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7:03:22

파비오 카르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유럽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합 우승제: 1회(1997년) ~ 26회(2022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1997 말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5회 2011 헤이렌베인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하랄드 실로우스
2회 1998 부다페스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16회 2012 믈라다볼레슬라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3회 1999 오버스트도르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17회 2013 말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프레이크 판데르바르트
4회 2000 보르미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18회 2014 드레스덴 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르 안
5회 2001 덴 하흐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루노 로스코스 19회 2015 도르드레흐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6회 2002 그르노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20회 2016 소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7회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21회 2017 토리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8회 2004 주테르메이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 22회 2018 드레스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9회 2005 토리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23회 2019 도르드레흐트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린 샨도르
10회 2006 크르니차즈드루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 24회 2020 데브레첸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11회 2007 셰필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 25회 2021 그단스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12회 2008 벤츠필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 26회 2022 드레스덴 취소COVID-19
13회 2009 토리노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하랄드 실로우스
14회 2010 드레스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
}}}}}}}}} ||
종합 우승제 폐지: 27회(2023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7회 2023
그단스크
5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8회 2024
그단스크
5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1000m 파일:벨기에 국기.svg 스테인 데스멋 10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1500m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옌스 판트바우트 15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29회 2025
드레스덴
500m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옌스 판트바우트 500m 파일:국기.svg
10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1000m 파일:국기.svg
1500m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옌스 판트바우트 1500m 파일:국기.svg }}}}}}}}}
}}}}}}}}} ||

<colbgcolor=#008c45><colcolor=#f4f9ff> 파비오 카르타
Fabio Carta
파일:파비오 카르타.jpg
출생 1977년 10월 6일 ([age(1979-05-17)]세)
피에몬테 주 토리노
국적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72cm, 73kg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1000m, 1500m

1. 개요2. 선수 경력3. 평가4. 수상 기록
4.1. 월드컵 성적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의 前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다. 총 3번의 올림픽(1998, 2002, 2006)에 출전한 경력이 있다.

2. 선수 경력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 계주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유럽 지역 한정으로 그의 유럽선수권 우승 기록이 설명해주듯 경쟁자가 없을 정도로 명실상부 최강자였다. 여자 선수들인 예브게니야 라다노바, 아리안나 폰타나와 함께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4연패 기록은 남자부 한정으로 역대 최고 기록이다. 국제대회에서도 그의 전성기였던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까지는 정상급 기량의 선수였지만, 하필이면 김동성, 리자쥔, 마크 가뇽, 아폴로 안톤 오노 등 너무 뛰어난 선수들과 동시대에 활동하던 선수라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에서는 좋은 커리어를 쌓기에는 난이도가 너무 높았다.[1] 1995-96 시즌 처음으로 시니어 대표팀으로 선발되어 2007-08 시즌 이후 은퇴했다. 은퇴 이후에는 오랫동안 그의 그늘의 가려졌었던 니콜라 로디가리가 이탈리아 남자 대표팀 에이스 자리를 이어받았다.

2.1.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1500m 결승에서 4위[2]를 기록했었고, 당시 '금메달 강탈' 사건에 대해 "김동성이 실격 당한 건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며 오노를 비난했고 해외 쇼트트랙 관련 인물 중에는 거의 유일하게 개념발언을 한 인물이다.[3] 당시 미국은 9.11 테러를 겪은 지 얼마 안 된 이후라, 미국에서 열린 올림픽 덕에 애국심이 들끓어 오른 상태였는데 파비오 카르타의 발언이 기사로 나가자 그는 남은 올림픽 기간 동안 미국 언론에게 엄청난 몰매를 맞았다.[4]

3. 평가

폭발적인 스퍼트와 좋은 스타트 능력이 있었고 스프린터임에도 불구하고 준수한 지구력도 겸비해 주 종목이 딱히 없었을 정도로 모든 종목을 잘 타던 선수였으며[5], 월드컵에서는 1998-99 시즌에는 500m 랭킹 1위, 2003-04 시즌에는 1500m 랭킹 1위를 달성한적도 있다.

