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대회 | ||||
| ||||
| | | | |
| | | | |
ISU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
| |
최초 개최지 | |
| |
최근 개최지 | |
| |
차기 개최지 | |
|
[clearfix]
1. 개요
ISU에서 주관하는 세계 규모의 쇼트트랙 대회이자 동계올림픽을 제외한 ISU 주관 국제 대회 중 가장 권위 있는 대회로 보는 이에 따라선 올림픽보다도 더 높이 치기도 한다.[1]매년 3월에 개최하며 개최지는 매번 변한다. 정식 명칭은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지만 일반적으로 '세계선수권'으로 불리며 줄여서 '세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역사
쇼트트랙은 1967년 ISU의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지만 한동안 정식으로 국제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1976년, 미국 섐페인에서 최초로 국제 대회가 개최되었고 이후로도 매년 한 번씩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1981년 프랑스 뫼동에서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이라는 이름으로 정식 개최되었다. 동시에 1976년부터 1980년까지 개최된 5번의 대회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으로 인정받았다.3. 대회 진행
일자 | 경기 | 중계 |
1일차 | 모든 종목 예선 혼성 2000m 계주 준준결승 여자 3000m 계주 준준결승 남자 5000m 계주 준준결승 | ISU YouTube |
2일차 | 남자 1500m, 500m 패자부활전 여자 1000m 패자부활전 혼성 2000m 계주 준결승 | ISU YouTube |
남자 1500m, 500m 본선 여자 1000m 본선 여자 3000m 계주 준결승/결승 남자 5000m 계주 준결승 | SBS Sports | |
3일차 | 여자 1500m, 500m 패자부활전 남자 1000m 패자부활전 | ISU YouTube |
여자 1500m, 500m 본선 남자 1000m 본선 혼성 2000m 계주 결승 남자 5000m 계주 결승 | SBS Sports |
3000m 슈퍼파이널과 종합 우승 제도가 존재하던 2022 세계선수권까지는 혼성 2000m 계주가 시행되지 않았다. 또한 계주 참가 국가가 8팀으로 제한되어 계주 준준결승이 시행되지 않았으며 슈퍼파이널은 1000m 본선 이후 시행되었다.
현재 세계선수권 계주 종목에는 12팀이 참여하며 남녀 계주는 최대 5명까지, 혼성 계주는 성별당 3명씩 최대 6명까지 출전이 가능하다.
2024-25 시즌부터 일정이 하루에 다양한 거리별 경기를 반영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4. 종합 순위
|
2022 세계선수권 기준 종합순위 산정 방식 |
2022 세계선수권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5. 대한민국
세계 선수권을 개최한 이래,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선수들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초창기에는 미국, 캐나다와 일본 선수들이 강세를 보였지만 90년대 이후 한국이 초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종합 우승횟수도 가장 많다. 지금까지 남자 18번, 여자 16번(공동 우승 포함)의 종합 우승을 했다. 세계 선수권은 특히 한국 선수들에게 중요한 대회인데 이 대회에서 종합 3위 안에 든 상위 1명의 선수는 다음 시즌 국가대표에 자동으로 선발되기 때문이다. 2021년 세계선수권 대회는 코로나의 여파로 불참했다.6. 역대 종합 우승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합 우승제: 1회(1976년) ~ 47회(2022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종합 우승제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4회 | 1999 소피아 | |||||
1회 | 1976 섐페인 | 25회 | 2000 셰필드 | |||||
2회 | 1977 그르노블 | 26회 | 2001 전주 | |||||
3회 | 1978 솔리헐 | 27회 | 2002 몬트리올 | |||||
4회 | 1979 퀘백 | 28회 | 2003 바르샤바 | |||||
5회 | 1980 밀라노 | 29회 | 2004 예테보리 | |||||
6회 | 1981 뫼동 | 30회 | 2005 베이징 | |||||
7회 | 1982 멍크턴 | 31회 | 2006 미니애폴리스 | |||||
8회 | 1983 도쿄 | 32회 | 2007 밀라노 | |||||
9회 | 1984 피터버러 | 33회 | 2008 강릉 | |||||
10회 | 1985 암스테르담 | 34회 | 2009 빈 | |||||
11회 | 1986 샤모니 | 35회 | 2010 소피아 | |||||
12회 | 1987 몬트리올 | 36회 | 2011 셰필드 | |||||
13회 | 1988 세인트루이스 | 37회 | 2012 상하이 | |||||
14회 | 1989 솔리헐 | 38회 | 2013 데브레첸 | |||||
15회 | 1990 암스테르담 | 39회 | 2014 몬트리올 | |||||
16회 | 1991 시드니 | 40회 | 2015 모스크바 | |||||
17회 | 1992 덴버 | 41회 | 2016 서울 | |||||
18회 | 1993 베이징 | 42회 | 2017 로테르담 | |||||
19회 | 1994 길드퍼드 | 43회 | 2018 몬트리올 | |||||
20회 | 1995 요빅 | 44회 | 2019 소피아 | |||||
21회 | 1996 헤이그 | 45회 | 2020 서울 | 취소COVID-19 | ||||
22회 | 1997 나가노 | 46회 | 2021 도르드레흐트 | |||||
23회 | 1998 빈 | 47회 | 2022 몬트리올 | }}}}}}}}} | ||||
종합 우승제 폐지: 48회(2023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8회 | 2023 서울 | 500m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9회 | 2024 로테르담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50회 | 2025 베이징 | 500m | 51회 | 2026 몬트리올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합 우승제: 1회(1976년) ~ 47회(2022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종합 우승제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4회 | 1999 소피아 | |||||
