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color=#000,#fff><rowcolor=#000,#fff> 감독 | 신동호 | |
선수 | 스킵 김은지 · 서드 김민지 · 세컨드 김수지 · 리드 설예은 · 얼터 설예지 | ||
대한민국의 실업 컬링팀 둘러보기 |
<colbgcolor=#004097><colcolor=#fff> 김민지 Kim Minji | |
| |
출생 | 1999년 8월 16일 ([age(1999-08-16)]세) |
경기도 의정부시 | |
국적 |
|
학력 | 민락중학교 (졸업) 송현고등학교 (졸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영어영문학 / 재학) |
종목 | 컬링 |
소속 | 춘천시청 (2018~2022) 경기도청 (2022~ ) |
신체 | 167cm, 55kg[1] |
MBTI | ISFJ[2]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 경기도청 컬링팀의 서드이다.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민지(컬링)/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민지(컬링)/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평가
2018 아시아태평양선수권 당시 윤형기 SBS 해설위원 말에 따르면 학창 시절 때부터 국내 컬링계가 주목한 천재형 컬러였다고 한다. 실제 학창 시절부터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3] 성인이 되고 춘천시청에 입단하자마자 국가대표, 주니어 국가대표, 유니버시아드 국가대표를 모두 휩쓸며, 한국 최초 세계선수권 메달과 월드컵 우승을 기록했고, 아시아태평양선수권 또한 우승했다. 또한 국내 여자 선수로는 처음으로 그랜드 슬램 결승 진출을 이끌었다.2025년 기준, 실력적으로나 커리어적으로나 국내 여자 컬링 선수 탑티어임에도 나이도 어려 미래가 더 기대되는 선수이다.
4. 수상 기록
세계 선수권 | ||
<colcolor=#000> 동메달 | 2019 실케보르 | 단체전 |
동메달 | 2024 시드니 | 단체전 |
범대륙 선수권 | ||
금메달 | 2023 켈로나 | 단체전 |
은메달 | 2024 라콤 | 단체전 |
| ||
금메달 | 2025 하얼빈 | 단체전 |
아시아 태평양 선수권 | ||
금메달 | 2018 강릉 | 단체전 |
유니버시아드 | ||
은메달 |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 단체전 |
주니어 세계 선수권 | ||
은메달 | 2020 크라스노야르스크 | 단체전 |
동메달 | 2016 코펜하겐 | 단체전 |
5. 역대 WCF 팀 랭킹
시즌 | 순위 | 포인트 |
2015-2016 | 112위 | 21.8 |
2016-2017 | 69위 | 51.8 |
2017-2018 | 122위 | 17.3 |
2018-2019 (국가대표) | 12위 | 238.0 |
2019-2020 | 11위 | 245.1 |
2020-2021[4] | 11위 | 245.1 |
2021-2022[5] | 60위 | 45.9 |
2022-2023 | 5위 | 309.6 |
2023-2024 | 3위 | 362.0 |
2024-2025 | 6위 | 262.3 |
6. 그랜드 슬램 우승 기록
- 2023-2024 시즌: 내셔널[6]
7. 역대 팀원
시즌 | 스킵 | 서드 | 세컨드 | 리드 | 핍스 |
2015-2016 (WJCC) | 김민지 | 김혜린 | 양태이 | 오수연[7] | 이지영 |
2016-2017 (WJCC) | 김수진 | 김명주 | |||
2017-2018 (WJCC) | 강채린 | ||||
2018-2019 | - | ||||
2019-2020 | 하승연 | 김혜린 | 양태이 | ||
2020-2021 | |||||
2021-2022 | 김혜린 | 하승연 | |||
2022-2023 | 김은지 | 김민지 | 김수지 | 설예은 | 설예지 |
2023-2024 | |||||
2024-2025 | |||||
2025-2026 |
8. 여담
- 컬링 월드컵 프로필에 따르면 어릴 때 꿈은 경찰관이었다고 한다.
- 시원시원한 테이크아웃과 런백이 주특기이다.[8]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신미성과 함께 MBC 컬링 해설위원을 맡았는데, 한국에서 현역 컬링 선수가 올림픽 컬링 해설을 맡는 건 김민지가 최초다.[9]
- 해설은 처음이라 발성 등에서 부족한 면이 있지만 내용은 호평받았다. 국내에서 팀킴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며, 오랫동안 분석해온 탓인지 팀킴의 장점과 전략을 아주 잘 알고 있다. 그래서인지 그동안 국내 해설자들에게서 들을 수 없는 내용을 많이 이야기했다. 특히, 러시아 전에서 팀킴의 장점이 센터라인 싸움에 있다고 얘기해 주었는데, 4년 동안 팀킴의 경기 해설자들에게서는 들을 수 없는 내용이었다. 당시 해설 내용에 따르면 팀킴은 점수가 필요할 때, 초반에 상대에게 센터라인 싸움을 강요하는 포석을 하여 서드와 스킵이 센터에 위치한 가드 스톤을 피해 들어오는 샷을 던지도록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상대의 실수가 발생할 확률을 높이고, 여기서 이득을 얻는 전략을 사용한다.
- 코트 위에서의 카리스마 있는 모습과 달리 평소 부끄러움이 많은 성격이며, 사랑하는 사람 앞에서는 애교가 그렇게 많다고 한다.
- 전 소속팀이었던 춘천시청 팀 선수들과 서로 연락을 종종 하며, 주로 하승연과 자주 만난다고 한다.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 남자 | |||||
<rowcolor=#fff> 스킵 | 서드 | 세컨드 | 리드 | 얼터 | 믹스더블 남자 | |
이재범 | 김효준 | 김은빈 | 표정민 | 김진훈 | 성지훈 | |
의성군청 | 강원도청 | |||||
<rowcolor=#fff> 여자 | ||||||
<rowcolor=#fff> 스킵 | 서드 | 세컨드 | 리드 | 얼터 | 믹스더블 여자 | |
김은지 | 김민지 | 김수지 | 설예은 | 설예지 | 김경애 | |
경기도청 | 강릉시청 |
[1] #[2] #[3] 고등학교 3년 내내 주니어 국가대표, 여자고교팀 최초 한국선수권(국가대표 선발전) 결승 진출, 고등학생으로 2년 연속 한국선수권 준우승, 월드 컬링 투어 대회 우승 등을 모두 스킵으로써 이뤄냈다.[4] 2020-2021 시즌은 코로나 19의 유행으로 인해 랭킹포인트를 집계하지 않았고, 팀원의 변화가 없는 한 2019-2020 시즌 포인트를 유지할 수 있었다.[5] 믹스더블 대표팀 일정에 집중해서 실제로는 김혜린이 스킵으로 나왔을 때가 더 많았다.[6] 한국 최초의 컬링 그랜드 슬램 우승이다.[7] 2019년 세계주니어B선수권에서는 호주 대표팀 세컨드로 출전했다.[8] 특히 보통의 여자선수들보다 테이크아웃이 강해서 안 나갈 법한 스톤도 나가는 경우가 많다.[9] 굳이 따진다면 김민정(2014 소치, MBC), 이슬비(2018 평창, SBS)의 사례가 있다. 다만 김민정은 선수 등록만 해놓고 실제로는 대회에 출전하지 않고 있었고, 이슬비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직전 이미 소속팀에서 나와 반은퇴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