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9 18:57:02

김민정(쇼트트랙)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김민정
金玟廷 | Kim Minjung
파일:external/sports.chosun.com/a2o74103_9.jpg
출생 1985년 3월 20일 ([age(1985-03-20)]세)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조봉초등학교 (졸업)
봉선중학교 (졸업)
서현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체육교육학 / 석사)[1]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 종목: 1500m
신체 160cm
국가대표 2002-03~2003-04, 2006-07~2007-08,
2008-09~2009-10, 2012-13(7시즌)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이후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대회 성적4.2. 세계선수권 성적4.3. 월드컵 성적
5. 기타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쇼트트랙 선수다. 에이스라 불렸던 선수들보다 실력이 떨어지고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포기하지 않는 근성과 노력으로 선수생명이 짧은 쇼트트랙에서 30대에도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이며 많은 후배 선수들에게 존경받는 선수이다. 총 7시즌동안 국가대표 생활을 했으며 이는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이후 선수들 중 조해리(8시즌)에 이은 역대 2위의 기록이다.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민정(쇼트트랙)/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민정(쇼트트랙)/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민정(쇼트트랙)/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은퇴 이후

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대회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 2007 밀라노 3000m 계주
금메달 2008 강릉 3000m 계주
금메달 2009 비엔나 1500m
금메달 2010 소피아 3000m 계주
은메달 2009 비엔나 3000m 계주
은메달 2009 비엔나 종합
은메달 2009 비엔나 1000m
2위 2009 비엔나 3000m S.F.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 팀선수권
금메달 2003 소피아 단체전
금메달 2007 부다페스트 단체전
금메달 2010 보르미오 단체전
은메달 2009 헤이렌베인 단체전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은메달 2007 창춘 3000m 계주
파일:FISU 로고.svg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1 에르주룸 3000m 계주
은메달 2005 인스브루크 3000m
은메달 2011 에르주룸 1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2003 부다페스트 1000m
금메달 2003 부다페스트 2000m 계주
동메달 2003 부다페스트 종합
동메달 2003 부다페스트 1500m
3위 2003 부다페스트 1500m S.F.

4.2. 세계선수권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수상성적
대회 포디움
세계선수권 개인 메달 1 2 0 3
세계선수권 계주 메달 3 1 0 4
합계 4 3 0 7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성적 기록
시즌 종합랭킹 포인트 500 m 1000 m 1500 m 3000 m 계주
2007 - - - - - -
2008 - - - - - -
2009 76 - 2위
2위 - 21 34 21 -
2010 - - - - - -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성적 종목 통계
메달 종합 500 m 1000 m 1500 m 3000 m 계주 합계
- - - 1 - 3 4
1 - 1 - 1 1 4
- - - - - - 0
합계 1 - 1 1 1 4 8

4.3. 월드컵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수상 기록
월드컵 랭킹 우승 2위 3위 포디움
500 m 랭킹 0 0 1 1
1500 m 랭킹 0 0 2 2
합계 0 0 3 3
월드컵 메달 포디움
500 m 0 1 0 1
1000 m 1 1 2 4
1500 m 4 3 2 9
개인전 합계 5 5 4 14
3000m 계주 2 9 3 14
메달 합계 7 14 7 28
랭킹 + 메달 합계 7 14 10 31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랭킹[3]
시즌 종합 500 m 1000 m 1500 m
2003-04 - 37위 - -
2006-07 - 3위 - 10위
2008-09 - - 10위 3위
2009-10 - 29위 - 7위
2012-13 - 25위 6위 3위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4]

5. 기타

6. 둘러보기

김민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rowcolor=#fff> 남자
안현수 송경택 김현곤 김병준 이호석
<rowcolor=#fff> 여자
진선유 전지수 변천사 정은주 김민정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rowcolor=#ffffff> 남자
이호석 성시백 이정수 김성일 곽윤기
<rowcolor=#ffffff> 여자
조해리 박승희 이은별 최정원 김민정



[1] 석사 학위 논문은 초등학교 빙상종목 참가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다.[2] 세계선수권 결과 기재 : 수상기록이 없는 시즌 결과는 제외, 8위까지의 개인 종목 순위 결과와 포인트의 기록. 2023년 세계선수권 부터는 종합제와 3000 m 슈퍼파이널을 하지 않기 때문에 메달과 순위결과만 기재.[3]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4]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12개의 84%인 10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