻은 시즌 9 크리스마스 에피소드인 <The Husbands of River Song>을 마지막으로 닥터후를 떠날 예정이었다. 원래는 크리스 칩널이 시즌 10부터 헤드라이터를 맡을 예정이었으나, 브로드처치 시즌 3의 촬영 일정이 미뤄져서 모팻이 별 수 없이 닥터후에 남은 것이다.[36] 허나, 모팻이 시즌 10에서만 헤드라이터로서의 역량을 발휘하지 못한 것이라면 몰라도, 시즌 8부터 제대로 역량을 보이지 못한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칩널 제작진이 닥터후에서 저지른 만행이 드러난 지금 시점에서는 시즌 10 또한 모팻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는 요소일 뿐이다

다행이도 모팻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시즌 10 크리스마스 스페셜 <Twice Upon a Time> 은 준수하게 나왔다. 닥터후의 전형적 요소인 적과의 전투가 없어서 그렇지, 재생성을 대하는 두 닥터의 내면 묘사를 다룬다는 면에서는 꽤 뛰어났다. 다만 다른 뉴 시즌 닥터의 재생성 에피소드에 비해 러닝타임이 지나치게 짧다는 점에 아쉬워하는 팬들도 많은 듯. 또한 모팻이 지금까지 뿌려놓은 수많은 떡밥들 중 제대로 해결되지 않은 떡밥[37]이 상당히 많은 채로 닥터후를 떠난 것에 대해서 여전히 비판하는 의견도 있는 편이다.

물론 이는 나중에 크리스 칩널 제작진이나 이후 제작진들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긴 하지만, 다른 제작진들도 모팻 제작진과 완전 다른 떡밥 내용을 한참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그대로 이어갈 가능성이 매우 낮고 시즌 10은 악평이 심하고 시청률까지 심하게 떨어지게 만든 시즌이라서 흑역사로 취급하고 무시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모팻 스스로가 뿌린 떡밥을 본인이 거두고 가지 못한 것은 큰 잘못이다.

시즌 7~8까지는 잘 하다가, 후반부에 크게 실책을 하고 떠난 것이다. 분명히 에피소드도 잘 쓰고, 작정하고 떡밥농사를 짓거나 헤드라이터 일을 하면 잘 하는 작가지만, 닥터후에 너무 오래 있던 나머지 한계를 너무 많이 보여준 작가라고 할 수 있겠다. 장기연재는 역시 아무나 하는 게 아니다

하지만 후임의 지대한 활약으로 결국 후비안들은 현재 돌아와 달라고 오열 중이다

3.2. 여성관에 대한 논란?

2012년에, 페미니스트이자 자유기고자인 '제인 클레어 존스(Jane Clare Jones)'는 가디언지를 통해 스티븐 모팻의 여성관에 대해 지적하는 기사를 썼다.#(아카이브) 한글번역(아카이브) 내용을 요약하자면, 셜록에서도 닥터후에서도 공통적으로 남성 캐릭터는 천재 캐릭터로 여겨지는 반면 여성 캐릭터는 입체적이지 못하고 닳디 닳는 스테레오 타입으로 그려내며, 특히 셜록에서는 그 정도가 심각해 남성 캐릭터와는 달리 여성 캐릭터는 그저 남성 캐릭터들의 지적 매력을 돋보여주기 위한 도구로밖에 사용하지 못한다는 내용이다. 한편 이에 대해 스티븐 모팻은 가디언지 인터뷰에서 에이미 폰드리버 송의 예시를 들며, 두 캐릭터는 자주적이고 강인하며 닳디 닳는 스테레오 타입의 여성 캐릭터가 아니라고 제인 클레어 존스의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아래는 스티븐 모팻 인터뷰 전문
최근 방송된 시즌2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는 레즈비언 가학성애자를 만난 홈즈가 성적 혼란에 빠지는 내용이 전해졌다. 이 여성은 셜록 앞에 홀딱 벗고 나타나 '독단의 잠'에 빠진 그의 섹슈얼리티를 일깨워주려 한다. 사실 이런 내용은 원작의 에피소드인 '보헤미아 스캔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다. 모팻과 개티스가 만들어낸 이런 설정에 대해 자유기고가이자 페미니스트인 제인 클레어 존스는 "과거 '여성 혐오의 시대'로 돌아간 설정"이란 비판을 했다. 그녀의 말에 따르면, 원작의 아이린 에들러는 홈즈보다 한 수 위인 '승부사'로 그려졌었다. 그러나 [셜록]에서는 "고급 창녀이자, 우리의 영웅이 나타나 극적으로 목숨을 구해줘야 하는 인물"로 그려졌다. 또한 존스는 "도일의 원작 또한 그다지 성(性)에 관해 진보적이라 할 순 없지만, 2012년의 작품이 1891년의 작품보다 더 퇴보된 여성상을 보여준 것은 분명 걱정할 만한 일이다"라는 말도 덧붙였다.

물론 모팻은 이런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다. "원작에서 말하는 아이린 에들러의 '승리'라는 건 고작해야 집을 옮기고 자신의 남편과 함께 도망치는 게 전부였어요. 이건 페미니스트적인 승리라고 보기 힘들죠." 그는 존스의 주장이 상당히 '모욕적'이라고도 했다. "사실 다른 사람들은 모두 '아이린이 이겼다'고 생각해요. 마지막에 셜록이 나타나 그녀를 구해주는 건 마치 [마이 페어 레이디]에서 일라이자 둘리틀이 헨리 히긴스 교수에게 돌아오는 것과 마찬가지인 상황이라구요. '네. 저 당신 좋아해요. 그러니 이제 이 큰 칼로 저 테러리스트들을 작살내줄게요.' 뭐 이런 거죠."

"만약 제가 눈에 보이는 그대로의, 정상적이고 평범한 캐릭터들만 만들어왔다고 생각한다면 당연히 저의 성(性)적 정치성에 대해서도 단순한 결론을 내릴 수 밖에 없을 거예요. 하지만 제가 만든 셜록이나 아이린 캐릭터 모두 분명 정상은 아니거든요. 일종의 '광기 속의 사랑'이랄까요. 셜록은 사이코패스이고 아이린도 마찬가지에요. 아이린은 셜록이 비밀 코드를 풀자 바로 그를 내쳤고, 셜록 또한 그녀가 거의 처형당하기 직전까지 내버려뒀죠. 이러니 두 사람은 같이 집을 마련하거나 볼보 자동차를 사는, 뭐 그런 평범한 커플은 절대 될 수 없어요. 어느 누가 얘네들처럼 데이트를 하겠어요!"

모팻이 성차별적인 작품을 썼다며 비난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최근 그는 닥터 후의 어머니에 관한 이야기를 썼었다. "글쎄, 저보고 여성 혐오주의자라고 하더군요. 제가 여성을 '어머니'란 존재로 한정짓는다나요. '여성을 어머니란 존재로 한정짓는다'라니, 제가 들어본 말 중에서 가장 여성주의와 거리가 먼 말이에요."

