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동성(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동성(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동성(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김동성(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동성(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동성(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김동성 金東聖|Kim Dongsung | |
| |
출생 | 1980년 2월 9일 ([age(1980-02-09)]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 |
국적 |
|
학력 | 서울대치초등학교 (졸업)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 / 학사) |
직업 | 쇼트트랙 선수 (1000m, 1500m / 은퇴) 쇼트트랙 해설자 건설업 |
국가대표 | 1995-96~2002-03 (총 8시즌)[1] |
신체 | 175cm, 68kg |
가족 | 어머니[2] 형 누나 배우자 인민정(2021년 5월 결혼)[3] 슬하 1남 2녀[4]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쇼트트랙 선수 출신 해설자. 현역 시절에는 1996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5000미터 남자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만 16살(중학교3학년) 병역 혜택을 받았다.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만 18살에 (고3)올림픽 금메달을 땄고,올림픽 개인전 금메달을 고등학생때 딴 첫 선수이다.
2차례 세계선수권 종합 우승[5], 1999-00, 2001-02 시즌 월드컵 종합 우승[6]을 기록했다.
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동성/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동성/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평가
쇼트트랙 선수로서는 아주 신장이나 체격이 딱 알맞게 좋은 편으로 스피드, 지구력, 테크닉, 강한 정신력 등 당시 선수들보다 한 단계 위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국제대회에 데뷔한 이후로 중-장거리 최강자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 선수들이 좀처럼 힘을 못 쓰는 500m에서도 세계선수권에서는 금메달과 은메달을 한 개씩 받았을 정도로 약한 편이 아니었으니 거의 올라운더라고 봐도 될 정도다. 전명규의 평에 따르면 운동선수의 피지컬을 타고난 전형적인 천재형의 선수라고 한다.김동성은 1997년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관중석에 계시던 아버지가 심근경색으로 갑작스럽게 돌아가셨다 그후 어린나이에 감당할수 없는 가족사를 겪었음에도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 1000m 발내밀기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4. 수상 기록
4.1. 주요 국제 대회 성적
대회 | 금 | 은 | 동 | 합계 |
올림픽 | <colbgcolor=#ffe970,#554600> 1 | <colbgcolor=#c0c0c0,#444444> 1 | <colbgcolor=#cd7f32,#442910> 0 | 2 |
세계선수권 | 10 | 4 | 3 | 17 |
세계 팀선수권 | 1 | 3 | 1 | 5 |
아시안 게임 | 3 | 3 | 2 | 8 |
주니어 세계선수권 | 4 | 0 | 0 | 4 |
합계 | 19 | 11 | 6 | 36 |
| ||||
월드컵 랭킹 | 7 | 2 | 2 | 11 |
월드컵 메달 | 37 | 18 | 10 | 65 |
합계 | 44 | 20 | 12 | 76 |
| ||
<colbgcolor=#ffd700,#554600> 금메달 | 1998 나가노 | 1000m |
은메달 | 1998 나가노 | 5000m 계주 |
