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7 15:55:59

서이라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배우}}}에 대한 내용은 [[서이라(배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서이라(배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서이라(배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배우: }}}[[서이라(배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서이라(배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서이라(배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파일:화성시 CI.svg화성시청 쇼트트랙팀
2025 시즌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000,#fff
<rowcolor=#ffffff,#ffffff> 남자 여자
<colbgcolor=#fff,#1f2023> 이도진 서이라 김태성 노도희 김혜빈
장성우 배서찬 박노원 유현민 김은서
쇼트트랙 실업팀 둘러보기
}}}}}}}}}}}}}}} ||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서이라
Seo Yira
파일:서이라23.jpg
출생 1992년 10월 31일 ([age(1992-10-31)]세)
서울특별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68cm, 64kg
학력 돈암초등학교 (졸업)
대광중학교 (졸업)
불암고등학교 (전학)
서현고등학교 (졸업)
한국체육대학교 (체육학 / 학사)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 500m[1]
소속 화성시청[2]
소속사 라이언앳
MBTI ESTJ
국가대표 2011-12, 2014-15~2017-18, 2023-24~2024-25[3] (7시즌)
종교 개신교
가족 부모님, 형(1988년생)
배우자(2018년 10월 6일 결혼)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평가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대회 성적4.2. 세계선수권 성적4.3. 월드컵 성적4.4. 유튜브 출연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다. 남자 1000m 아시안 게임 신기록 보유자이기도 하다.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이라/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이라/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이라/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한국 선수 중에서는 한때 국내 500m 최강자였다고 여겨졌던 박세영보다도[4] 스타트가 좋은 편이었으며, 이 스타트만큼은 당시 500m 종목 세계 최강자 중 한 명이라 알려진 우다징과 비교했을 때도 크게 밀리지 않는다. 체구가 작은 데도 좋은 스타트를 갖췄다는 점은 중국량원하오와 비슷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모든 종목에서 고루 활약할 수 있는 올라운드 기질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아직 제대로 된 정상급 '올라운더'라고 평가 받기에는 부족하다는 평이 주를 이루었고, 무엇보다 기복이 심한 편이라는 점이 걸림돌이었다.

개인전에서 보여주는 견제능력도 나쁘지는 않고[5] 작은 체구에 비해 몸싸움도 약하지 않다. 특히 2014-15 시즌 1차대회 1000m 2차 레이스 준결승에서 샤를 아믈랭과 강한 몸 싸움이 있었는데 그걸 뚝심으로 버텨내 아믈랭이 당황하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있다.[6] 다만 스퍼트나 스피드에서는 약간 아쉬운 면이 있어 500m에서는 위에 서술대로 좋은 스타트 능력이 있음에도 좋은 성적이 잘 안 나오는 편. 특히 500m에서 활약하는 단거리 스프린터들은 스타트 뿐만 아니라 상당한 스피드도 갖추고 있지만, 서이라는 좋은 스타트로 유리한 순위로 출발을 해도 경기 중반으로 가면서는 속도가 부치면서 추월 당하는 일이 많았다. 그래서 그런지 이걸 커버하기 위해 그냥 앞만 보고 달리기보다 견제에 신경쓰는 모습을 자주 보였다. 계주에서도 크게 도움이 되는 유형의 선수는 아니다. 개인전에서 보여주는 준수한 견제 능력마저도 계주에서는 전혀 보여주지 못했으며 오히려 인코스를 자주 내주는 등의 실수를 했다. 체력적으로도 아주 강한 편이 아니라 한국 선수들이 가장 좋은 성적을 내는 1500m에서도 꾸준한 퍼포먼스는 없었다.