존스가 모팻을 비난하는 부분은 하나 더 있었다. 모팻이 [닥터 후]를 맡아 이끄는 동안 (그는 2008년부터 '러셀 T 데이비스'의 뒤를 이어 [닥터 후]의 수석 작가가 되었다) 여성 캐릭터들은 하나같이 지겹고 식상한 인물들로 표현되었으며 (따분한 / 땍땍거리는 / 유혹적인 / 엄마같은 여자 등등), 그가 주인공과 동료들 사이의 주요 관계를 흥미롭게 그리는데 실패하는 바람에 작품의 드라마틱한 힘이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말을 듣던 모팻이 갑자기 끼어들었다. "'리버 송'은요? '에이미 폰드'는? (둘 다 모팻이 만든 [닥터 후]의 주요 여성 캐릭터들이다) 이 두 사람 다 전혀 약해빠진 그렇고 그런 여자들이 아니에요. 완전 반대라구요. 오히려 저한테 '힘이 넘치고, 섹시하고, 사람들을 골려대는 그런 여자를 좋아하는 거 아니냐'고 따지는 게 맞는 거죠. 그 쪽이 더 말이 된다니까요."

사실 모팻은 자기를 비난하는 사람들을 무시하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인터넷에 잘 안들어가려고 해요. 언제나 절 비난하려고 안달이 나 있거든요." 그가 모리아티 캐릭터를 아일랜드 출신으로 설정했을 때, 사람들은 그가 코난 도일을 배신한 거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모팻과 개티스는 오히려 이런 설정을 통해 자유를 얻은 느낌이었다. 그 옛날, 배우이자 극작가인 윌리엄 질레트는 처음 셜록 홈즈 연극을 각색하던 당시 원작자 도일에게 "홈즈랑 결혼해도 될까요?"라는 전보를 보냈었다. 그러자 도일은 "결혼을 하든, 죽이든, 당신 마음대로 하세요."라는 답변을 했다. - 스티븐 모팻 가디언지 인터뷰 (아카이브)

실제로 모팻이 만든 여성 캐릭터들인 에이미 폰드, 리버송, 제니 플린트 등등 모두 터프하고,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캐릭터들이다. 에이미 폰드의 경우는 오히려 남친인 로리 윌리엄즈를 휘두르고 다니며 오죽하면 11대 닥터가 둘이 결혼하면 에이미가 성을 바꾸는게 아니라 로리가 로리 폰드로 성을 바꾸라고 농담할 정도다(…) 모팻은 '남성에게 의존적이고 수동적인 여성상'을 완전히 탈피한 여성 캐릭터들을 상당히 많이 만들어냈다. 따라서 모팻이 여성혐오자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상당히 떨어진다.

또한 스티븐 모팻이 12대 닥터를 캐스팅 할때 '여자 닥터가 등장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가 아니다'라고 하였던 것으로 인해서#(아카이브), 스티븐 모팻이 '여자 닥터의 등장을 반대하는 여성혐오자이다'라는 주장이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제시되었는데 '최적의 시기가 아니다'라고만 하였을 뿐 여자 닥터 자체를 반대한건 아니다. 그도 그럴것이 11대 닥터때는 사람들이 10대 닥터 데이비드 테넌트가 하차한다는 이유만으로 BBC에게 온갖 항의를 했을 정도로 그 여파가 엄청났던 때라 그 상황에서 닥터 성별까지 바꾼다하면 그야말로 대난리가 벌어질 상황이었고, 그나마 맷 스미스가 훌륭한 닥터역을 보여주어 '닥터 배우가 바뀐다는 것'에 대해 팬들도 어느정도 익숙해졌을 시점인 12대 닥터라 하더라도 시즌8 이전까지는 '재생성으로 성전환이 가능하다'라는 설정이 나오기 전이었던것은 물론 피터 카팔디라는 50년간 닥터후 덕질한 훌륭한 닥터 배우감이 있었던지라 11대 닥터와 12대 닥터를 여자 배우로 캐스팅 하지 못했던건 당시 상황을 생각해보면 당연하다.

특히 스티븐 모팻이 마치 여성혐오자이며, 여자 닥터를 반대한 것 마냥 허위사실이 퍼지는 것은 외국 못지않게 국내에서도 심각한데 암튼뉴스(아카이브)에서는 "1대 닥터부터 12대 닥터까지 '백인 남성'만이 배우를 맡은 것에 대해 비판이 존재했다", "스티븐 모팻의 성차별적 발언도 논란이 되면서 어느때보다 여자 닥터에 대한 요구가 늘어난 상황이었다"라는 허위사실을 대놓고 보도하였다. 상술했듯 모팻은 여자 닥터에 반대한게 아니라 최적의 시기가 아니라고 한 것일 뿐이며, 후술되어있지만 모팻 본인도 13대 닥터가 여성 닥터가 된 것에 대해 매우 찬성해하고있다. 이와 별개로 이전부터 스티븐 모팻이 여성혐오적 발언을 했다고 주장이 외국에서 부터 한국으로 까지 퍼져 가정 사실화돼서 퍼지기도 했는데 마찬가지로 사실이 아니다. 원래 모팻은 그러한 악질적인 루머에 시달리곤 하는데,사례중 하나로는 모팻이 어떤 언론사의 인터뷰에 응하지 않자 그 언론사에서 대놓고 악의적인 관점에서 작성한 기사가 퍼진 경우도 있다. 혹은 본인이 한 적 없는 발언이 실제로 발언했다는 식으로 루머가 퍼져서 트위터를 통해 직접 루머에 대해 정정하는 일 까지 있었을 정도이다. 이렇듯 영국내에서 모팻은 각종 악의적인 루머에 의해 공격받고 있는데 한국에서조차 그게 사실인 것 마냥 퍼지고 있는 중이다.

또한 해당 기사 자체가 애시당초 닥터후의 역사나 설정 자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억지주장으로 모팻을 비판하고있다. 스티븐 모팻은 단 2명의 닥터(11대 닥터, 12대 닥터)를 만들었을 뿐이기에 1대 닥터부터 12대 닥터까지 백인 남성만 캐스팅 된 것에 대한 모든 비판을 모팻 혼자에게 뒤짚어 씌울 수는 없는 노릇이다. 물론 단지 그 두명의 닥터만을 백인 남성으로 캐스팅 한 것에 대한 비판이라면 몰라도 말이다. 그런데 정작 여자 닥터로써 캐스팅 된 조디 휘태커 역시 백인이다(…)

거기다 스티븐 모팻이 각본을 맡기 전까진 닥터후에서는 재생성으로 타임로드가 성 전환이 가능하다는 설정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38] 쭉 남자 닥터가 나왔던 것이 당연하다. 오히려 해당 기사의 주장과는 정 반대로, 닥터후 내에서 재생성으로 성 전환이 가능하다는 설정을 본격적으로 도입한게 바로 스티븐 모팻이다. 이에 대해선 13대 닥터 문서에서도 자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원래는 닥터후에선 재생성으로 성전환이 가능하다는 설정 자체가 없었으나 스티븐 모팻의 경우 10대 닥터 마지막 에피소드인 시간의 종말 에서 10대 닥터가 재생성 후 11대 닥터 대사부터 본인이 집필했는데, 여기서 11대 닥터가 "내가 여자가 된건가?"라고 말하는 대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재생성을 통한 성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이후 시즌 6 4화에서도 11대 닥터가 '코셰어'라는 재생성을 한 타임로드가 있다는 언급을 함으로써 다시한번 확인시킨다. 마찬가지로 모팻이 집필한 미니 에피소드 "The Night of the Doctor" 에서도 칸의 자매들이 8대 닥터에게 약물로 원하는 재생성을 할 수 있다면서 여자인지 남자인지조차 선택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여기서도 재생성 성전환이 가능하다고 언급되었다. 그리고 모팻은 시즌 8 이후로는 직접적으로 재생성을 통한 성전환을 아예 작중에서 보여주는데 그것도 다른 인물도 아닌 작중 중요 캐릭터인 마스터여자로 재생성시키고, Hell Bent 에선 갈리프레이 사령관이 재생성으로 성전환을 하는 모습을 직접 보여주었다. 모팻이 최초로 '재생성을 통한 성전환'이 가능하다는 설정을 시리즈에서 보여주어 13대 닥터 이후로는 여자 닥터가 나올 수 있을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한 밑 발판을 많이 깔아놓은 덕분에 여자 닥터가 등장할 수 있었던 것 이다.