| ||
금메달 | 1997 나가노 | 5000m 계주 |
금메달 | 1997 나가노 | 종합 |
금메달 | 1997 나가노 | 1000m |
금메달 | 1997 나가노 | 3000m |
금메달 | 1998 비엔나 | 3000m |
금메달 | 2002 몬트리올 | 5000m 계주 |
금메달 | 2002 몬트리올 | 종합 |
금메달 | 2002 몬트리올 | 500m |
금메달 | 2002 몬트리올 | 1000m |
금메달 | 2002 몬트리올 | 1500m |
1위 | 2002 몬트리올 | 3000m S.F. |
은메달 | 1997 나가노 | 500m |
은메달 | 1998 비엔나 | 5000m 계주 |
은메달 | 1999 소피아 | 5000m 계주 |
은메달 | 1999 소피아 | 1000m |
동메달 | 1996 헤이그 | 5000m 계주 |
동메달 | 1998 비엔나 | 종합 |
동메달 | 1998 비엔나 | 1500m |
| ||
금메달 | 1997 서울 | 단체전 |
은메달 | 1996 레이크플래시드 | 단체전 |
은메달 | 1998 보르미오 | 단체전 |
은메달 | 2000 헤이그 | 단체전 |
동메달 | 2002 밀워키 | 단체전 |
| ||
금메달 | 1996 하얼빈 | 5000m 계주 |
금메달 | 1999 강원 | 1500m |
금메달 | 1999 강원 | 3000m |
은메달 | 1996 하얼빈 | 500m |
은메달 | 1996 하얼빈 | 3000m |
은메달 | 1999 강원 | 1000m |
동메달 | 1996 하얼빈 | 1000m |
동메달 | 1999 강원 | 5000m 계주 |
| ||
금메달 | 1997 마르케트 | 종합 |
금메달 | 1997 마르케트 | 500m |
금메달 | 1997 마르케트 | 1000m |
금메달 | 1997 마르케트 | 1500m |
1위 | 1997 마르케트 | 1500m S.F. |
4.2. 올림픽 성적
- 2회 올림픽 메달리스트
- 1회 1000m 종목 올림픽 챔피언
| ||||
대회 | 금 | 은 | 동 | 포디움 |
올림픽 개인 메달 | 1 | 0 | 0 | 1 |
올림픽 계주 메달 | 0 | 1 | 0 | 1 |
합계 | 1 | 1 | 0 | 2 |
| |||||
대회 | 500 m | 1000 m | 계주 | 합계 | |
1998 | - | 금 | 은 | 2 | |
메달 | 500 m | 1000 m | 계주 | 합계 | |
금 | - | 1 | - | 1 | |
은 | - | - | 1 | 1 | |
동 | - | - | - | - | |
합계 | - | 1 | 1 | 2 |
| ||||
대회 | 날짜 | 종목 | 랭킹 | 비고 |
1998 나가노 | ||||
1998년 2월 17일 | 1000m | 금메달 | ||
1998년 2월 21일 | 500m | 8위 | ||
1998년 2월 21일 | 5000m 계주 | 은메달 |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
2002년 2월 16일 | 1000m | 5위 | ||
2002년 2월 20일 | 1500m | 판정논란 | 김동성/선수 경력 | |
2002년 2월 23일 | 500m | 6위 | ||
2002년 2월 23일 | 5000m 계주 | 판정논란 | 김동성/선수 경력 |
4.3. 세계 선수권 성적
- 2회 세계선수권 종합 우승 챔피언
- 3회 세계선수권 종합 포디움 기록 보유.
- 남자부 최초 및 유일한 한대회 전종목 (6회) 우승자.
- 세계선수권 타이틀 11개 (3000 m 3개 포함)
- 세계선수권 금메달 8개 (개인종목 금메달 6개, 계주 금메달 2개)
- 세계선수권 종합을 제외한 개별종목 7승 (3000 m 포함)
- 팀 세계선수권 타이틀 1개
| ||||
대회 | 금 | 은 | 동 | 포디움 |
세계선수권 개인 메달 | 6 | 2 | 2 | 10 |
세계선수권 계주 메달 | 2 | 2 | 1 | 5 |
합계 | 8 | 4 | 3 | 15 |
| |||||||
시즌 | 종합랭킹 | 포인트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 계주 |
1996 | 15위 | - | - | - | - | - | 동 |
- | PEN | - | - | - | |||
1997 | 금 | 13 [7] | 은 | 금 | 7위 | 1위 | 금 |
우승 | - | - | PEN | - | - | ||
1998 | 동 | 7 [8] | - | - | 동 | 1위 | 은 |
3위 | PEN | - | - | - | - | ||
1999 | 5위 | 26 | - | 은 | 8위 | 5위 | 은 |
- | 21 | - | 5 | - | |||
2002 | 금 | 136 | 금 | 금 | 금 | 1위 | 금 |
