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 화성시청 쇼트트랙팀 2025 시즌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000,#fff | <rowcolor=#ffffff,#ffffff> 남자 | 여자 | |||
| <colbgcolor=#fff,#1f2023> 이도진 | 서이라 | 김태성 | 노도희 | 김혜빈 | |
| 장성우 | 배서찬 | 박노원 | 유현민 | 김은서 | |
| 쇼트트랙 실업팀 둘러보기 | |||||
|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ffffff> 장성우 張誠祐|Jang Sungwoo | |
| | |
| 출생 | 2002년 3월 19일 ([age(2002-03-19)]세) |
|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 |
| 국적 | |
| 신체 | 178cm[1], 72kg[2], O형 |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
| 소속 | 화성시청 (2025~현재) |
| 소속사 | 넥스트크리에이티브 |
| 학력 | 대구용지초등학교 (졸업) 오성중학교 (졸업) 경신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국제스포츠학 / 학사) |
| 국가대표 | 2022-23~2024-25 (3시즌) |
| 가족 | 부모님, 여동생 |
| 병역 | 예술체육요원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혼성 2000m 계주, 남자 1000m 금메달) |
| MBTI | ENFP |
| 서명 | |
| SNS | |
1. 개요
대한민국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다.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성우(쇼트트랙)/선수 경력#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성우(쇼트트랙)/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평가
2020 로잔 동계청소년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서 국가대표 기대주로 언급이 많이 되었다. 고등학생 때 국가대표를 달았던 이준서 바로 밑 세대로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끝난 이후 쇼트트랙 팬들사이에서는 김태성, 이정민,장점으로는 뛰어난 체력이 손꼽히며 이를 이용한 경기 후반 아웃 추월을 하는 경기를 주로 선보이고 있다. 대표팀 초반 미숙했던 경기 운영은 여러 월드컵 경기를 치르며 점차 나아지고 있고 코너 끝부분에서 인코스로 파고 드는 등 침착하게 기회를 보며 경기를 타는 스타일에 속한다. 또한 월드 투어에서 메달을 꾸준하게 수집하며 개인전에서 발전 가능성을 많이 보여주었다.
선수들 사이에서도 열정이 뛰어난 선수로 손꼽히며 끝까지 날을 내미는 모습 등 계속 노력하는 모습으로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다만, 장거리가 주종목인 전형적인 체력형 스케이터로서 스타트와 순발력은 느린 편에 속하며 최고 스피드 및 순속도 또한 정상급 선수들에 비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3] 인코스가 자주 비어 쉽게 자리를 뺏기는 부분도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꼽힌다. 특히, 개인전 보다는 계주 종목에서의 능력치가 다소 부족하다고 주로 지적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은 장성우를 비롯한 한국 대다수 선수들의 문제점이기도 하다. [4]
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대회 성적
| | ||
| 동메달 | 2025 베이징 | 5000m 계주 |
| | ||
| 금메달 | 2024 라발 | 5000m 계주 |
| | ||
| 금메달 | 2025 하얼빈 | 혼성 2000m 계주 |
| 금메달 | 2025 하얼빈 | 1000m |
| 동메달 | 2025 하얼빈 | 500m |
| 동메달 | 2025 하얼빈 | 1500m |
| | ||
| 금메달 | 2020 로잔 | 1000m |
| 은메달 | 2020 로잔 | 500m |
| 은메달 | 2020 로잔 | 혼성 3000m 계주[5] |
| | ||
| 금메달 | 2023 레이크플래시드 | 5000m 계주 |
| 금메달 | 2023 레이크플래시드 | 1000m |
