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fff {{{+1 정은주}}} 鄭恩朱|Jung Eunju}}} | |
| |
출생 | 1988년 9월 30일 ([age(1988-09-30)]세)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 |
국적 |
|
학력 | 서현고등학교 (졸업) 한국체육대학교 (체육학 / 재학)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
신체 | 161cm, 55kg[1] |
국가대표 | 2006-07~2008-09 (3시즌)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쇼트트랙 선수이다.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은주(쇼트트랙)/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은주(쇼트트랙)/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 은퇴 및 그 이후
결국 2시즌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두 명의 에이스를 모조리 잃은 여자 대표팀은 저우양과 왕멍의 활약으로 인해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노골드의 수모를 겪었다.사실 본인은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은퇴할 예정이라고 했지만, 이 부상으로 인해 오히려 동기부여가 되었고 선수 생활을 계속하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예전의 기량이 쉽게 회복되지 못해서 몇년 후 결국 은퇴했다. 다행히도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은 박승희가 2010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하면서 포텐을 터뜨렸고 2011년엔 조해리가 우승하며 자존심을 지켰다. 2012-13 시즌에는 심석희라는 초특급 에이스가 발굴되었고 2014-15 시즌에는 최민정이라는 괴물 신예도 나오면서 현재 진선유-정은주에 버금가는 혹은 그 이상이라 평가받는 쌍두마차를 형성했었다.
2015년 고양시청 은퇴 후 2016년 부터 ~ 2018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쇼트트랙 매니저로 활동을 하였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매니저 활동 이후에 모교인 한국체육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빙상 코치를 하였으나 코로나로 인해 1년여 간 코치 활동을 못하였다.
2022년 주니어 쇼트트랙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 국가대표 지도자로 발탁. 코로나로 인해 악조건 속에서도 대한민국 종합1위의 위엄을 세웠다. 현재 고양시청 소속 선수들과 함께 중 고등 엘리트 체육 학생들의 코치를 맡고 있다.
2024년 7월 김포시 최초 국제규격 아이스링크장
아이비스포츠 웨이브즈아이스링크 운영팀장으로 취직.
김포아이스링크장 입사 후 약 1년 만에 백여명의 대규모 빙상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기획·운영하며, 김포시민들에게 빙상의 즐거움과 도전 정신을 널리 알렸다.
2025년 3월 18일 경기도빙상경기연맹 제18대-19대 회장 이.취임식 2025년 정기총회에서 김포시빙상경기연맹회장을 정은주가 맡았다.
3. 수상 기록
3.1. 주요 국제대회 성적
| ||
금메달 | 2007 밀라노 | 3000m 계주 |
금메달 | 2007 밀라노 | 1500m |
금메달 | 2008 강릉 | 3000m 계주 |
은메달 | 2007 밀라노 | 종합 |
은메달 | 2007 밀라노 | 1000m |
2위 | 2007 밀라노 | 3000m S.F. |
2위 | 2008 강릉 | 3000m S.F. |
동메달 | 2007 밀라노 | 500m |
| ||
금메달 | 2007 부다페스트 | 단체전 |
은메달 | 2008 하얼빈 | 단체전 |
| ||
금메달 | 2007 창춘 | 1500m |
은메달 | 2007 창춘 | 3000m 계주 |
동메달 | 2007 창춘 | 1000m |
| ||
금메달 | 2004 베이징 | 1500m |
1위 | 2004 베이징 | 1500m S.F. |
금메달 | 2006 미에르쿠에라치우크 | 종합 |
금메달 | 2006 미에르쿠에라치우크 | 500m |
금메달 | 2006 미에르쿠에라치우크 | 1000m |
금메달 | 2006 미에르쿠에라치우크 | 1500m |
은메달 | 2004 베이징 | 종합 |
3위 | 2006 미에르쿠에라치우크 | 1500m S.F. |
3.2. 세계선수권 성적
| ||||
대회 | 금 | 은 | 동 | 포디움 |
세계선수권 개인 메달 | 1 | 2 | 1 | 4 |
세계선수권 계주 메달 | 2 | 0 | 0 | 2 |
합계 | 3 | 2 | 1 | 6 |
| |||||||
시즌 | 종합랭킹 | 포인트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 계주 |
2007 | 은 | 89 [2] | 동 | 은 | 금 | 2위 | 금 |
2위 | 13 | 21 | 34 | 21 | - | ||
2008 | 6위 | 23 | 8위 | 8위 | 7위 | 2위 | 금 |
- | - | 2 | 21 | - |
| |||||||
메달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 계주 | 합계 |
금 | - | - | - | 1 | - | 2 | 3 |
은 | 1 | - | 1 | - | 2 | - | 4 |
동 | - | 1 | - | - | - | - | 1 |
합계 | 1 | 1 | 1 | 1 | 2 | 2 | 8 |
- 국가대표 팀으로 활약한 3시즌 중 2시즌의 세계선수권 결과 기재. 수상기록이 없거나 세계선수권 참여를 하지 않은 시즌은 기재하지 않음. [3]
3.3. 월드컵 성적
| ||||
1500 m 1위 | 2006-07 시즌 |
| ||||
월드컵 랭킹 | 우승 | 2위 | 3위 | 포디움 |
1500 m 랭킹 | 1 | 1 | 0 | 2 |
합계 | 1 | 1 | 0 | 2 |
월드컵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1000 m | 2 | 1 | 1 | 4 |
1500 m | 6 | 3 | 0 | 9 |
개인전 합계 | 8 | 4 | 1 | 13 |
3000 m 계주 | 2 | 7 | 2 | 11 |
메달합계 | 10 | 11 | 3 | 24 |
랭킹 + 메달 합계 | 11 | 12 | 3 | 26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2006-07 | - | - | 20위 | 1위 |
2007-08 | - | - | 6위 | 2위 |
2008-09 | - | - | 7위 | 4위 |
랭킹 20위까지 표기[5] |
4. 여담
- 드라마 보고 또 보고의 김지수가 맡은 역할 이름과 동명이인이다.
5. 둘러보기
정은주 관련 틀 | ||||||||||||||||||||||||||||||||||||||||||||||||||||||||||||||||||||||||||||||||||||||||||||||||||||||||||||||||||||||||||||||||||||||||||||||||||||||||||||
|
[1] 선수시절[2] 진선유와 포인트는 동률[3] 세계선수권 결과 기재 : 수상기록이 없는 시즌 결과는 제외, 8위까지의 개인 종목 순위 결과와 포인트의 기록. 2023년 세계선수권 부터는 종합제와 3000 m 슈퍼파이널을 하지 않기 때문에 메달과 순위결과만 기재.[4]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5] 랭킹 표기 : 20위까지 표기 (전체 랭킹기록 6개 모두 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