우승 | 34 | 34 | 34 | 34 | - |
| |||||||
메달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 계주 | 합계 |
금 | 2 | 1 | 2 | 1 | 3 | 2 | 11 |
은 | - | 1 | 1 | - | - | 2 | 4 |
동 | 1 | - | - | 1 | - | 1 | 3 |
합계 | 3 | 2 | 3 | 2 | 3 | 5 | 18 |
- 국가대표 팀으로 활약한 7시즌 중 5시즌의 세계선수권의 결과 기재. 수상기록이 없거나 세계선수권 참여를 하지 않은 시즌은 기재하지 않음. [9]
4.4. 월드컵 성적
| ||||
종합 우승 | 1999-00 시즌, 2001-02 시즌 | |||
1000m 1위 | 1998-99 시즌, 1999-00 시즌, 2001-02 시즌 | |||
1500m 1위 | 1998-99 시즌, 2001-02 시즌 |
| ||||
월드컵 랭킹 | 우승 | 2위 | 3위 | 포디움 |
종합 | 2 | 0 | 1 | 3 |
500 m 랭킹 | 0 | 2 | 0 | 2 |
1000 m 랭킹 | 3 | 0 | 0 | 3 |
1500 m 랭킹 | 2 | 0 | 1 | 3 |
합계 | 7 | 2 | 2 | 11 |
월드컵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종합 | 8 | 4 | 2 | 16 |
500 m | 4 | 2 | 2 | 8 |
1000 m | 7 | 5 | 3 | 15 |
1500 m | 8 | 4 | 1 | 13 |
3000 m | 7 | 2 | 2 | 11 |
개인전 합계 | 34 | 17 | 10 | 61 |
5000 m 계주 | 3 | 1 | 0 | 4 |
메달합계 | 37 | 18 | 10 | 65 |
랭킹 + 메달 합계 | 44 | 20 | 12 | 76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1998-99 | 3위 | 6위 | 1위 | 1위 |
1999-00 | 1위 | 2위 | 1위 | 3위 |
2000-01 | 10위 | 17위 | 9위 | 9위 |
2001-02 | 1위 | 2위 | 1위 | 1위 |
랭킹 20위까지 표기[11] |
5. 논란 및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동성/논란 및 사건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동성/논란 및 사건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기타
- 세계선수권을 처음 석권한 나이가 중학교 3학년, 만 나이로는15세 경이며 그 당시 240kg의 스쿼트를 풀가동 범위에서 1세트에 15회씩 하는 등의 훈련을 했다고 한다.
- 2013년 7월부터 MBC 프로그램 맛있는 TV에서 블로거들 사이에서 인기인 맛집들을 섭외없이 방문해서 진정한 맛집인지 검증하는 맛집 검증단으로 활동했으며, 아무래도 운동선수 출신인지라 국내에서 손꼽히는 맛 칼럼니스트들에 비해 음식에 대한 표현력이나 분별력이 확실히 떨어지는 감이 없잖아 있는 편이다. 그래서인지 일반인인 시청자들의 입맛을 대변한다는 입장으로 검증을 한다고 프로그램 자체에서 밝혔다.
- 한때 "김동성과 오노에게 공동 금메달을 수여하는 것에 대해 인터넷으로 재투표를 진행한 적이 있다. 아시아 측에는 알리지 않은 채 자기들끼리 하고 있고 새벽이면 인터넷 투표가 끝나기에 지금 당장 해야 한다"는 선동글이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이 끝난 2002년은 물론 그 뒤로 몇 년 동안이나 각종 인터넷 사이트와 게시판 및 커뮤니티에 질리도록 돌아다녔다. 지금은 링크마저 끊긴 타임지 홈페이지 인터넷 투표에 실제로 클릭하고 온 사람도 많다. 하지만 올림픽 금메달 수여같은 중대한 문제를 IOC나 조직위도 아니고 타임이라는 언론사 홈페이지 여론조사로 결정한다는 것부터가 말이 안 되는 데다가, 결정적으로 해당 설문조사 문항은 '페어 스케이팅에서 금메달을 1개가 아니라 2개를 주는 것에 대해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였다. 피겨 스케이팅 관련 여론 조사가 갑자기 김동성 금메달 수여에 관한 재투표로 둔갑해 집단 인터넷 삽질을 한 셈이다. 한편, 이러한 인터넷 집단 삽질은 후에 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 "스위스전 편파판정으로 대한민국 대 스위스전 재경기에 관한 투표를 한다"라는 말로 부활해 온 반도의 인터넷 세상을 들쑤시고 다녔다.
