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4 23:36:39

윌리엄 단지누

윌리엄 단지누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합 우승제: 1회(1976년) ~ 47회(2022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종합 우승제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4회 1999 소피아 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
1회 1976 섐페인 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래트레이 25회 2000 셰필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룡
2회 1977 그르노블 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 26회 2001 전주 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
3회 1978 솔리헐 파일:호주 국기.svg 제임스 린치 27회 2002 몬트리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
4회 1979 퀘백 파일:일본 국기.svg 토다 히로시 28회 2003 바르샤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5회 1980 밀라노 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 29회 2004 예테보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6회 1981 뫼동 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누아 바릴 30회 2005 베이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7회 1982 멍크턴 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 31회 2006 미니애폴리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8회 1983 도쿄 파일:캐나다 국기.svg 루이 그르니에 32회 2007 밀라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9회 1984 피터버러 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 33회 2008 강릉 파일:미국 국기.svg 아폴로 안톤 오노
10회 1985 암스테르담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이 토시노부 34회 2009 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11회 1986 샤모니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하라 타츠요시 35회 2010 소피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12회 1987 몬트리올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데이뇨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이 토시노부
36회 2011 셰필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진규
13회 1988 세인트루이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피터 판데르벨데 37회 2012 상하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곽윤기
14회 1989 솔리헐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데이뇨 38회 2013 데브레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다운
15회 1990 암스테르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준호 39회 2014 몬트리올 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르 안
16회 1991 시드니 파일:영국 국기.svg 윌프 오레일리 40회 2015 모스크바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17회 1992 덴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훈 41회 2016 서울 파일:중국 국기.svg 한톈위
18회 1993 베이징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 42회 2017 로테르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이라
19회 1994 길드퍼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 43회 2018 몬트리올 파일:캐나다 국기.svg 샤를 아믈랭
20회 1995 요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지훈 44회 2019 소피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효준
21회 1996 헤이그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 45회 2020 서울 취소COVID-19
22회 1997 나가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 46회 2021 도르드레흐트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23회 1998 빈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 47회 2022 몬트리올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
종합 우승제 폐지: 48회(2023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8회 2023 서울 5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9회 2024
로테르담
500m 파일:중국 국기.svg 린샤오쥔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 10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윌리엄 단지누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 1500m 파일:중국 국기.svg 쑨룽
50회 2025
베이징
5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티븐 뒤부아 51회 2026
몬트리올
500m 파일:국기.svg
10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티븐 뒤부아 1000m 파일:국기.svg
15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윌리엄 단지누 1500m 파일:국기.svg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합 우승제: 1회(2020년) ~ 3회(2022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종합 우승제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2021 솔트레이크 시티 취소COVID-19
1회 2020 몬트리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대헌 3회 2022 솔트레이크 시티 취소COVID-19 }}}}}}}}}
종합 우승제 폐지: 4회(2023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회 2023
솔트레이크 시티
5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티븐 뒤부아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회 2024 라발 5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티븐 뒤부아
10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 1000m 파일:캐나다 국기.svg 윌리엄 단지누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 1500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
6회 2025
솔트레이크 시티
취소 7회 2026
몬트리올
취소
}}}}}}}}} ||
}}}}}}}}} ||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투어 남자부 종합우승자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1-02
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 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 파일:미국 국기.svg 아폴로 안톤 오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파일:미국 국기.svg 아폴로 안톤 오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파일:미국 국기.svg 아폴로 안톤 오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파일:독일 국기.svg 타이슨 흥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시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수 파일:프랑스 국기.svg 티보 포코네[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진규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진규 파일:캐나다 국기.svg 샤를 아믈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다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곽윤기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대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효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 취소COVID-19 파일:중국 국기.svg 런쯔웨이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 파일:캐나다 국기.svg 윌리엄 단지누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1] 도핑에 적발된 후 무효 처리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윌리엄 단지누
Wiliam Dandjinou
파일:윌리엄 단지누.jpg
출생 2001년 10월 1일 ([age(2001-10-01)]세)
퀘벡주 셔브룩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가족 아버지, 어머니
신체 191cm
국가대표 2019-20~2024-25 (6시즌)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1000m, 1500m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수상 기록4. 평가5. 기타

1. 개요

캐나다의 쇼트트랙 선수.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윌리엄 단지누/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단지누/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단지누/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수상 기록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 2024 로테르담 1000m
금메달 2025 베이징 혼성 2000m 계주
금메달 2025 베이징 5000m 계주
금메달 2025 베이징 1500m
은메달 2025 베이징 1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금메달 2024 라발 1000m
동메달 2023 솔트레이크시티 1000m
동메달 2024 라발 5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투어 우승 기록
종합 우승 2024-25 시즌
1500 m 1위 2023-24 시즌, 2024-25 시즌
1000 m 1위 2024-25 시즌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투어 수상 기록
월드 투어 랭킹 우승 2위 3위 포디움
종합 1 0 1 2
500 m 랭킹 0 1 0 1
1000 m 랭킹 1 0 0 1
1500 m 랭킹 2 0 0 2
합계 4 1 1 6
월드 투어 메달 포디움
500m 1 1 0 2
1000 m 3 0 1 4
1500 m 7 2 1 10
개인전 합계 11 3 2 16
5000 m 계주 5 2 0 7
2000 m 혼성 계주 0 2 2 4
계주 합계 5 4 2 11
메달 합계 16 7 4 27
랭킹 + 메달 합계 20 8 5 3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투어 랭킹[1]
시즌 종합 500m 1000m 1500m
2019-20 - - 46위 74위
2022-23 33위 40위 65위 9위
2023-24 3위 - 5위 1위
2024-25 1위 2위 1위 1위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2]

4. 평가

191cm에 달하는 큰 키와 거대한 피지컬을 지닌 선수로 거구에 걸맞지 않은 엄청난 스피드와 체력이 강점인 선수. 23-24 시즌부터 급격한 성장으로 중장거리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큰 피지컬에서 나오는 강한 힘과 빠른 속도, 부드러운 인코스 추월을 토대로 앞에서 끌고 가는 선행 플레이가 주특기이다. 또한 초반에 부족하다고 평가받은 단거리 역시 성장을 거듭하며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는 선수이다.

단점은 본인이 원하는 대로 경기 운영이 되지 않을 경우 급한 모습을 보이며 넘어지거나 페널티를 받는 등 경험이 부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경험 부족은 시간이 지날수록 보완이 될 것이고 아직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한국 쇼트트랙 팬들은, 다가오는 2026 밀라노 동계올림픽에서 단지누가 대한민국 남자부의 제일 큰 경쟁상대가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5. 기타



[1] 월드 투어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2] 랭킹 표기 : 전체 랭킹기록 11개의 82%인 9개까지 표기[3] 국내 쇼트트랙 선수들 중에서는 박장혁이 최장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