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4 23:36:39
윌리엄 단지누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1f202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합 우승제: 1회 (2020년) ~ 3회 (2022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종합 우승제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2021 솔트레이크 시티 취소 COVID-19 1회 2020 몬트리올 황대헌 3회 2022 솔트레이크 시티 취소 COVID-19 }}}}}}}}} 종합 우승제 폐지: 4회 (2023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회 2023 솔트레이크 시티 500m 스티븐 뒤부아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5회 2024 라발 500m 스티븐 뒤부아 1000m 박지원 1000m 윌리엄 단지누 1500m 박지원 1500m 박지원 6회 2025 솔트레이크 시티 취소 7회 2026 몬트리올 취소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윌리엄 단지누 Wiliam Dandjinou 출생 2001년 10월 1일 ([age(2001-10-01)]세) 퀘벡주 셔브룩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가족 아버지, 어머니 신체 191cm 국가대표 2019-20~2024-25 (6시즌)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1000m , 1500m SNS
캐나다의 쇼트트랙 선수. 자세한 내용은 윌리엄 단지누/선수 경력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단지누/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단지누/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수상 기록 월드 투어 수상 기록 월드 투어 랭킹 우승 2위 3위 포디움 종합 1 0 1 2 500 m 랭킹 0 1 0 1 1000 m 랭킹 1 0 0 1 1500 m 랭킹 2 0 0 2 합계 4 1 1 6 월드 투어 메달 금 은 동 포디움 500m 1 1 0 2 1000 m 3 0 1 4 1500 m 7 2 1 10 개인전 합계 11 3 2 16 5000 m 계주 5 2 0 7 2000 m 혼성 계주 0 2 2 4 계주 합계 5 4 2 11 메달 합계 16 7 4 27 랭킹 + 메달 합계 20 8 5 33
191cm에 달하는 큰 키와 거대한 피지컬을 지닌 선수로 거구에 걸맞지 않은 엄청난 스피드와 체력이 강점인 선수. 23-24 시즌부터 급격한 성장으로 중장거리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큰 피지컬에서 나오는 강한 힘과 빠른 속도, 부드러운 인코스 추월을 토대로 앞에서 끌고 가는 선행 플레이가 주특기이다. 또한 초반에 부족하다고 평가받은 단거리 역시 성장을 거듭하며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는 선수이다. 단점은 본인이 원하는 대로 경기 운영이 되지 않을 경우 급한 모습을 보이며 넘어지거나 페널티를 받는 등 경험이 부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경험 부족은 시간이 지날수록 보완이 될 것이고 아직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한국 쇼트트랙 팬들은, 다가오는 2026 밀라노 동계올림픽에서 단지누가 대한민국 남자부의 제일 큰 경쟁상대가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캐나다 남자 선수 중 최초로 크리스탈 글로브를 수상했다. 존경하는 선수이자 롤모델은 황대헌 이라고 밝힌 바 있다. 23-24 시즌 2차 월드컵 1500m 결승에서 황대헌을 제치고 금메달을 딴 직후 인터뷰에서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활약을 보인 그를 보고 감명 받아 우상으로 삼았다고 밝혔으며, 황대헌과 함께 스타트라인에 서는 것만으로 영광이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ISU 공식 프로필에는 올리비에 쟝 선수를 동경한다고 한다. 결승선 통과 세레머니로 팔을 크게 펄럭이는 날갯짓 세레머니를 자주 한다. 쇼트트랙 선수들 중 최초로 레드 카드를 받은 선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