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04 14:36:37

장성우(쇼트트랙)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파일:화성시 CI.svg화성시청 쇼트트랙팀
2025 시즌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000,#fff
<rowcolor=#ffffff,#ffffff> 남자 여자
<colbgcolor=#fff,#1f2023> 이도진 서이라 김태성 노도희 김혜빈
장성우 배서찬 박노원 유현민 김은서
쇼트트랙 실업팀 둘러보기
}}}}}}}}}}}}}}} ||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ffffff>
장성우
張誠祐|Jang Sungwoo
파일:쇼트트랙장성우.jpg
출생 2002년 3월 19일 ([age(2002-03-19)]세)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8cm[1], 72kg[2], O형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소속 화성시청 (2025~현재)
소속사 넥스트크리에이티브
학력 대구용지초등학교 (졸업)
오성중학교 (졸업)
경신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국제스포츠학 / 학사)
국가대표 2022-23~2024-25 (3시즌)
가족 부모님, 여동생
병역 예술체육요원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혼성 2000m 계주, 남자 1000m 금메달)
MBTI ENFP
서명
파일:장성우(쇼트트랙) 서명.jpg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평가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대회 성적4.2. 월드 투어 성적
5. 방송
5.1. 기타 출연
6. 화보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우(쇼트트랙)/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성우(쇼트트랙)/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성우(쇼트트랙)/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2020 로잔 동계청소년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서 국가대표 기대주로 언급이 많이 되었다. 고등학생 때 국가대표를 달았던 이준서 바로 밑 세대로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끝난 이후 쇼트트랙 팬들사이에서는 김태성, 이정민, 문원준과 함께 대학부 유망주 라인으로 묶이기도 했다. 22/23시즌에 예비 국가대표로 진천에 합류하기 시작하고 바로 다음 시즌인 23/24시즌에는 더 발전한 경기력과 순위로 대표팀에 선발되어 월드컵을 뛰고 있다.

장점으로는 뛰어난 체력이 손꼽히며 이를 이용한 경기 후반 아웃 추월을 하는 경기를 주로 선보이고 있다. 대표팀 초반 미숙했던 경기 운영은 여러 월드컵 경기를 치르며 점차 나아지고 있고 코너 끝부분에서 인코스로 파고 드는 등 침착하게 기회를 보며 경기를 타는 스타일에 속한다. 또한 월드 투어에서 메달을 꾸준하게 수집하며 개인전에서 발전 가능성을 많이 보여주었다.

선수들 사이에서도 열정이 뛰어난 선수로 손꼽히며 끝까지 날을 내미는 모습 등 계속 노력하는 모습으로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다만, 장거리가 주종목인 전형적인 체력형 스케이터로서 스타트와 순발력은 느린 편에 속하며 최고 스피드 및 순속도 또한 정상급 선수들에 비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3] 인코스가 자주 비어 쉽게 자리를 뺏기는 부분도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꼽힌다. 특히, 개인전 보다는 계주 종목에서의 능력치가 다소 부족하다고 주로 지적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은 장성우를 비롯한 한국 대다수 선수들의 문제점이기도 하다. [4]

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대회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동메달 2025 베이징 5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금메달 2024 라발 5000m 계주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25 하얼빈 혼성 2000m 계주
금메달 2025 하얼빈 1000m
동메달 2025 하얼빈 500m
동메달 2025 하얼빈 1500m
파일:청소년 올림픽 로고.svg 청소년올림픽
금메달 2020 로잔 1000m
은메달 2020 로잔 500m
은메달 2020 로잔 혼성 3000m 계주[5]
파일:FISU 엠블럼.svg 세계대학경기대회
금메달 2023 레이크플래시드 5000m 계주
금메달 2023 레이크플래시드 1000m
동메달 2023 레이크플래시드 15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2020 보르미오 3000m 계주

4.2. 월드 투어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투어 수상 기록
월드 투어 메달 포디움
500 m 0 1 1 2
1000m 0 2 3 5
1500 m 0 1 1 2
개인전 합계 0 4 5 9
5000m 계주 1 5 1 7
2000m 혼성 계주 1 3 1 5
계주 합계 2 8 2 12
메달합계 2 12 7 21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투어 랭킹[6]
시즌 종합 500 m 1000 m 1500 m
2022-23 26위 10위 - -
2023-24 6위 23위 4위 12위
2024-25 8위 - 4위 5위

2024-25 시즌 수상기록까지

5. 방송

<rowcolor=#fff> 방영일 방송사 제목 영상 비고
<rowcolor=#fff> 2025년
2월 26일 파일:tvN 로고(2012-2021).svg 유 퀴즈 온 더 블럭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ith 김길리, 박지원
3월 9일
[[SBS TV|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SBS
]]
런닝맨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ith 박지원

5.1. 기타 출연

<rowcolor=#fff> 방영일 채널명 제목 영상
<rowcolor=#fff> 2024년
5월 14일 스브스스포츠 <#빙수다> EP.04_'믿고 보는 3인방😍' 박지원&김길리&장성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월 22일 스브스스포츠 <#빙수다> EP.05_'만나면 하는 🎳?' 박지원&김길리&장성우 2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fff> 2025년
1월 7일 teamKorea Vlog 국대선수들의 사적인 인터뷰 <국대입장> Ep.08 쇼트트랙 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월 15일 olympic 쇼트트랙 박지원-장성우 키보드 훔쳐보기👀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6. 화보

<rowcolor=#fff> 연도 발행 매체 비고
2024년 9월호 파일:마리끌레르 코리아 로고.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2025년 5월호 파일:W 코리아 로고.svg 📑

7. 여담

8. 둘러보기

장성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넥스트크리에이티브 로고(배경 햐양).jpg
넥스트크리에이티브 소속 운동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골프
고경민 김나영 김민별 김시원 박현경
박혜준 서어진 손예빈 안신애 유현조
이율린 이효린 전예성 하다인 현은지
<rowcolor=#ffffff> 올림픽
구경민 김민선 김민지 김수지 김은지
김유성 김유재 김현겸 나주영 박지원
설예은 설예지 이민우 임태경 장성우
정희단 최하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청소년 올림픽 로고.svg
동계청소년올림픽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2012
인스브루크
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수민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2016
릴레함메르
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경환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효준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대헌
3회 2020
로잔
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민 4회 2024
강원
500m 파일:미국 국기.svg 션 슈아이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성우 1000m 파일:중국 국기.svg 장신져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재희
쇼트트랙 주요 주니어 대회 역대 우승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rowcolor=#fff> 남자 여자
이정민 장성우 서휘민 김찬서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rowcolor=#fff> 남자
박지원 장성우 김건우 김태성 이정수 박장혁
<rowcolor=#fff> 여자
김길리 최민정 심석희 노도희 이소연 김건희


[1] 에스크에서 본인이 178cm라고 언급,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 공식 등록 기준 178cm[2]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 공식 등록 기준 72kg[3] 그래서 쇼트트랙 팬들은 농담 삼아 장성우의 경기 운영 능력과 김태성의 스피드가 합쳐졌으면 좋겠다는 말을 한다. 서로 장점과 단점이 반대이기 때문이다.[4] 비슷한 스타일의 여자선수로는 이유빈이 있다. 이유빈 또한 장거리가 주종목인 선수로서, 순발력이 느린 편에 속해 개인전 보다는 계주 종목에서의 아쉬움이 드러나는 편이다.[5] 국가를 섞어 팀으로 진행했기에 대한민국 메달에 집계되지는 않았다.[6] 월드 투어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