4. 수상 기록

<colbgcolor=#ffffff,#1c1d1f> 대회 <colbgcolor=#ffd700,#554600> <colbgcolor=#9a9a9a,#444444><colcolor=#ffffff> <colbgcolor=#cd7f32,#442910><colcolor=#ffffff>
올림픽 0 1 0
세계선수권 1 3 8
세계 팀선수권 0 1 4
유럽선수권 23 5 3
합계 24 10 15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월드컵 시리즈 수상성적
월드컵 랭킹 2 4 1 7
월드컵 메달 13 21 13 47
합계 15 25 14 54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은메달 2002 솔트레이크시티 5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 1999 소피아 1500m
은메달 1998 비엔나 종합
은메달 1998 비엔나 1500m
은메달 2002 몬트리올 500m
동메달 1997 나가노 5000m 계주
동메달 1998 비엔나 1000m
3위 1998 비엔나 3000m
동메달 1999 소피아 종합
동메달 1999 소피아 500m
3위 1999 소피아 3000m S.F.
동메달 2000 셰필드 5000m 계주
동메달 2002 몬트리올 종합
3위 2002 몬트리올 3000m S.F.
동메달 2004 예테보리 1000m
동메달 2004 예테보리 5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 팀선수권
은메달 2005 춘천 단체전
동메달 1996 레이크플래시드 단체전
동메달 1998 보르미오 단체전
동메달 2000 부다페스트 단체전
동메달 2007 부다페스트 단체전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유럽선수권
금메달 1997 말뫼 종합
금메달 1997 말뫼 1000m
금메달 1997 말뫼 3000m
금메달 1998 부다페스트 종합
금메달 1999 오버스트드로프 종합
금메달 1999 오버스트드로프 5000m 계주
금메달 2000 보르미오 5000m 계주
금메달 2000 보르미오 종합
금메달 2002 그르노블 종합
금메달 2002 그르노블 5000m 계주
금메달 2002 그르노블 1000m
금메달 2002 그르노블 1500m
1위 2002 그르노블 3000m S.F.
금메달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5000m 계주
금메달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종합
금메달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500m
금메달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1500m
1위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3000m S.F.
금메달 2004 주테르미에르 5000m 계주
금메달 2004 주테르미에르 1000m
금메달 2005 토리노 종합
금메달 2005 토리노 500m
금메달 2006 크루니차즈드루이 5000m 계주
금메달 2006 크루니차즈드루이 1000m
1위 2006 크루니차즈드루이 3000m S.F.
금메달 2008 벤츠필스 5000m 계주
은메달 1998 부다페스트 5000m 계주
은메달 2004 주테르메이르 종합
은메달 2004 주테르메이르 1500m
은메달 2005 토리노 1500m
은메달 2006 크르니차즈드루이 종합
동메달 1997 말뫼 5000m 계주
동메달 2002 그르노블 500m
동메달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1000m
3위 2005 토리노 3000m S.F.

4.1. 월드컵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우승 기록
<colbgcolor=#ffe970><colcolor=#000> 500 m 1위 1998-99 시즌
1500 m 1위 2002-03 시즌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수상 기록
월드컵 랭킹 우승 2위 3위 포디움
종합 0 1 1 2
500 m 랭킹 1 0 0 1
1000 m 랭킹 0 1 0 1
1500 m 랭킹 1 2 0 3
합계 2 4 1 7
월드컵 메달 포디움
종합 2 4 3 9
500 m 4 1 1 6
1000 m 2 2 0 4
1500 m 2 5 2 9
3000 m 1 2 5 8
개인전 합계 11 14 11 36
5000 m 계주 2 7 2 11
메달합계 13 21 13 47
랭킹 + 메달 합계 15 25 14 54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랭킹[6]
시즌 종합 500 m 1000 m 1500 m
1998-99 2위 1위 2위 2위
1999-00 4위 5위 8위 2위
2000-01 18위 25위 18위 23위
2001-02 5위 7위 9위 4위
2002-03 3위 4위 5위 1위
2003-04 7위 11위 9위 7위
2004-05 - - 9위 14위
2005-06 - - 24위 10위
2006-07 - - - 7위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7]

[1] 더군다나 그의 커리어 황혼기에는 역대 최고의 스케이터로 평가받는 안현수가 등장했다.[2] 5번째로 결승선을 통과했지만 김동성의 실격으로 순위가 4위로 올라갔다.[3] 김동성의 실격 덕에 동메달 대신 은메달을 딴 리자쥔은 심판진의 결정의 수긍한다는 말만 남겼고, 4위에서 어부지리로 동메달을 딴 마크 가뇽 또한 별다른 코멘트를 하지 않았다.[4] 아폴로 오노는 이 내용을 또 비틀어 파비오 카르타가 본인에게 울먹이며 사과했다는 소설을 자서전에 쓰기도 했다.[5] 같은 나라의 여자 후배인 아리안나 폰타나가 이런면에서 그와 비슷하다.[6]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7] 랭킹 표기 : 전체 랭킹기록 36개의 81%인 29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