1회 | 1976 섐페인 | 25회 | 2000 셰필드 | |||||
2회 | 1977 그르노블 | 26회 | 2001 전주 | |||||
3회 | 1978 솔리헐 | 27회 | 2002 몬트리올 | |||||
4회 | 1979 퀘백 | 28회 | 2003 바르샤바 | |||||
5회 | 1980 밀라노 | 29회 | 2004 예테보리 | |||||
6회 | 1981 뫼동 | 30회 | 2005 베이징 | |||||
7회 | 1982 멍크턴 | 31회 | 2006 미니애폴리스 | |||||
8회 | 1983 도쿄 | 32회 | 2007 밀라노 | |||||
9회 | 1984 피터버러 | 33회 | 2008 강릉 | |||||
10회 | 1985 암스테르담 | 34회 | 2009 빈 | |||||
11회 | 1986 샤모니 | 35회 | 2010 소피아 | |||||
12회 | 1987 몬트리올 | 36회 | 2011 셰필드 | |||||
13회 | 1988 세인트루이스 | 37회 | 2012 상하이 | |||||
14회 | 1989 솔리헐 | 38회 | 2013 데브레첸 | |||||
15회 | 1990 암스테르담 | 39회 | 2014 몬트리올 | |||||
16회 | 1991 시드니 | 40회 | 2015 모스크바 | |||||
17회 | 1992 덴버 | 41회 | 2016 서울 | |||||
18회 | 1993 베이징 | 42회 | 2017 로테르담 | |||||
19회 | 1994 길드퍼드 | 43회 | 2018 몬트리올 | |||||
20회 | 1995 요빅 | 44회 | 2019 소피아 | |||||
21회 | 1996 헤이그 | 45회 | 2020 서울 | 취소COVID-19 | ||||
22회 | 1997 나가노 | 46회 | 2021 도르드레흐트 | |||||
23회 | 1998 빈 | 47회 | 2022 몬트리올 | }}}}}}}}} | ||||
종합 우승제 폐지: 48회(2023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8회 | 2023 서울 | 500m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9회 | 2024 로테르담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50회 | 2025 베이징 | 500m | 51회 | 2026 몬트리올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
- 2021-22 시즌을 마지막으로 3000m 슈퍼파이널과 선수권 종합 우승 제도가 폐지되었다.
6.1. 여자부
역대 세계선수권 여자부 종합 순위 | |||||
197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76 | | | | | |
1977 | | | | | |
1978 | | | | | |
1979 | | | | | }}}}}} |
198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80 | | | | | |
1981 | | | | | |
1982 | | | | | |
1983 | | | | | |
1984 | | | | | |
1985 | | | | | |
1986 | | | | - | |
1987 | | | | | |
1988 | | | | | |
1989 | | | | | }}}}}} |
199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90 | | | | | |
1991 | | | | | |
1992 | | | | | |
1993 | | | | | |
1994 | | | | | |
1995 | | | | | |
1996 | | | | | |
1997 | | | - | | |
1998 | | | | - | |
1999 | | | | | }}}}}} |
200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00 | | | | | |
2001 | | | | | |
2002 | | | | | |
2003 | | | | | |
2004 | | | | | |
2005 | | | | | |
2006 | | | | | |
2007 | | | | | |
2008 | | | | | |
2009 | | | | | }}}}}} |
201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0 | | | | | |
2011 | | | | | |
2012 | | | | | |
2013 | | | | | |
2014 | | | | | |
2015 | | | | | |
2016 | | | | | |
2017 | | | | | |
2018 | | | | | |
2019 | | | | | }}}}}} |
202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20 | | 취소COVID-19 | |||
2021 | | | | | |
2022 | | | | | }}}}}} |
6.1.1. 메달 집계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1 | | 51 | 41 | 30 | 122 |
2 | | 48 | 32 | 26 | 106 |
3 | | 28 | 38 | 37 | 103 |
4 | | 9 | 6 | 11 | 26 |
5 | | 7 | 5 | 13 | 25 |
6 | | 6 | 13 | 11 | 30 |
7 | | 3 | 8 | 13 | 24 |
8 | | 3 | 4 | 4 | 11 |
9 | | 1 | 2 | 6 | 9 |
10 | | 0 | 2 | 2 | 4 |
11 | | 0 | 1 | 1 | 2 |
12 | | 0 | 1 | 0 | 1 |
| 0 | 1 | 0 | 1 | |
| 0 | 1 | 0 | 1 | |
| 0 | 1 | 0 | 1 | |
16 | | 0 | 0 | 1 | 1 |
6.2. 남자부
역대 세계선수권 남자부 종합 순위 | |||||
197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76 | | | | | |
1977 | | | | | |
1978 | | | | | |
1979 | | | | | }}}}}} |
198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80 | | | | | |
1981 | | | | | |
1982 | | | | | |
1983 | | | | | |
1984 | | | | | |
1985 | | | | | |
1986 | | | | | |
1987 | | | - | | |
1988 | | | | | |
1989 | | | | | }}}}}} |
199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90 | | | | - | |
1991 | | | | | |
1992 | | | | | |
1993 | | | | | |
1994 | | | | | |
1995 | | | | | |