2014-15 시즌부터 지금까지 뚜렷한 활약상이 없어 많은 질타를 받았고 정작 대표선발전에서는 매번 인생경기를 펼치는 모습을 보여 '목동 요정' '목동 왕자'라는 별명이 생겼다.[7]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의 활약과 2017 세계선수권 종합 우승으로 평가가 잠시 올라가기도 했었다. 하지만 세계선수권을 우승했던 선수 중에는 정상급으로 보기엔 부족한 선수로 신다운이라는 케이스가 있었고, 서이라 또한 받아왔던 기대와는 달리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라는 가장 큰 무대에서 한계를 드러냈다.

은퇴 후에 오랜만에 복귀하여 2023-24시즌, 2024-25시즌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는데, 최근에는 500m 종목에 집중하며 성과를 내고 있다. 2023-24시즌 쇼트트랙 월드컵 4차 500m에서 간발의 차로 은메달을 획득하였고, 6차 500m(1)에는 당시 유력한 크리스탈 글로브 수상 후보였던 캐나다의 스티븐 뒤부아를 따돌리며 금메달을 획득해 화제가 되었다.[8]

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대회 성적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동메달 2018 평창 1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7 로테르담 종합
금메달 2017 로테르담 1000m
금메달 2018 몬트리올 5000m 계주
2위 2017 로테르담 3000m S.F.
은메달 2024 로테르담 5000m 계주
동메달 2017 로테르담 500m
동메달 2017 로테르담 1500m
동메달 2016 서울 5000m 계주
동메달 2025 베이징 5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금메달 2024 라발 5000m 계주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7 삿포로 1000m
은메달 2017 삿포로 5000m 계주
은메달 2017 삿포로 500m
파일:FISU 로고.svg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5 그라나다 500m
은메달 2015 그라나다 1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1 쿠르마외르 종합
금메달 2011 쿠르마외르 1500m
1위 2011 쿠르마외르 1500m S.F.
은메달 2011 쿠르마외르 1000m

4.2. 세계선수권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수상성적
대회 포디움
세계선수권 개인 메달 2 0 2 4
세계선수권 계주 메달 1 1 1 3
합계 3 1 3 7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성적 기록
시즌 종합랭킹 포인트 500 m 1000 m 1500 m 3000 m 계주
2016 8위 24 4위 4위 - 4위
8 8 - 8 -
2017 81 2위 -
우승 13 34 13 21 -
2018 13위 1 - - 8위 -
- - 1 - -
시즌 - 500 m 1000 m 1500 m 계주 혼성 계주
2024 - - - - -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성적 종목 통계
메달 종합 500 m 1000 m 1500 m 3000 m 계주 혼성 계주 합계
1 - 1 - - 1 - 3
- - - - 1 1 - 2
- 1 - 1 - 1 - 3
합계 1 1 1 1 1 3 - 8

4.3. 월드컵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수상 기록
월드컵 메달 포디움
500 m 2 2 0 4
1000 m 1 1 2 4
1500 m 1 0 0 1
개인전 합계 4 3 2 9
5000 m 계주 4 4 1 9
2000 m 혼성 계주 0 1 2 3
계주 합계 4 5 3 12
메달합계 8 8 5 21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랭킹[10]
시즌 종합 500 m 1000 m 1500 m
2011-12 - 18위 20위 -
2014-15 - 11위 9위 14위
2015-16 - - 8위 7위
2016-17 - - - 33위
2017-18 - 6위 10위 7위
2023-24 15위 5위 36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11]

2023-2024 시즌 수상기록까지

4.4. 유튜브 출연

방영일 채널명 제목 영상
2018년
2월 10일 SBS SBS [평창올림픽] - 미니다큐 쇼트트랙 서이라 선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월 23일 엠빅 뉴스 국가대표 기자회견장에 래퍼가 나타났다_서이라 쇼트트랙 메달리스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월 26일 2S3B Korea [2S3B 투쓰리] 쇼트트랙 국가대표 서이라의 BLIZ 매트릭스 리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11월 5일 핫둘핫둘서울 탄력 있는 다리를 원한다면? 쇼트트랙 선수 서이라와 함께하는 7가지 하체 운동법 모음ZIP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년
2월 18일 문화포커스 쇼트트랙 서이라, 월드컵 6차 남자 500m 우승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여담