덧붙여 재생성으로 피부색이 바뀐다는 설정을 도입한 것 역시 스티븐 모팻인데, 흑인이었던 멜스가 백인인 리버송으로 재생성 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시리즈 내에서 최초로 재생성으로 피부색이 바뀔 수 있다는걸 보여주고 Hell Bent 에서는 백인 남성이었던 갈리프레이 사령관이 흑인 여성으로 재생성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향후에 비백인 닥터가 나올 수 있을 가능성도 열어두기 위함으로 보인다. 즉 닥터후는 지금까지 재생성으로 성별이 바뀐다거나 피부색이 바뀐다거나 하는 설정이 없었는데 그러한 설정을 처음으로 도입한게 스티븐 모팻이다.

또한 스티븐 모팻은 여자 닥터 캐스팅에 대해 "닥터후는 놀라운 미래를 가지고 있으며, 나는 그것중 일부를 보았습니다. 나는 조디가 닥터를 연기한 첫번째 장면을 보았고, 스스로 확신했습니다. 우린 스릴넘치는 배에 타고있고 그녀는 이미 훌륭합니다."[39], "이것은 아주 작은 순간입니다. 그녀는 우리가 항상 알고있던 닥터를 우리에게 줄 것 입니다. 단지 새로운 방식으로요. 우린 매우 흥미진진한 일을 하고 있습니다."[40] 기사(아카이브) 등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각종 언론에서 '여자 닥터 캐스팅에 관해 닥터후 팬덤 내에서도 수많은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라는 지적에 대해서 '이미 대다수의 닥터후 팬덤은 이런 변화를 받아들이고 있는 분위기이며 마치 대다수의 후비안들이 여자 닥터에 반대하면서 난리가 난 것 마냥 글을 쓰는 언론사들은 제발 닥치길 바란다'라는 입장을 밝히기까지 하였을 정도이다.
<닥터 후> 팬덤 내에서 여성 닥터 캐스팅에 관한 비난의 분위기가 있다는 기사가 쏟아지고 있는데, 비난 같은 건 전혀 없었다. 현재 일반적인 여론은 개념상으로 보수적인 ‘닥터 후’ 팬덤이 이런 변화를 거의 완전히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사람들은 이에 대해 엄청난 문제가 있다는 것처럼 행세하고 싶어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닥터 후 팬들은 이 훌륭한 배우가 여자라는 것에 주목하기보다는 이 작품에 참여한다는 것에 더 기뻐하고 있다. 믿을 수 없이 진취적인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이와 다른 사실을 날조하며 글을 쓰는 언론사들은 제발 부탁인데 좀 닥쳐주셨으면 좋겠다. - <닥터 후> 여성 닥터 캐스팅 비난 여론에 대해 입을 연 스티븐 모팻 (아카이브)

또한 모팻의 여성관에 문제가 없다는 근거중 하나로는 모팻의 아내인 수 버추(Sue Vertue)가 남편의 성을 따르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도 있다. 한국에서야 원래 당연하다지만, 일본이나 서양권 국가에서는 여성이 결혼하면 남편의 성을 따르는게 보편적이다. 하지만 이것이 가부장적 제도의 성차별이라고 생각하는 부부들은 결혼 후에도 아내의 성은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셜록: 유령신부에서는 스티븐 모팻이 페미니스트를 비하했다는 주장이 영국 언론에서 제시된 바 있는데국내 보도 기사 일단 셜록: 유령신부는 모팻 단독 각본이 아닌 마크 게티스와의 공동각본이라는 점은 둘째치고, 해당 영화를 본 사람은 알겠지만 페미니스트를 비하하긴 커녕 오히려 작품 내에서 옹호하고 있는게 아니냐는 시선도 존재한다.

셜록: 유령 신부가 여성혐오적이라고 지적하는 측에서는 셜록이 사건의 배후였던 여성인권운동가 조직들 앞에서 그들이 사용했던 트릭들을 전부 까발리는 장면을 맨스플레인이라고 주장하였는데, 맨스플레인 문서에서도 설명되어 있지만 이것은 남자가 '이런건 남자니까 여자보다 잘 알지', '여자는 이런걸 모르니까 남자인 내가 설명해줘야지'라는 의도를 가지고 여성에게 뭔가를 설명하려고 하는 것이 맨스플레인이다. 하지만 이를 오용하는 페미니스트들은 단순히 남자가 여자에게 무엇을 설명하려 하는 것 만으로도 맨스플레인이라고 지적하기도 하는데, 셜록은 당시 범죄자들이 사용했던 트릭을 '추리'한 것이다. '여자는 이런걸 모르니까 남자인 내가 설명해줘야지'라는 의도도 아니었을 뿐더러, 심지어 맨스플레인은 '듣고있는 사람이 그 정보를 모른다는 전제하에' 설명하는 설명충 스러운 상황을 뜻하지만 셜록이 한 '추리'는 정 반대로 범죄자들은 이미 자신들이 사용한 트릭에 대해서 당연히 알고 있고, 셜록은 그 트릭을 파헤쳐내서 범죄자들에게 설명하는 것 이다. 즉 정보를 모르는 여성에게 남성이 그것을 가르치려고 드는 맨스플레인의 의미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영화 내에서 여성인권운동 비밀결사들이 KKK단을 연상시키는 가운데가 뾰족한 모자를 쓰고 등장해서 이 작품이 '페미니스트=KKK단과 동급' 이라는 인식을 심으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비판이 지적되기도 했는데 KKK단이 쓰는 고깔 모자는 Capirote라는 것으로 이는 KKK단이 쓰기 전 부터 원래 종교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던 고깔모자이다. 따라서 KKK단만의 상징이라 볼 수 없으며, KKK단은 하얀색 이지만 작 중 등장한 여성인권운동 비밀결사들은 보라색을 입고있다.

거기다 영화를 본 사람은 알겠지만, 마이크로프트 홈즈는 이 사건에 배후에 여성인권운동 비밀결사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있음에도 불구하고 셜록에게 '그들이 옳기에 우리는 이길 수 없는 전쟁을 하고 있다'라는 대사를 함으로써, 오히려 급진적인 여성인권운동을 옹호하고 있는 묘사가 존재한다.