- 성인토크쇼[12] 아재쇼에 출연하여 기존 팬들에게 충격을 안겼다. 프로그램 출연 자체는 생계 때문이 아닌 그냥 아는 사람의 부탁으로 얼떨결에 출연하게 된 것이라고 팟캐스트 불금쇼에서 해명한 적이 있다.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연관 건이 아니었으면 이규혁과 그의 모친 이인숙 등과 함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은 인물이었지만, 이 사건으로 인해 이들은 언론에서조차 조명도 받지 못했다.[13]
- 2012년 도전 1000곡에 출연했을 때 본인이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당시 자신의 금메달 수성을 막은 오노의 헬멧 번호가 369라는 걸 회상하면서 369번을 선곡했는데 당시 나온 곡은 김현식의 '사랑 사랑 사랑'이었다.
- 분노의 질주 사건에 대해서 본인이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사진에서 말한 것처럼 2바퀴 이상 추월당한 선수는 탈락하기 때문에, 1바퀴 반 차이가 나자 거기에서 더 벌리지 않고 1바퀴 반 차이를 계속 유지하면서 달렸다고 한다. 정말 화가 많이 났었던 것으로 보인다.
- 여러 사건사고로 공식석상에선 볼 수 없게 된 후 2023년 10월경에 본인의 유튜브 채널인 '빙신 김동성'[14]에 간만에 근황을 올렸는데, 과거의 모든 걸 내려놓고 건설 노동자와 배달기사 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
|
7. 관련 문서
- 제임스 휴이시: 자신을 포함한 동료 선수들에게 실격을 준 악명 높은 가해자이다.[15]
- 양태영: 둘 다 1980년생이면서 가해자인 미국 선수[16]에게 금메달을 빼앗긴 과거가 있었다.
- 김연아: 김동성의 대학교 후배로, 심판의 편파판정으로 개최국 출신 선수(아폴로 안톤 오노, 아델리나 소트니코바)에게 금메달을 빼앗긴 피해자다.[17]
- 황대헌[18]과 이준서: 두 사람 모두 그의 후배들이다. 셋 다 영미권 출신 심판의 편파판정으로 실격을 당했는데, 심지어 가해자가 개최국 출신이나 중국 선수였다.[19]
- 리우 샤오린 샨도르: 20년 후 그와 똑같은 일을 겪었다.
8. 둘러보기
동계올림픽 남자 1000m 금메달리스트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2 | 1994 | 1998 | 2002 | 2006 |
| | | | | |
2010 | 2014 | 2018 | 2022 | 2026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 |
동계올림픽 남자 5000m 계주 은메달리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2 | 1994 | 1998 | 2002 | 2006 |
캐나다 | 미국 | 대한민국 | 이탈리아 | 캐나다 | |
마크 래키 | 앤디 게이벌 | 채지훈 | 파비오 카르타 | 에릭 베다르 | |
프레데릭 블랙번 | 랜디 바츠 | 김동성 | 니콜라 로디가리 |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 |
미셸 데이뇨 | 존 코일 | 이준환 | 니콜라 프란체스키나 | 샤를 아믈랭 | |
로랑 데이뇨 | 에릭 플레임 | 이호응 | 미켈레 안토니올리 | 마티외 튀르코트 | |
마우리치오 카르니노 | 조나탕 길메트 | ||||
2010 | 2014 | 2018 | 2022 | 2026 | |
대한민국 | 미국 | 중국 | 대한민국 | | |
이호석 | 에디 알바레즈 | 우다징 | 황대헌 | ||
성시백 | J.R. 셀스키 | 한톈위 | 이준서 | ||
이정수 | 크리스 크레벨링 | 천더취안 | 박장혁 | ||
곽윤기 | 조던 멀론 | 런쯔웨이 | 곽윤기 | ||
김성일 | 쉬홍지 | 김동욱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합 우승제: 1회(1976년) ~ 47회(2022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종합 우승제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4회 | 1999 소피아 | |||||
1회 | 1976 섐페인 | 25회 | 2000 셰필드 | |||||
2회 | 1977 그르노블 | 26회 | 2001 전주 | |||||
3회 | 1978 솔리헐 | 27회 | 2002 몬트리올 | |||||
4회 | 1979 퀘백 | 28회 | 2003 바르샤바 | |||||
5회 | 1980 밀라노 | 29회 | 2004 예테보리 | |||||
6회 | 1981 뫼동 | 30회 | 2005 베이징 | |||||
7회 | 1982 멍크턴 | 31회 | 2006 미니애폴리스 | |||||
8회 | 1983 도쿄 | 32회 | 2007 밀라노 | |||||
9회 | 1984 피터버러 | 33회 | 2008 강릉 | |||||