6. 둘러보기

서이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동계올림픽 남자 1000m 동메달리스트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2 1994 1998 2002 200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준호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 파일:일본 국기.svg 우에마츠 히토시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테외 튀르코트 파일:미국 국기.svg 아폴로 안톤 오노
2010 2014 2018 2022 2026
파일:미국 국기.svg 아폴로 안톤 오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이라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파일:국기.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합 우승제: 1회(1976년) ~ 47회(2022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종합 우승제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4회 1999 소피아 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
1회 1976 섐페인 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래트레이 25회 2000 셰필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룡
2회 1977 그르노블 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 26회 2001 전주 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
3회 1978 솔리헐 파일:호주 국기.svg 제임스 린치 27회 2002 몬트리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
4회 1979 퀘백 파일:일본 국기.svg 토다 히로시 28회 2003 바르샤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5회 1980 밀라노 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 29회 2004 예테보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6회 1981 뫼동 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누아 바릴 30회 2005 베이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7회 1982 멍크턴 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 31회 2006 미니애폴리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8회 1983 도쿄 파일:캐나다 국기.svg 루이 그르니에 32회 2007 밀라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9회 1984 피터버러 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 33회 2008 강릉 파일:미국 국기.svg 아폴로 안톤 오노
10회 1985 암스테르담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이 토시노부 34회 2009 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11회 1986 샤모니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하라 타츠요시 35회 2010 소피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12회 1987 몬트리올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데이뇨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이 토시노부
36회 2011 셰필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진규
13회 1988 세인트루이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피터 판데르벨데 37회 2012 상하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곽윤기
14회 1989 솔리헐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데이뇨 38회 2013 데브레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다운
15회 1990 암스테르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준호 39회 2014 몬트리올 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르 안
16회 1991 시드니 파일:영국 국기.svg 윌프 오레일리 40회 2015 모스크바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17회 1992 덴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훈 41회 2016 서울 파일:중국 국기.svg 한톈위
18회 1993 베이징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 42회 2017 로테르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이라
19회 1994 길드퍼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 43회 2018 몬트리올 파일:캐나다 국기.svg 샤를 아믈랭
20회 1995 요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지훈 44회 2019 소피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효준
21회 1996 헤이그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 45회 2020 서울 취소COVID-19
22회 1997 나가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 46회 2021 도르드레흐트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23회 1998 빈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 47회 2022 몬트리올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
종합 우승제 폐지: 48회(2023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8회 2023 서울 5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9회 2024
로테르담
500m 파일:중국 국기.svg 린샤오쥔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 10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윌리엄 단지누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 1500m 파일:중국 국기.svg 쑨룽
50회 2025
베이징
5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티븐 뒤부아 51회 2026
몬트리올
500m 파일:국기.svg
10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티븐 뒤부아 1000m 파일:국기.svg
15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윌리엄 단지누 1500m 파일:국기.svg }}}}}}}}}
ISU 쇼트트랙 주요 시니어 대회 역대 우승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합 우승제: 1회(1994년) ~ 25회(2018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1994 1995 1996 1997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준 파일:캐나다 국기.svg 장 프랑수아 모네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 파일:캐나다 국기.svg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준
<rowcolor=#ffffff> 1999 2000 2001 2002 2003
파일:미국 국기.svg 아폴로 안톤 오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룡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2004 2005 2006 2007 200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우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윤재
2009 2010 2011 2012 20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엄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진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이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세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세영
2014 2015 2016 2017 20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문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다겸 파일:중국 국기.svg 런쯔웨이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경환
}}}}}}}}} ||
종합 우승제 폐지: 26회(2019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019 2019
몬트리올
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성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020 2020
보르미오
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민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호경 1000m 파일:중국 국기.svg 쑨룽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현우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성
2022 2022
그단스크
500m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예닝 데 부 2023 2023
드레스덴
500m 파일:폴란드 국기.svg 미하우 니에빈스키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서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현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건녕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현
2024 2024
그단스크
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동민 2025 2025
캘거리
5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튜 펠레티어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동민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종언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종언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종언
2026 2026
솔트레이크 시티
500m 파일:국기.svg 2027 2027
알마티
500m 파일:국기.svg
1000m 파일:국기.svg 1000m 파일:국기.svg
1500m 파일:국기.svg 1500m 파일:국기.svg }}}}}}}}}
쇼트트랙 주요 주니어 대회 역대 우승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rowcolor=#fff> 남자
이정수 ''' [[주장|
C
]]'''
박세영 서이라 한승수 신다운
<rowcolor=#fff> 여자
심석희 김지유 김건희 최민정 노도희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rowcolor=#fff> 남자
서이라 임효준 황대헌 김도겸 곽윤기''' [[주장|
C
]]'''
<rowcolor=#fff> 여자
심석희''' [[주장|
C
]]'''
최민정 김아랑 이유빈 김예진