사실 러셀 T. 데이비스야말로 2008년 크리스마스 스페셜에서 빅토리아 시대의 성차별적 사회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하는 머시 하티건을 악역으로 그린 바가 있다.[41]

이와는 별개로 지나치게 선정적이거나 성적으로 문란한 여성 캐릭터가 너무 많다는 비판이 있다. 에이미는 등장 초기 당시 선정성 논란은 물론이고, 결혼식 전날에 닥터에게 강제로 키스하고 자려고 하질 않나, 결혼식 당일에는 아예 신랑 앞에서 닥터에게 키스하려고 하고, 리버송도 상당히 문란한 캐릭터이며 클라라도 시즌8에서는 대니 핑크에게 거짓말을 하면서 닥터와 여행했으며 시즌 9에서는 시간여행을 하면서 여러 관계(?)를 가졌다는 암시가 나온다.

당연히 선정성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고, 문란한 여성 캐릭터도 없어야 하는 건 아니다. 남성 캐릭터인 캡틴 잭도 엄청나게 문란하지만 아무도 이에 대해 비판하지 않는다. 모팻의 문제는 빌을 제외한 주요 여성 캐릭터가 전부 다 이렇다는 것이다. 심하게 말하면 모팻이 단순히 본인의 환상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런 캐릭터를 만든게 아닌가 하는 비판도 있다.

관련된 문제로 모팻이 레즈비언을 성적 대상으로 본다는 비판도 있다. <Space and Time> 미니소드에서는 에이미가 미래의 자신의 다리를 칭찬하며 썸을 타는(?) 이상한 장면이 있고 <Meanwhile in the TARDIS> 미니소드에서는 클라라가 역시 다른 시간대의 자신과 같은 침대에서 잔다고 하면서 히죽 미소를 짓는 등, 레즈비언에 대한 성적 환상이 들어간 장면이 종종 있다. 모팻후의 대표적 레즈비언 커플인 제니 플린트와 바스트라 부인 역시 감정적인 사랑보다는 성적, 육체적 요소를 더 강조한다. 위의 문란성 비판점과 관련된 점으로, 바스트라가 다른 여성을 눈독들이고 제니가 질투하는 것은 아주 흔한 레퍼토리다.[42]

3.3. 지나친 떡밥 투척

각종 떡밥과 반전을 능수능란하게 구사하며, '추수왕 모팻'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많은 떡밥을 사용하지만, 모팻의 지나친 "떡밥" 사용은 때로는 팬들을 어지럽히는데 그치지 않고 몰입하기 어렵게 만들며, 나중에서는 팬은 물론이거니와 모팻 마저도 자신의 떡밥에 끌려다니게까지 만든다는 것이다.[43]

대표적으로 뉴 시즌 6에서의 그의 에피소드들이 그러한데, 지나치게 많은 떡밥을 시간여행으로 분배하다보니 시청자들이 그 시기에 받아들이는 정보가 겹치거나 복잡하게 다가와 휴머니즘도, 감동도, 반전도 제대로 어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불가능한 우주비행사(The Impossible Astronaut)"와 "달의 날(Day of the Moon)" 같은 경우 큰 틀에서 적당히 해결하며 나름대로 휴머니즘도, 반전도 주었지만, "히틀러를 죽이자(Let's Kill Hittler)"는 가장 핵심적인 순간을 귓속말로 비밀스럽게 처리하며 "자기도 힘들어서 비밀로 넘어간 것이 아닌가?"라는 비난을 받았으며 "리버송의 결혼(The Wedding of River Song)"은 오히려 지금까지 그가 구사한 떡밥의 무게가 해결책보다 지나치게 커버리면서 팬들에게 그저 황당함만을 남겨주었다. 떡밥 사용으로 "뛰는 후비안 위에 나는 모팻 있다"만을 보여줬을 뿐, 뉴 시즌 6을 관통하는 떡밥을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는 평이다.

이처럼 떡밥의 지나친 사용의 폐해는 특히나 모팻의 스타일에 치명타가 될 수 있는데, 시간여행을 애용하며 자신이 계약된 시즌 전체를 하나의 에피소드처럼 쓰는 모팻 스타일에 떡밥의 무게가 배가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다. 마치 떡밥을 위한 떡밥이 되는 것처럼 말이다. 이로인해 국내에서는 "장편으로 모팻을 즐기기에는 너무 힘들다." 라며 단편이 좀 더 어울리는 작가라고 평하는 후비안들이 많은데, 여기에 "자신이 쓰고 싶은 것들만 쓰는" 모팻 특유의 스타일까지 겹쳐서 시즌 5를 분기점으로 팬들이 많이 갈리게 된다.

시즌 별로 독립된 떡밥 하나를 해결하고 다른 떡밥을 주는 러셀 식보다는 떡밥을 뿌리고 수확하는 동시에 또 뿌리는 식의 모팻은 떡밥들이 서로 다 연관되다 보니 처음에는 많은 팬들, 심지어 모팻 팬들도 걱정할 정도로 난감한 떡밥들이 많은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모팻은 답을 알려준다. 그러나 똑바로 알려주지는 않는다." 라는 어느 후비안의 말처럼, 떡밥이 풀린 것은 확실히 풀렸다.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44]

3개의 시즌 동안 모팻은 타디스의 폭발, 반닥터연합, 판도리카, 침묵이 내리리라, 에이미의 임신과 리버송의 정체, 클라라, 최후의 시간대전 등의 많은 떡밥들을 해결했다. 놀랍도록 짜임새있게 해결한 것도 분명 있으나, 떡밥을 3개의 시즌까지 밀고 간 것이 좀 과했다는 반응도 있다. 시즌 6에서 닥터의 죽음을 해결한 것이나, 타디스 폭발 주범의 정체라던가 하는 것들이 좀 아쉽다는 반응이 있는 편이나, 모팻은 전반적으로 서로 우주를 지키려는 이들로 플롯을 구성해 닥터와 그가 우주에 남긴 영향을 보여주고자 했다.

당시로서는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 제한되어 있어서 난감하고 그래서 상대적으로 재미도 덜했던 것들이 하나 하나 풀려나가고 더해지면서 더 큰 카타르시스를 주는 것이 모팻후의 매력 이라고도 볼수 있다.[45]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들은 아직도 풀리지 않은 떡밥들이 많다며 도대체 이 작가가 무슨 생각으로 이렇게 일만 벌리는지 궁금해한다. 근데 주목해야 할 것은, 그게 떡밥으로서의 가치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풀리지 않은 떡밥들은 흔히 달렉 의회가 어떻게 부활했으며, 몬다스 사이버맨이 어떻게 지금까지 있었는지, 겜마숲은 언제 나오며, 비숍은 언제 볼 수 있는지, 모팻 때문에 살려놨다는 닥터의 딸은 언제 나오는지 인데, 이것들은 이런 관점에서 주목해볼만하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엄밀히 말해서 떡밥으로서 가치가 없기 때문이라고 볼수있다.