| 동메달 | 2023 레이크플래시드 | 1500m |
| | ||
| 금메달 | 2020 보르미오 | 3000m 계주 |
4.2. 월드 투어 성적
| | ||||
| 월드 투어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 500 m | 0 | 1 | 1 | 2 |
| 1000m | 0 | 2 | 3 | 5 |
| 1500 m | 0 | 1 | 1 | 2 |
| 개인전 합계 | 0 | 4 | 5 | 9 |
| 5000m 계주 | 1 | 5 | 1 | 7 |
| 2000m 혼성 계주 | 1 | 3 | 1 | 5 |
| 계주 합계 | 2 | 8 | 2 | 12 |
| 메달합계 | 2 | 12 | 7 | 21 |
|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 2022-23 | 26위 | 10위 | - | - |
| 2023-24 | 6위 | 23위 | 4위 | 12위 |
| 2024-25 | 8위 | - | 4위 | 5위 |
2024-25 시즌 수상기록까지
5. 방송
| <rowcolor=#fff> 방영일 | 방송사 | 제목 | 영상 | 비고 |
| <rowcolor=#fff> 2025년 | ||||
| 2월 26일 | | 유 퀴즈 온 더 블럭 | | with 김길리, 박지원 |
| 3월 9일 | [[SBS TV| SBS | 런닝맨 | | with 박지원 |
5.1. 기타 출연
6. 화보
| <rowcolor=#fff> 연도 | 발행 | 매체 | 비고 |
| 2024년 | 9월호 | 파일:마리끌레르 코리아 로고.svg | |
| 2025년 | 5월호 | | 📑 |
7. 여담
- 상당히 성실하게 훈련에 임하고 노력파인 걸로 알려져 있다. 경기만 보더라도 메달권이 아니어도 항상 끝까지 날을 내밀거나 기회를 엿보고 도전하려고 하는지라 팬들 사이에서는 최애 선수가 누구든지 간에 장성우는 기특해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2023-24 시즌 대표팀을 같이 했던 서이라가 꽉잡아윤기 채널 라이브 방송에서 "꼰대로서 흡족하다. 운동선수라면 저렇게 해야지. 시합을 위해서 훈련할 때 잘 타는 게 아니라 스스로 늘기 위해서 힘든 것들을 참아내는" 이라고 말하며 흡족해 했을 정도이며 신동민도 "성실하다는 표현만으로는 부족하며 그 이상이다. 따로 필요한 훈련이 있으면 더 한다."라고 언급했다.
- 롤모델을 물어보면 곽윤기라고 답하고 다닌다고 2020년 꽉잡아윤기에서 밝혔다.# 센스 있는 스케이팅, 통통 튀는 매력, 작은 체구에 비해 강한 인상을 주는게 멋있어 보였다고 한다. 또한 초등학교 2학년 때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인상 깊게 봤다고 한다.#
- 박지원이 엄청 깨끗하게 생겼고 보존해야할 것 같은 동생이라고 언급한 적 있으며 이후에는 별명을 크린토피아 장성우라고 지었다.
- 대한빙상연맹에서 개최한 빙상인의 밤(2022, 2023, 2024, 2025)에 참석하였다.
- 중학교 3학년 때 경기 중 상대 선수 스케이트 날에 왼쪽 허벅지가 찔려 근막이 손상된 적이 있다고 한다.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에 출전했을 때 훈훈한 외모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8. 둘러보기
| 장성우 관련 틀 | |||||||||||||||||||||||||||||||||||||||||||||||||||||||||||||||||||||||||||||||||||||||||||||||||||||||||||||||||||||||||||||||||||||||||||||||
| |||||||||||||||||||||||||||||||||||||||||||||||||||||||||||||||||||||||||||||||||||||||||||||||||||||||||||||||||||||||||||||||||||||||||||||||
[1] 에스크에서 본인이 178cm라고 언급,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 공식 등록 기준 178cm[2]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 공식 등록 기준 72kg[3] 그래서 쇼트트랙 팬들은 농담 삼아 장성우의 경기 운영 능력과 김태성의 스피드가 합쳐졌으면 좋겠다는 말을 한다. 서로 장점과 단점이 반대이기 때문이다.[4] 비슷한 스타일의 여자선수로는 이유빈이 있다. 이유빈 또한 장거리가 주종목인 선수로서, 순발력이 느린 편에 속해 개인전 보다는 계주 종목에서의 아쉬움이 드러나는 편이다.[5] 국가를 섞어 팀으로 진행했기에 대한민국 메달에 집계되지는 않았다.[6] 월드 투어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