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김민정 金玟廷 | Kim Minjung | |
| |
출생 | 1985년 3월 20일 ([age(1985-03-20)]세) |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 | |
국적 |
|
학력 | 조봉초등학교 (졸업) 봉선중학교 (졸업) 서현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체육교육학 / 석사)[1]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 종목: 1500m |
신체 | 160cm |
국가대표 | 2002-03~2003-04, 2006-07~2007-08, 2008-09~2009-10, 2012-13(7시즌)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쇼트트랙 선수다. 에이스라 불렸던 선수들보다 실력이 떨어지고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포기하지 않는 근성과 노력으로 선수생명이 짧은 쇼트트랙에서 30대에도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이며 많은 후배 선수들에게 존경받는 선수이다. 총 7시즌동안 국가대표 생활을 했으며 이는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이후 선수들 중 조해리(8시즌)에 이은 역대 2위의 기록이다.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민정(쇼트트랙)/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민정(쇼트트랙)/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은퇴 이후
- 서울 목동아이스링크에서 은퇴식을 치렀다. 출산한 이후로는 고양시청에서 코치로 일하고 있으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과 관련해 동아일보와 인터뷰를 했다.
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대회 성적
| ||
금메달 | 2007 밀라노 | 3000m 계주 |
금메달 | 2008 강릉 | 3000m 계주 |
금메달 | 2009 비엔나 | 1500m |
금메달 | 2010 소피아 | 3000m 계주 |
은메달 | 2009 비엔나 | 3000m 계주 |
은메달 | 2009 비엔나 | 종합 |
은메달 | 2009 비엔나 | 1000m |
2위 | 2009 비엔나 | 3000m S.F. |
| ||
금메달 | 2003 소피아 | 단체전 |
금메달 | 2007 부다페스트 | 단체전 |
금메달 | 2010 보르미오 | 단체전 |
은메달 | 2009 헤이렌베인 | 단체전 |
| ||
은메달 | 2007 창춘 | 3000m 계주 |
| ||
금메달 | 2011 에르주룸 | 3000m 계주 |
은메달 | 2005 인스브루크 | 3000m |
은메달 | 2011 에르주룸 | 1000m |
| ||
금메달 | 2003 부다페스트 | 1000m |
금메달 | 2003 부다페스트 | 2000m 계주 |
동메달 | 2003 부다페스트 | 종합 |
동메달 | 2003 부다페스트 | 1500m |
3위 | 2003 부다페스트 | 1500m S.F. |
4.2. 세계선수권 성적
| ||||
대회 | 금 | 은 | 동 | 포디움 |
세계선수권 개인 메달 | 1 | 2 | 0 | 3 |
세계선수권 계주 메달 | 3 | 1 | 0 | 4 |
합계 | 4 | 3 | 0 | 7 |
| |||||||
시즌 | 종합랭킹 | 포인트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 계주 |
2007 | - | - | - | - | - | - | 금 |
2008 | - | - | - | - | - | - | 금 |
2009 | 은 | 76 | - | 은 | 금 | 2위 | 은 |
2위 | - | 21 | 34 | 21 | - | ||
2010 | - | - | - | - | - | - | 금 |
| |||||||
메달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 계주 | 합계 |
금 | - | - | - | 1 | - | 3 | 4 |
은 | 1 | - | 1 | - | 1 | 1 | 4 |
동 | - | - | - | - | - | - | 0 |
합계 | 1 | - | 1 | 1 | 1 | 4 | 8 |
- 국가대표팀으로 활약한 7시즌 중 4시즌의 세계선수권 결과 기재. 수상 기록이 없거나 세계선수권 참여를 하지 않은 시즌은 기재하지 않음. [2]
4.3. 월드컵 성적
| ||||
월드컵 랭킹 | 우승 | 2위 | 3위 | 포디움 |
500 m 랭킹 | 0 | 0 | 1 | 1 |
1500 m 랭킹 | 0 | 0 | 2 | 2 |
합계 | 0 | 0 | 3 | 3 |
월드컵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500 m | 0 | 1 | 0 | 1 |
1000 m | 1 | 1 | 2 | 4 |
1500 m | 4 | 3 | 2 | 9 |
개인전 합계 | 5 | 5 | 4 | 14 |
3000m 계주 | 2 | 9 | 3 | 14 |
메달 합계 | 7 | 14 | 7 | 28 |
랭킹 + 메달 합계 | 7 | 14 | 10 | 31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2003-04 | - | 37위 | - | - |
2006-07 | - | 3위 | - | 10위 |
2008-09 | - | - | 10위 | 3위 |
2009-10 | - | 29위 | - | 7위 |
2012-13 | - | 25위 | 6위 | 3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4] |
5. 기타
- 성격이 시원시원하고 털털하며 후배들을 잘 챙겨 따르는 후배들이 매우 많다. 특히 곽윤기, 박승희, 성시백과는 매우 절친한 사이다. 강윤미, 변천사, 정은주, 진선유 등 1987~89년생 여자 선수들이 부상 등으로 사라지고 침체기였던 쇼트트랙 여자 국가대표팀을 조해리와 같이 맏언니로 이끈 선수였다. 두 선수들 밑에서 막내 생활을 하면서 성장했던 1990년대 초반 출생 선수들이 박승희와 이은별로 허리 역할을 해주었다.
6. 둘러보기
김민정 관련 틀 |
[1] 석사 학위 논문은 초등학교 빙상종목 참가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다.[2] 세계선수권 결과 기재 : 수상기록이 없는 시즌 결과는 제외, 8위까지의 개인 종목 순위 결과와 포인트의 기록. 2023년 세계선수권 부터는 종합제와 3000 m 슈퍼파이널을 하지 않기 때문에 메달과 순위결과만 기재.[3]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4]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12개의 84%인 10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