우선 저 떡밥들은 모팻이 자신의 체제에서 말하고 싶은 큰 플롯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다. 달렉 의회의 부활이 "Doctor Who?"와 연관이 있는가? 비숍의 정체를 알아야만 리버송의 정체를 알 수 있었나? 저 떡밥들이 풀려야지만이 모팻후의 치밀한 복선과 떡밥들이 풀려지는 경우가 아닌 이상, 그것들은 "문제를 일으킬, 풀리지 않은 떡밥"으로서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다. 그렇기에 모팻은 저런 부분에 집중하기보다는 자신의 큰 틀에 집중한다. 물론 이런 경향은 확실히 사소한 것은 무시한다는 비판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위의 질문들은, 관객이 상상을 통해서, 작품을 즐기는 데 필요한 호기심을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의 것들로 보인다.[46]

여담이지만 어느 유튜버가 너무 지나친 떡밥에 지쳐서 '나는 닥터후의 한 에피소드를 보려고 하는거지 떡밥을 연구하려고 보는 것이 아니다'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3.4. 더 선정적이다?

리버송과 11대 닥터가 나누는 대화들("그건 우리들만의 이야기잖아?"), 에이미와 로리의 관계, 닥터의 농담("나 마릴린 먼로랑 결혼했어!"), 타디스의 여성화("Sexy!"), 에이미의 직업(알바) 등은 러셀 후에서 찾아볼 수 없는 선정성이라며 일부 팬들은 거부감을 나타낸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자. 닥터의 컴패니언이 여성인 이상 남녀와 같이 다닐 때 묘한 관계는 작품에서 어쩔 수 없이 나타나기 마련이며, 모팻이 보여준 건 단순한 말장난이 대부분이다. 러셀은 올닥의 불문율 '닥터는 컴패니언과 사랑에 빠지지 않는다.'를 깨서 닥터를 백마 탄 왕자님으로 만드는데 일조한 부분이 크며[47], 9대 닥터와 잭키의 대화(나 지금 잠옷입고 있는데 외간 남자가 있네?), Love And Monsters 에피소드의 대화, 캡틴 잭 하크니스의 농담(예를 들기도 힘들다.)들도 충분히 선정적이다. 애초에 '선정성'으로 러셀후와 비교하는 건 성립되지 않는다. 선정성이란 표현도 이상하지만, 좀 높은 수위가 된 것은 뉴 시리즈부터이지 모팻이 무리하게 끌고 왔다고 볼 수는 없다.[48] 그렇다고 러셀후부터 선정적이었는가, 그것도 아니다. 이미 60년대부터 닥터후는 은밀하게 높은 수위를 보여주고 있었다. 4대의 컴패니언 릴라, 5,6대의 컴패니언 페리도 충분히 수위가 높다.

3.5. 더 폭력적이다?

닥터는 살인을 해야할지 말아야할지 고뇌하는 슈퍼히어로였던 적이 없다. 물론 사람을 구하고 웬만하면 선한 방향으로 결론을 냈지만,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는 방식의 영웅적 행위는 무척 많았고, 닥터 그 자신도 자신을 영웅이라기 보다는 여행자라고 평할 정도로, 사건을 개입하는 이유는 순전히 호기심인 경우가 많았다. 단편적인 예로, 3대 닥터 때에는 금성 아이키도라는 무술로 사람 많이 패고 다녔고, 4대는 달렉을 몰살시켰고(Genesis of dalek), 7대는 심지어 달렉들을 속여서 아에 절멸을 시켜버렸다(Rememberance of dalek). 한가지 눈여겨 볼 점은 4대 닥터는 적어도 'Do i have the right?' 이라는 말이라도 하고 죽였지만, 7대 닥터는 'Ashes to ashes, dust to dust'라며 고인 능욕까지 했다는 점이다. 이는 각 닥터마다 성격이 다르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49]

근데 일부 팬들은 11대 닥터가 총을 쓰는 등 더 폭력적이 되었으며, 악당들을 구하지 않는다면서 닥터의 캐릭터를 모팻이 엉망으로 만들었다고 본다.

아주 쉽게 얘기해서, 10대 닥터도 총을 썼다. End of Time에서 닥터는 총을 겨누었고, 기계에 발사했다. 11대 닥터도 마찬가지다. 그가 총을 든 적은 '천사들의 시간'에서였는데, 총구는 우는 천사도, 인간도 아닌 그냥 장치에 겨눠졌고 발사됐다. 결국 모두가 살았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총을 쏘았다.'고 보기는 힘들며, 닥터도 다같이 살자고 총을 든 것이지 누구를 죽이려고 그러진 않았다. 즉 닥터는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만 총 대신 '소닉 스크류 드라이버'를 쓰면 되지 않냐는 지적이 있는데, 당연히 맞는 이야기다. 하지만 작가 입장에서는 소닉보다 총이 더 감칠맛 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총은 더 극적인 상황을 보여준다는 일종의 클리셰이기 때문이다.[50] 즉, 총을 쓴 건 순전히 모팻 취향이었을 뿐 닥터가 폭력적이라고 보기는 힘들다는 점. 게다가 소닉으로 무언가를 박살내는건 총보다 더 오래걸린다

A Madman in the box는 11대 닥터를 잘 설명해주는 부분이다. 그는 여전히 선하며 좋은 사람이지만, 그에게는 다양한 성격이 있다. 악당을 죽이는 건 그의 또 다른 성격이며, 역대 닥터들의 어두운 성격의 연장선에서 충분히 가능하다고 볼수있다.

3.6. 러셀후를 무시하는 너무 많은 변화들?

러셀후를 무시한다는 비판도 있는데, 러셀후에서 만들어진 캐릭터들이나 설정 등이 모팻후에서 거의 나오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단적인 예로, 시즌 5에서 시즌 7까지 거쳐오면서 토치우드나 캡틴 잭 하크니스가 등장하거나 언급된 적이 거의 없다.[51] 러셀후로 닥터후를 시작한 팬층의 경우 이에 대해 불만이 많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당연히, 모팻이 의도적으로 러셀후를 무시한다고 볼 수는 없다. 캡틴 잭 하크니스의 경우 본래는 시즌 6에 "선인의 참전" 에피소드에서 출연시키려 하기도 했으나 배우 존 배로먼이 당시 토치우드 시즌 4 촬영으로 바빴기에 스케줄이 맞지 않았기에 출연이 불발되었던 것이다. 또한 애초에 캡틴 잭 하크니스를 만들어낸 건 모팻이다. 마스터는 왜 등장시키지 않았느냐, 존 심이 마스터 역을 거절했기 때문이며 본질적으로 모팻이 마스터를 염두에 두고 플롯을 쓰지 않았기 때문이다.

2013년 11월 23일은 닥터후 50주년이다. 닥터후가 50년이라는 세월을 견딜 정도로 오랜 시간동안 이어져 온 것은 바로 '변혁'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리부트나 프리퀄을 사용해가면서 끈임없이 확대재생산해가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들과 달리, 닥터후에는 애초에 '재생성'과 '컴패니언'이라는 개념이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다양한 시도가 가능하다. 케릭터는 계속 바뀌면서 정체되지 않고, 작가는 계속 바뀌면서 다양하고 더 실험적인 스토리를 쓴다. 그것이 바로 닥터후가 3대 SF 영상시리즈에 드는 명작이면서도, 장수한 비결이다.