1996 | | | | | |
1997 | | | | | |
1998 | | | | | |
1999 | | | | | }}}}}} |
200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00 | | | | | |
2001 | | | | | |
2002 | | | | | |
2003 | | | | | |
2004 | | | | | |
2005 | | | | | |
2006 | | | | | |
2007 | | | | | |
2008 | | | | | |
2009 | | | | | }}}}}} |
201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0 | | | | | |
2011 | | | | | |
2012 | | | | | |
2013 | | | | | |
2014 | | | | | |
2015 | | | | | |
2016 | | | | | |
2017 | | | | | |
2018 | | | | | |
2019 | | | | | }}}}}} |
202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20 | | 취소COVID-19 | |||
2021 | | | | | |
2022 | | | | | }}}}}} |
6.2.1. 메달 집계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1 | | 58 | 37 | 36 | 132 |
2 | | 37 | 48 | 30 | 115 |
3 | | 16 | 15 | 18 | 49 |
4 | | 10 | 10 | 6 | 26 |
5 | | 9 | 11 | 17 | 37 |
6 | | 8 | 8 | 4 | 20 |
7 | | 7 | 6 | 11 | 24 |
8 | | 4 | 6 | 5 | 15 |
9 | | 3 | 2 | 4 | 9 |
10 | | 2 | 7 | 12 | 21 |
11 | | 2 | 5 | 2 | 9 |
12 | | 1 | 1 | 0 | 2 |
13 | | 0 | 1 | 3 | 4 |
14 | | 0 | 1 | 2 | 3 |
15 | | 0 | 1 | 1 | 2 |
16 | | 0 | 0 | 6 | 6 |
7. 기록
7.1. 최다 우승자
선수 | 우승 | 우승 연도 | |
남자 | | 6회 | 2003, 2004, 2005, 2006, 2007, 2014 |
여자 | | 6회 |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
7.2. 최다 연패자
선수 | 우승 | 우승 연도 | |
남자 | | 5회 | 2003, 2004, 2005, 2006, 2007 |
여자 | | 6회 |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
7.3. 전관왕
선수 | 연도 | |
남자 | | 1992 |
| 2002 | |
여자 | | 1983 |
| 2021 |
7.4. 포디움 스윕[5]
국가 | 연도 | |
남자 | | 1982, 1983 |
| 1992 | |
여자 | | 1982 |
| 2005 |
7.5. 메달 집계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1 | | 109 | 78 | 67 | 254 |
2 | | 68 | 86 | 67 | 218 |
3 | | 67 | 47 | 44 | 155 |
4 | | 19 | 16 | 17 | 52 |
5 | | 16 | 16 | 30 | 62 |
6 | | 13 | 19 | 22 | 54 |
7 | | 8 | 9 | 4 | 21 |
8 | | 7 | 10 | 9 | 26 |
9 | | 5 | 14 | 25 | 44 |
10 | | 3 | 4 | 6 | 13 |
11 | | 2 | 5 | 3 | 10 |
12 | | 1 | 2 | 6 | 9 |
13 | | 1 | 1 | 0 | 2 |
14 | | 0 | 1 | 6 | 7 |
15 | | 0 | 1 | 5 | 5 |
16 | | 0 | 1 | 2 | 3 |
17 | | 0 | 1 | 1 | 2 |
18 | | 0 | 1 | 0 | 1 |
19 | | 0 | 1 | 0 | 1 |
8. 역대 대회
- 200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0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04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0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0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07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11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14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1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17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1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1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
202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21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2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2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24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 202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1] 만에 하나 동계올림픽이 폐지되기라도 하면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쇼트트랙 대회 지위를 얻게 된다.[2] 결승에서 페널티를 받으면 그 선수는 파이널B에서 1위를 한 선수와 똑같은 포인트를 받는다.[3] 8위와 동점자가 있으면 함께 진출한다.[4] 스피드 스케이팅의 매스스타트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1위부터 8위까지 각각 34, 21, 13, 8, 5, 3, 2, 1점이 부여되는데, 예를 들어 한 선수가 1000m와 2000m 지점의 레이스 포인트를 모두 획득하고 8위로 골인했다면 5+5+1=11점으로 최종 순위는 4위가 된다. 이론적으로는 레이스 포인트를 모두 획득하고 3위로 골인한다면 5+5+13=23점으로 2위까지 올라갈 수도 있다. 1위와 2위는 13점 차이가 나기 때문에 1위는 바뀌지 않는다.[5] 종합 1, 2, 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