파일:라이언앳.png
라이언앳 소속 운동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연경 서이라 오세근 조은채
황대헌 김다겸 윤채영
}}}}}}}}} ||


[1] 전성기 시절엔 1000m였으나, 은퇴 후 복귀한 지금은 500m를 주종목으로 하고 있다.[2] 2021년 은퇴를 하면서 소속팀에서도 나왔지만, 2022년 선수 복귀 후 무소속으로 활동하다 2023년 친정팀인 화성시청으로 재입단했다.[3] 2024-25 시즌은 앞순위인 김태성, 박장혁이 세계선수권 대회를 불참하여 차순위 자격으로 계주에 출전했다.[4] 현재는 이 둘 모두 500미터 종목 기량에서 황대헌임효준에게 밀린다.[5] 문제는 계주에서 견제를 잘 못하고 인코스를 잘 내주는 경향이 있다.[6] 오히려 인코스로 추월을 시도한 아믈랭이 뒤쪽으로 밀리는 모습을 보였다.[7]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발전이 목동에서 열리기 때문이다. 이 별명은 트리오 중 다른 한명인 박세영과도 공유한다.[8] 당시에 한국의 박지원과 캐나다의 스티븐 뒤부아가 1, 2위로 크리스탈 글로브 수상 경합을 벌이고 있었는데, 서이라가 스티븐 뒤부아의 1위를 저지함으로써 박지원의 수상에 큰 보탬이 되었다. 경기의 중계를 맡은 한형구 아나운서가 박지원의 크리스탈 글로브 수상을 중계하며, 서이라에게 맛있는 밥(한우, 장어)을 쏴야 한다고 언급했다.[9] 세계선수권 결과 기재 : 수상기록이 없는 시즌 결과는 제외, 8위까지의 개인 종목 순위 결과와 포인트의 기록. 2023년 세계선수권 부터는 종합제와 3000 m 슈퍼파이널을 하지 않기 때문에 메달과 순위결과만 기재.[10]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11]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17개의 83%인 14개까지 표기[12] 정확히는 얼굴에 직접 착용하는 게 아니라 헬멧에 붙이는 형태다.[13] 서양권에서 잘 알려진 하와이의 전통 인사법이며, 이 손동작을 자주 하는 대표적인 유명인은 호나우지뉴가 있다.[14] 올림픽에서 서이라의 메달 획득에 대해 대통령이 축전을 보냈고, 이와 관련하여 서이라가 쓴 답글의 내용을 감안하면 본인이 미치지 않고서야 일베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다. 더군다나 서이라는 문재인 대통령과 사진도 찍었다.[15] 당연하지만 사실이 아니다.[1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7] 김선태가 이 랩을 들은 후에 운동 열심히 하자고 코멘트를 날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