물론 타디스도 바뀌고, 닥터도 바뀌고, 전반적인 테마가 '여행'에서 '시간'으로 한번에 훅 바뀌었으니 자신이 더 선호하는 게 있을테고, 적응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모팻후로 바뀌면서 너무 많이 변했다고 해서 모팻후가 러셀후를 무시한다고 볼수는 없으며, 그의 스타일 또한 존중할 필요가 있다.

"로즈, 마사, 도나는 왜 등장시키지 않느냐, 최후의 시간대전을 왜 건드렸냐?"등의 '모팻의 러셀후 무시 주장'을 다른 관점에서 보면, "모팻이 왜 그래야하는가?" 앞서 언급했듯이 정제되지 않고 변혁할 수 있는 것이 닥터후가 오리지널 시리즈로 50주년을 버틸 수 있는 최대의 장점이다. 닥터후 초대 프로듀서 베리티 램버트(Verity Lambert)는 2개의 시즌을 끝낸 후에 닥터후를 떠나면서 "시리즈에 새로운 입력이 필요할 때가 있기 마련이죠.(There comes a time when a series needs new input.)"라고 말했다. 수많은 작가들이 닥터후의 세계관을 구축하는데 힘 썼으며, 그들만의 개성과 설정이 그들의 작품 연재 기간에 묻어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니 모팻은 '러셀후 시즌 2'를 보여주느니, 자신의 이야기를 쓰는데 힘 쓴 거라고 볼수 있다.

옛날에 2대 닥터가 재생성하면서 3대 닥터가 지구에 발이 묶여서 UNIT과 함께 움직였던, 닥터후가 하나의 007 같았다는 평을 받았던 적이 있다.이 당시에는 마스터와 더 많은 괴물들이 등장해서 닥터후 유니버스를 더욱 확대했고, 시리즈도 더욱 단단해졌으며, 탄력을 받아 4대 닥터에 이르러서는 최전성기를 누렸다. 흑역사로 취급받던 6대의 뒤를 이어 7대 닥터가 성공한 것은 그 어떤 닥터도 보여준 적 없던, 안티히어로 같은 어둡고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이 처럼 닥터 후는 많은 작가를 거쳐 변화를 통해 인기를 끌었다. 러셀에서 모팻으로 변한 것도 마찬가지다.

러셀도 최후의 시간대전이란 개념으로 닥터를 유일한 타임로드로 만들면서 큰 변화를 일으켰다. 정통 SF보다는 액션 활극에 중점을 두면서 시리즈의 전반적인 분위기도 바뀌었다. 이런 점에서 러셀 또한 올닥에서 뉴닥으로 넘어갈 때 많은 부분이 바뀌었다. 그러면서 올닥에서 볼수 없었던 새로운 매력을 줬다. 그렇기 때문에, 모팻에 대한 비판은 옳지 않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 많이 변해서 적응하기 힘든 건 사실이다. 뉴시즌 처음 설정은 타임로드가 멸종했다는 설정인데 뜬금없이 그러한 설정을 엎어버린다던가, 클라라가 닥터의 타임라인에 들어가서 1대 닥터부터 닥터의 인생을 바꿨다든지 등 반전은 있고 확실히 재밌지만 이러한 스토리라인의 변화는 올닥을 접하지 않은솔직히 최근에 많은 닥터 후 팬들은 뉴시즌부터 접한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다 적응력없는 팬들은 이해하기 어려운게 단점이다.[52]

4. 이야깃거리


후비안을 업신여기는 모팻느님.JPG

날고 긴다는 후비안들의 머리 꼭대기에서 각종 떡밥을 뿌려대면서 개미지옥으로 밀어 넣고 있으며, 뉴 시즌 5에서 보여준 로리 윌리엄스에 대한 가학성향(…)이 시즌 6~7에서 더욱 강력해져 "제발 로리 좀 그만 죽이라"는 후비안들의 트윗에 "한 번 죽여서야 무슨 재미가 있겠느냐"며 로리를 마구 굴려먹었다.(…) 결국, 사일런스의 입을 빌려 로리가 사망전대임을 인증했다. 죽고 또 죽을 남자여
그렇다고는 하지만 사실 모팻이 만들어낸 사망전대급 캐릭터가 로리뿐만은 아니다. 캡틴 잭도 그렇거니와 후임인 클라라는 대충 어림잡아도 20여 번은 죽은 것으로 보이고, 에이미도 세 번이나 죽은데다 심지어 닥터마저 네 번이나 죽여댔는지라(...) 그리고 등장인물이 자주 죽는것 때문에 욕을먹을때마다 '자기 상상속 세계에 비하면 이 죽음들은 새발의 피라고'생각한다고 한다. # 우주랑 타디스까지 죽였다가 살렸으면서 얼마다 더 죽이고 싶은거지? 사디스트가 틀림없다 심지어 지구상의 이미 죽은 사람들을 살여내서 또죽였다

하관이 돋보이는 배우를 좋아한다는 농담도 있다. 셜록의 베네딕트 컴버배치와 닥터후의 맷 스미스가 둘 다 공교롭게도 하관이 돋보이는 참으로 개성적인(...) 외모를 가진 배우들인 관계로...

파일:attachment/viewimage_3.jpg
모팻과 들 혹은 모팻과 턱돌이들
둘 다 모팻이 한 번씩 죽였다
아들들에게 상받는 모팻

닥터후에서 만든 설정이나 캐릭터가 자신이 실제로 본 것에서 따 왔다고 한다. 우는 천사부터가 아들이랑 같이 간 공동묘지에 있던 천사 동상을 모티브로 하였고, 시즌 5 최대의 떡밥인 시간의 틈아들의 방에 나 있는 금을 보고 따왔다고 한다.잠깐 뭔가 불안한데??[53]

현재 IMDb에서 고평가 받은 TOP 10 닥터후 에피소드 중 7개가 본인이 시나리오를 작성한 에피소드들이다.[54]

5. 한국과의 관계




한국 팬들을 위한 영상 메시지를 보낸 적 있다. 싸랑해요 그리고 2014년 5월 SDF 참석을 위하여 아내 수 버츄(Sue Vertue)와 함께 내한했다. 덧붙여 본래 모팻도 참가했던 닥터후/월드 투어에는 스케쥴 문제상 한국에 오지 못했고 다음 일정인 시드니 행사에서도 참가를 못했다.

