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2025-26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f,#191919><colcolor=#282828,#fff> 시니어 | 남자 | 임종언 · 황대헌 · 신동민 · 이정민 · 이준서 ''' [[주장| C ]]''' · 김태성 · 홍경환 · 김건우 | |
여자 | 최민정 ''' [[주장| C ]]''' · 김길리 · 노도희 · 이소연 · 심석희 · 서휘민 · 최지현 · 노아름 | |||
주니어 | 남자 | 미정 | ||
여자 | 미정 | |||
해당 시즌 선발전 결과 | 해당 시즌 일정 및 경기 결과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 스포츠토토빙상단 쇼트트랙팀 2025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000,#fff | <rowcolor=#ffffff,#ffffff> 남자 | 여자 | ||
<colbgcolor=#fff,#1f2023> 김동욱 | 한승수 | 박장혁 | 이소연 | |
정원식 | 김건우 | |||
쇼트트랙 실업팀 둘러보기 |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이소연 Lee Soyeon | |
| |
출생 | 1993년 4월 16일 ([age(1993-04-16)]세) |
경기도 수원시 | |
국적 |
|
학력 | 탑동초등학교 (졸업) 평촌중학교 (졸업) 평촌고등학교 (전학) 행신고등학교 (졸업) 단국대학교 (생활체육학 / 학사) |
신체 | 159cm, 49kg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1000m |
소속 | 스포츠토토 |
국가대표 | 2012-13, 2016-17, 2022-23~2025-26 (6시즌) |
SNS |
1. 개요
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소연(쇼트트랙)/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소연(쇼트트랙)/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평가
정식으로 국가대표가 된 시즌은 2012-13 시즌 단 한 번 뿐으로 그다지 주목받는 선수는 아니었으나 늦은 나이에 기량이 성장하며 2022-23 시즌부터 한 번도 빠지지 않고 단골 계주 멤버가 된 특이한 케이스의 선수이다. 체력은 다소 부족하지만 준수한 스타트로 국내 500m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아시안게임에서 동메달을 따내기도 했다. 또한 상향평준화로 인해 스피드의 중요성이 올라간 현 여자부 계주에서 꾸준히 1인분을 해주고 있다.2025-26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34세의 나이로 올림픽 계주 멤버로 합류하며 소치 올림픽 당시 29세였던 조해리를 넘어 대한민국 여자부 올림픽 역대 최고령을 갱신하였다. [1]
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대회 성적
| ||
은메달 | 2023 서울 | 3000m 계주 |
| ||
동메달 | 2025 하얼빈 | 500m |
| ||
금메달 | 2023 솔트레이크시티 | 3000m 계주 |
은메달 | 2024 라발 | 3000m 계주 |
| ||
금메달 | 2013 트렌티노 | 3000m 계주 |
4.2. 월드 투어 성적
| ||||
월드 투어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1000 m | 1 | 2 | 1 | 4 |
1500 m | 1 | 0 | 0 | 1 |
개인전 합계 | 2 | 2 | 1 | 5 |
3000 m 계주 | 2 | 3 | 3 | 8 |
2000 m 혼성 계주 | 3 | 3 | 2 | 8 |
계주 합계 | 5 | 6 | 5 | 16 |
메달합계 | 7 | 8 | 6 | 21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2012-13 | - | 15위 | 4위 | 12위 |
2016-17 | - | 33위 | - | - |
2022-23 | 25위 | 14위 | 28위 | - |
2023-24 | 15위 | 17위 | 7위 | 31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3] |
5. 여담
- 존경하는 선수는 이소연의 소속팀 스포츠토토의 코치들인 신우철과 송경택이다.
- 쇼트트랙은 초등학교 2학년때 취미로 시작했다.
- 대한민국 쇼트트랙의 올림픽 도전 역사상 남녀 통틀어 최고령 선수로 기록되었다.[4]
6. 둘러보기
이소연 관련 틀 |
[1] 여담으로 밀라노 올림픽 여자부 출전선수는 5명 중 3명이 30대, 평균 나이 29.6세로 20대 초반이었던 역대 올림픽 여자부 국가대표 중 압도적으로 평균 나이가 높다.[2] 월드 투어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3]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13개의 85%인 11개까지 표기[4] 남자 최고령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출전했던 곽윤기. 단, 곽윤기가 베이징 이전에도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경력이 있지만 이소연은 밀라노가 본인의 첫 올림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