10회 | 1985 암스테르담 | 34회 | 2009 빈 | |||||
11회 | 1986 샤모니 | 35회 | 2010 소피아 | |||||
12회 | 1987 몬트리올 | 36회 | 2011 셰필드 | |||||
13회 | 1988 세인트루이스 | 37회 | 2012 상하이 | |||||
14회 | 1989 솔리헐 | 38회 | 2013 데브레첸 | |||||
15회 | 1990 암스테르담 | 39회 | 2014 몬트리올 | |||||
16회 | 1991 시드니 | 40회 | 2015 모스크바 | |||||
17회 | 1992 덴버 | 41회 | 2016 서울 | |||||
18회 | 1993 베이징 | 42회 | 2017 로테르담 | |||||
19회 | 1994 길드퍼드 | 43회 | 2018 몬트리올 | |||||
20회 | 1995 요빅 | 44회 | 2019 소피아 | |||||
21회 | 1996 헤이그 | 45회 | 2020 서울 | 취소COVID-19 | ||||
22회 | 1997 나가노 | 46회 | 2021 도르드레흐트 | |||||
23회 | 1998 빈 | 47회 | 2022 몬트리올 | }}}}}}}}} | ||||
종합 우승제 폐지: 48회(2023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8회 | 2023 서울 | 500m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49회 | 2024 로테르담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50회 | 2025 베이징 | 500m | 51회 | 2026 몬트리올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 ||||||
ISU 쇼트트랙 주요 시니어 대회 역대 우승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1997-98 | 1998-99 | 1999-00 | 2000-01 | 2001-02 |
| | | | | |
2002-03 | 2003-04 | 2004-05 | 2005-06 | 2006-07 | |
| | | | | |
2007-08 | 2008-09 | 2009-10 | 2010-11 | 2011-12 | |
| | | | |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2016-17 | |
| | | | | |
2017-18 | 2018-19 | 2019-20 | 2020-21 | 2021-22 | |
| | | 취소COVID-19 | | |
2022-23 | 2023-24 | 2024-25 | 2025-26 | 2026-27 | |
| | | | | |
[1] 도핑에 적발된 후 무효 처리
| |||||
ISU 쇼트트랙 주요 시니어 대회 역대 우승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합 우승제: 1회(1994년) ~ 25회(2018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fff>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 | | | | |
<rowcolor=#ffffff>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
| | | | |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 | | | |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
| | | | |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 | | | |
종합 우승제 폐지: 26회(2019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019 | 2019 몬트리올 | 500m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020 | 2020 보르미오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022 | 2022 그단스크 | 500m | 2023 | 2023 드레스덴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024 | 2024 그단스크 | 500m | 2025 | 2025 캘거리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026 | 2026 솔트레이크 시티 | 500m | 2027 | 2027 알마티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 ||||||
쇼트트랙 주요 주니어 대회 역대 우승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