6. 수상 기록

연도 시상식 작품 부문
1991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BAFTA) Press Gang Best Children's Programme
(Entertainment/Drama)
영국 왕립 텔레비전 협회(RTS) Best Children's Programme
1995 골든로즈상(Rose d'Or) Joking Apart Comedy
2003 영국 코미디상(British Comedy Awards) Coupling Best TV Comedy
2006 휴고상(Hugo Award) Doctor Who
"The Empty Child"/"The Doctor Dances"
Best Dramatic Presentation, Short Form[55]
2007 휴고상(Hugo Award) Doctor Who
"The Girl in the Fireplace"
Best Dramatic Presentation, Short Form[56]
영국 극작가 협회
(Writers' Guild of Great Britain)
Doctor Who, Series Three Best Soap/Series(TV) (with Chris Chibnall,
Paul Cornell, Russell T Davies,
Helen Raynor and Gareth Roberts)
2008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BAFTA) Doctor Who "Blink" Best Writer
휴고상(Hugo Award) Best Dramatic Presentation, Short Form[57]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웨일즈
(BAFTA Cymru)
Best Screenwriter
2011 휴고상(Hugo Award) Doctor Who
"The Pandorica Opens"/"The Big Bang"
Best Dramatic Presentation, Short Form
2012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BAFTA) Sherlock: "A Scandal in Belgravia" Best Writer
2014 에미상(Primetime Emmy Awards) Sherlock: "His Last Bow" Outstanding Writing for a Miniseries, Movie or a Dramatic Special


[1] 영국에선 드물게 부부별성인 부부다. 참고로 영국은 90% 이상이 부부동성일 정도로 결혼 후에는 여자가 남편 성을 따라 개명하는게 일반적이다.[2] 제작 과정 영상에서 인터뷰도 씩이나 한다. 심지어 본인이 직접 달렉까지 연기했다.[3] 이외에도 캐스팅이 화려하다. 미스 사이공의 초연 엔지니어브라질의 주인공 샘, 그리고 캐리비안의 해적의 웨더비 스완 역으로 유명한 웨일즈 배우 조너선 프라이스마스터, 뉴 시즌 7 에서 그레이트 인텔리전스를 연기한 리처드 E. 그랜트가 10대 닥터, 해리 포터 시리즈호레이스 슬러그혼갱스 오브 뉴욕의 윌리엄 트위드 역을 맡은 짐 브로드벤트가 아저씨닥 11대 닥터, 그리고 휴 그랜트가 12대 닥터로 나온다. 그리고 13대 닥터는 여자로 나온다.[4] 오스윈 오스왈드 항목 참조(스포일러 주의).[5] 닥터는 11명이지만, 그의 인생(재생성)에는 하나가 더 있다.[6] 더 재밌는 건 2위가 블링크라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선정된 뉴닥 에피소드는 The Empty Child. 과연 모팻이다. 이외의 뉴닥 에피소드 Human Nature인데, 이 작품은 동명의 VNA(7대 닥터 당시) 작품을 바탕으로 방영된 것이며 이 에피소드의 작가가 폴 코넬인데 이는 뉴 시즌의 작가들 중에서 모팻을 제외하면 폴 코넬이 유일하다.[7] 타디스는 사일런스가 폭파시켰고, 트렌잘로어에 내린 최초의 질문이 Doctor Who?인 것은 시간의 틈을 거쳐 닥터가 있는 우주로 돌아오려는 갈리프레이가 물은 것이었고, 닥터가 그 질문에 대답하면 트렌잘로어를 포위한 이들과 갈리프레이의 전쟁이 일어날 것을 염려한 이들이 사일런스와 힘을 합쳐 "침묵이 내리리라"고 외쳤는데 그건 닥터가 그 질문에 답하지 않는다를 뜻하는 것이었다. 어떻게 사일런스가 타디스를 폭파시켰으며, 지구 지하에 남은 타디스들은 무엇인지는 The Lodger사일런스(닥터후) 항목 참조. 클라라에게 전화 번호를 알려준 이는 시즌 8에서 해결되었다.)[8] You are a good dalek[9] 주의할 것은, 모팻은 클라라를 여자 닥터처럼 그리려고 했던 게 아니라, 닥터 같은 현대 여성을 그려냈다는 점이다. "여자 닥터를 생각해서 만든 게 겨우 클라라 수준이냐" 는 비판은 전제부터 잘못된 것이다.[10] 대니는 지금 이 곳 현실도 충분히 가치 있고 아름다운 곳임을 클라라에게 강조했다.[11] 이런 점에서 대니와 클라라를 감정이입하기 어렵게 만든 건 모팻의 의도라고 보는 팬들도 있다.[12] 새로운 오프닝에서 닥터와 도나가 타디스 밖으로 고갤 내미는 부분이 있었는데 러셀이 모팻에게 보여줬더니 그 부분을 없애라고 한것.[13] 물론 이 에피소드 조차도 모팻 특유의 고질병인 '사랑의 힘'으로 끝나서 아쉽다는 평을 받았지만 사소한 옥의티라는 의견이 많다.[14] 하지만 12대 닥터를 처음으로 구상한 사람은 닥터후 올드 시즌의 작가중 한명인 로버트 홈즈이다.[15] 닥터후의 첫번째 에피소드.[16] 올드 시즌 5 에피소드 1~4.[17] 10주년 에피소드 (올드 시즌 10 에피소드 1~4.)[18] 올드 시즌 12 에피소드 5~8.[19] 올드 시즌 20 에피소드 9~12.[20] 오디오 드라마 에피소드.[21] 올드 시즌 25 에피소드 1~4.[22] 오디오 드라마 에피소드.[23] 2009년 순위에서도 2위을 기록했었다.[24] 2009년 순위에서 종전 1위는 안드로자니의 굴 (The Caves of Androzani - 올드 시즌 21 에피소드 17~20)이며 이 에피소드는 5대 닥터의 마지막 에피소드이다.[25] 특히 <깜박임>나 <벽난로 속의 여인> 같은 단일 에피소드와 공허한 아이, 도서관, 시즌 10 피날레 등의 2부작에서 두각을 드러낸다.[26] 이것은 비단 닥터뿐만이 아니라 어떤 등장인물이라도 해당되는 얘기이다. 일례로 시즌 5 크리스마스 스페셜 'A Christmas Carol'에서의 '미래의 유령' 장면이 있다.[27] 11대 닥터의 스토리에서 특히 많이 부각되었다. 자칫하다가는 떡밥을 아예 못 거두는 경우도 있는데, 그 예가 후술할 시즌 10 크리스마스 스페셜이다.[28] 이 문제는 뉴뉴 시즌 1에서도 이어졌다.[29] 닥터가 갈리프레이를 떠난 이유와 갈리프레이의 초토화에 대한 대형 떡밥으로, 역대급 에피소드인 Heaven Sent의 마지막 장면에서 그 떡밥으로 팬들의 기대감을 최고조로 높였음도 불구, 다음 에피소드인 Hell Bent에서 떡밥을 애매모호하게 넘겨서 많이 비판받았다. 사실 Hell Bent가 Heaven Sent에 묻힌 게 가장 크다 다만 Hell Bent에서 닥터와 클라라의 이별을 마무리하는 요소로는 나름 괜찮게 쓰인 편이다.[30] 용두사미가 뭔지 제대로 보여준 2화, 역대 최악의 에피소드라고 불리는 9화,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12화 등 예전만큼의 재미를 보장해 주지 못한다는 의견이 많았다.[31] "시즌 10은 5~6화랑 피날레밖에 건질 게 없다"고 말하는 팬들이 많을 정도로 시즌 10은 최악의 시즌이라는 평가가 많다.[32] 닥터후는 뉴 시즌에 들어서 최고 1300만에 가까운, 현재와는 비교하기 어려운 압도적인 수치를 나타낸 바 있다.[33] 대표적으로 방영하기 전에 닥터후의 외계인들은 등장하지 않는다고 했는데도 결말부에 뜬금없이 우는 천사가 나왔다. 우는 천사가 모팻 에피소드에서만 나왔던 것을 감안하면 모팻이 BBC 몰래 패트릭 네스의 대본을 중간에 수정했거나 BBC의 압력으로 급 추가시켰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34] The Pilot(1화), Extremis(6화), World Enough and Time/The Doctor Falls(11~12화).[35] 실제로 세 번째 에피소드인 8화는 시즌 10 평가 하락의 주범이다. 그 놈의 사랑의 힘도 문제거니와 '인류를 등진 닥터'와 '사람의 심리를 완벽히 장악하는 수도승 세력'이라는 비범한 소재를 가지고도 스토리를 완벽하게 말아먹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7화도 맨정신으로 거의 볼 수 없는 발암스러운 전개와 무엇보다 8화를 제작하게 만든 발암스러운 결말로 인해 8화보다 7화가 더 최악이라고 보는 평도 있다.[36] 크리스 칩널브로드처치 때문에 12대 닥터의 시즌(시즌 8~10)에서는 아예 참여를 못 했다.[37] The Day of the Doctor의 12대 닥터 씬은 시즌 13을 바라보고 있는 2020년 기준으로도 무려 8년 동안이나 회수되다 못해 제작진들이 잊어버린 게 아닐까 싶은 떡밥이다. 많은 팬들이 해당 에피소드에서 이 떡밥을 해결하나 기대했지만, 에피소드의 질과는 별개로 결과는 역시나였다.[38] 일단 1986년에 닥터를 여성으로 재생성하자는 의견이 나오긴 했지만, 이건 논의 수준에서 끝난거지 본격적으로 시도된건 아니다[39] Doctor Who has an amazing future, and I’ve seen part of it. I’ve seen Jodie’s first scene as the Doctor, and trust me, we are in for a thrill ride. She is already brilliant,[40] It's such a tiny moment. she’s given us the Doctor we’ve always known, but in, to say the least, a new way. We are in for a very exciting run.[41] 생각해 보면 러셀의 크리스마스 스페셜에선 사회적 약자가 가해자가 된 피해자 클리셰를 따르는 악당으로 나오는 사례가 많다. 2006년 스페셜에서는 난민인 라크노스와 아이들이 악역으로 나왔고, 2007년 스페셜에서도 고향 행성에서 차별받는 사이보그가 악당이었다.[42] 시즌7의 <진홍빛 공포>에서 닥터가 레즈비언인 제니에게 강제로 키스를 하거나 제니가 망토를 벗고 몸매를 강조하는 가죽 옷을 드러내자 닥터가 소닉 스크류드라이버를 세우는 장면도 큰 비판을 받았다. 마크 게이티스가 쓴 에피소드지만 모팻 체제 중 방영됐으니 논한다.[43] 이 때문에 그의 2007년작 《지킬》이 실패하였다.[44] 갈리프레이가 트렌잘로어에 생긴 시간의 금을 거쳐서 우주로 돌아오려고 할 때, Doctor Who?라는 질문으로 닥터가 있는 우주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 신호를 받고 수많은 종족들이 나서서 갈리프레이를 공격하려하고, 닥터는 고향을 구할 것인지, 전쟁을 막을 것인지 걱정한다. 평화를 유지하는 교황 메인프레임은 닥터가 그 질문에 침묵하도록 "침묵이 내리리라"는 구호로 사일런스와 같이 힘을 합친다. 그 중 급진주의자들은 마담 코바리안으로 뭉쳐서 타디스를 터트려 닥터가 이 곳에 오지 못하게 한다. 이 때 터진 타디스가 시간의 금을 일으키고, 반닥터 연합을 형성했다. 닥터가 이걸 해결하자, 마담 코바리안은 임신한 에이미를 납치하고 플래시로 바꾼 다음에, 멜로디 폰드를 닥터를 죽일 사이코패스로 만든다. 그러나 닥터는 멜로디 폰드를 리버송으로 바꾸고 자신의 죽음을 위장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한다. 즉 사일런스는 트렌잘로어에서 있을 사건을 막고자 노력한 것이다. 이후 그레이트 인텔리전스가 복수하고자 트렌잘로어에 있는 닥터의 무덤에서 그의 타임라인에 들어가 모든 승리를 패배로 바꾸자 클라라가 이걸 막아낸다. 닥터를 막는데 실패한 마담 코바리안 일행에, 교황 메인프레임 타샤 렘이 닥터와 협상에 나서다 달렉의 함정에 빠지고 닥터는 마지막으로 달렉과 싸우는데, 이 때 닥터의 타임라인에 들어간 클라라의 영향으로 닥터가 죽지 않고 12대 닥터로 재생성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45] 그러고보면, 이 거대한 떡밥들을 시간여행을 통해서 부분적으로 전달하는 걸 감수하면서도 당시에 제한된 정보들로도 카타르시스를 끌어낼 고안을 할 수 있는 스티븐 모팻의 역량은 대단한 것이다.[46] 비슷한 예로, 시간의 종말 에피소드에 나온 의문의 여성이 그러하고, 보의 얼굴도 그러하다.[47] 8대 닥터가 TV영화의 마지막에서 잠깐 한 키스신으로 팬들한테 까였는데 이는 이 불문율이 얼마나 강력한지 잘 보여준다.[48] 다만 '타디스내 두 가족'은 모팻 팬들도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인데, 이건 개인이 판단할 몫이지 작품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기엔 부적절한 부분이다.[49] 사실 비폭력주의자인 5대 닥터도 죽어가는 사이버맨에게 총을 연사한 적이 있다.[50] 물론 이런 부분은 모팻의 스타일의 한계이기도 한데, 모팻은 전형성(stereotype)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51] 캡틴 잭은 시즌 6에서 딱 한마디 언급되었다.[52] 많은 닥터 후 팬들이 뉴 시즌1~4기를 통해 닥터를 먼저 접했기 때문에 러셀 후 때보다 너무 많이 달라진 닥터 후를 보면서 적응을 못하거나 거부감을 느끼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기에 러셀을 그리워하는 팬들의 입장도 이해할수 있는 사실이다.[53] 우는 천사 항목을 참고하면 나와있지만, 실제 그 천사 동상을 며칠 뒤에 다시 방문했을 때 사라졌다고 한다.[54] 나머지 3개 중 2개는 러셀 T. 데이비스가 썼던 시즌 2피날레시즌 4피날레이다. 마지막으로 남은 1개는 빈센트 반 고흐 에피소드.[55] 이때는 시즌 1 에피소드 8의 각본 맡은 폴 코넬도 후보에 있었지만 수상하지는 못했고 뉴 시즌에서 달렉이 처음으로 나오는 시즌 1 에피소드 6의 작가인 로버트 셔번 (Robert Shearman)도 노미네이트가 되었지만 메인 작가인 러셀 T. 데이비스가 맡은 시즌 1 에피소드 (1,2,4,5,7,11~13화)는 한개도 노미네이트가 되지 않았다.[56] 러셀 T. 데이비스의 시즌 2 에피소드 12/13이 노미네이트가 되었지만 아쉽게도 수상 불발.[57] 이때는 시즌 3 에피소드 8/9의 각본 맡은 폴 코넬도 후보에 있었지만 역시 수상에 실패하고 메인 작가인 러셀 T. 데이비스가 맡은 시즌 3 에피소드 (1,3,11~13화)는 한개도 노미네이트가 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