[1] 2002-03 시즌 부상으로 인해 국가대표 선발전에 불참했으나 빙상연맹의 추천선발로 대표 선수가 되었다. 그러나 김동성이 합류하지 않고 국제대회에는 참가하지 않았으며, 민룡이 그자리를 채웠다. 2003-04 시즌 역시 빙상연맹에 의해 추천 선발로 국가대표가 되었으나 본인이 국가대표를 아예 반납하였고, 그 빈자리는 서호진이 채웠다.[2] 아버지 김태영은 1997년 54세의 나이로 별세했다.[3] 재혼이다.[4] 그 중에서 1녀는 재혼한 인민정의 딸이다. 나머지 1남 1녀는 전처와 낳은 아이들이다.[5] 1997년과 2002년에 종합우승을 했다. 특히 2002 세계선수권에서는 무려 6관왕을 했는데, 한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계주를 포함한 전관왕을 해낸 선수는 남자 선수는 쇼트트랙 역사상 김동성이 유일하다. 김기훈도 1992년 전관왕을 달성했지만 계주 우승 기록이 없다. 여자부에서는 1983년 실비 데이글, 2021년 쉬자너 스휠팅이 달성했다.[6] 당시 대한민국 남자 선수로서는 첫 월드컵 종합 우승 기록이다.[7] 1999년 이전과 이후의 포인트 계산이 다르다.[8] 1999년 이전과 이후의 포인트 계산이 다르다.[9] 세계선수권 결과 기재 : 수상기록이 없는 시즌 결과는 제외, 8위까지의 개인 종목 순위 결과와 포인트의 기록. 2023년 세계선수권 부터는 종합제와 3000 m 슈퍼파이널을 하지 않기 때문에 메달과 순위결과만 기재. 1999년 이전의 세계선수권 포인트는 이후의 포인트 계산과 다르기 때문에 기록하지 않는다. 1999년 세계선수권 부터 금 (1위) 34 포인트, 은 (2위) 21 포인트, 동 (3위) 13 포인트, 4위 8, 5위 5, 6위 3, 7위 2, 8위 1 의 포인트 합산으로 순위를 정하였다.[10]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11] 랭킹 표기 : 20위까지 표기 (전체 랭킹기록 16개 모두 기재)[12] 음담패설을 하는 것은 물론, 게임 벌칙으로 유사성행위를 하는 프로그램이었다.[13] 공교롭게도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은 그의 생일이기도 했다.[14] 과거의 영광을 표현하는 빙판의 신이라는 뜻과, 돌이킬 수 없는 잘못을 범한 자신이 빙신이라는 이중적인 뜻을 표현한 듯 하다.[15] 그 중에서 박승희와 조해리도 있었다. 다만 박승희와 조해리는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때 여자계주 3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휴이시의 편파판정으로 당한 아픔을 극복했다.[16] 우연하게도 가해 선수인 아폴로 안톤 오노와 폴 햄 둘 다 동갑내기이자, 1982년생이다.[17] 우연하게도 둘 다 피해를 입은 날이 2월 21일로, 말띠 해에 발생했다. 게다가 김연아는 러시아의 심판 알라 셰코브소바와 우크라이나의 심판 유리 발코프에게 편파판정을 당했고, 두 사람이 개최국 선수에게 금메달을 빼앗기는 광경을 본 인물은 前 SBS 아나운서 배기완이었다. 첨언하자면 MBC 김성주 캐스터가 김동성 때는 스튜디오에서, 김연아 때는 현장에서 그 광경을 보았다.[18] 김동성과 비슷한 점이 있는데, 둘 다 호랑이띠 해 때 아시아에서 개최된 (1998, 2022) 올림픽에서 개인전 금메달과 5000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9] 다만 이 둘은 선배인 김동성보다 前 펜싱 선수이자, 대학교 선배인 신아람과 유사한 점이 많다. 그들에게 편파판정을 내린 바바라 차르와 피터 워스가 모두 유럽권 출신인데다가 ISU와 국제펜싱연맹에게 제소하여 "심판의 권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말도 안 되는 이유로 기각당했다. 다행스럽게도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여 편파판정을 극복했다.
분류
- 1980년 출생
- 곡성군 출신 인물
- 서울대치초등학교 출신
-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출신
- 경기고등학교 출신
- 고려대학교 출신
- 대한민국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
- 2005년 은퇴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1996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
-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
-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
-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
- 병역특례자/쇼트트랙
- 체육훈장 청룡장
- 쇼트트랙 해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