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묜 옐리스트라토프 관련 틀 | ||||||||||||||||||||||||||||||||||||||||||||||||||||||||||||||||||||||||||||||||||||||||||||||||||||||||||||||||||||||||||||||||||||||||||||||||||||||||||||||||||||||||||||||||||||||||||||||||
|
<colbgcolor=#0033A0><colcolor=#ffffff>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Семён Елистратов | Semen Elistratov | |
| |
본명 | 세묜 안드레예비치 옐리스트라토프 Семён Андреевич Елистратов Semen Andreyevich Elistratov |
출생 | 1990년 5월 3일 ([age(1990-05-03)]세) |
소련 러시아 SFSR 바시키르 ASSR 우파 | |
국적 |
→
|
신체 | 175cm, 70kg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
SNS |
1. 개요
러시아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다. 안현수와 블라디미르 그리고리에프와 함께 2010년대 러시아 쇼트트랙을 대표하는 선수 중 한 명이었으며 저 둘이 은퇴한 지금 현재는 대표팀의 베테랑 에이스로 활동중이다.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묜 옐리스트라토프/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묜 옐리스트라토프/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평가
스케이팅 기술은 투박하지만 강한 지구력을 바탕으로 중장거리에 강점이 있는 선수다. 커리어 초기에는 루슬란 자카로프와 더불어 구멍으로 인식되던 선수였지만 기량 상승으로 인해 팀의 에이스로 떠올랐다.2015 유럽선수권을 기점으로 무서운 상승세를 탔었다. 본래도 지구력에 장점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1500m는 물론 1000m도 아예 초반부터 선두에서 레이스 전체를 이끌 정도로 지구력이 더 좋아졌다. 투박한 스케이팅 자세와 기술적인 면에서도 발전을 이룬 모습을 보여주었다. 1000m에서까지 이런 스타일의 레이스가 통할 수 있으려면 지구력 뿐만 아니라 스피드 또한 겸비해야만 하는데, 월드컵 5, 6차 대회 1000m를 모두 우승하며 지구력, 스피드가 모두 뛰어나다는 것을 증명해냈다. 또한 인코스 추월에도 능하며, 500m는 스타트와 초반가속이 떨어지지만 긴 다리를 가지고있어 후반부에 스피드를 올리기 좋고, 큰 체구[1]로 뒷 선수를 견제하기 좋은 신체를 지녔다.[2]드미트리 미구노프와 함께 현재 러시아에서 가장 뜨거운 선수이며, 계주에서도 본래 4번 정도가 그의 역할이었지만 최근에는 빅토르 안이 결장하거나 컨디션이 안좋을 경우 2번 주자로도 출전할 정도로 러시아 팀 내에서의 위상도 두터워졌다.
4. 기타
- 같이 대표팀 생활을 했던 안현수의 영향 때문인지 손을 잘 안 짚고 스케이팅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5. 수상 기록
<colbgcolor=#ffffff,#1c1d1f> 대회 | <colbgcolor=#ffd700,#554600> 금 | <colbgcolor=#9a9a9a,#444444><colcolor=#ffffff> 은 | <colbgcolor=#cd7f32,#442910><colcolor=#ffffff> 동 |
올림픽 | 1 | 0 | 2 |
세계선수권 | 1 | 2 | 6 |
유럽선수권 | 14 | 10 | 13 |
합계 | 16 | 12 | 21 |
| ||||
월드컵 랭킹 | 2 | 2 | 2 | 6 |
월드컵 메달 | 19 | 19 | 12 | 50 |
합계 | 21 | 21 | 14 | 56 |
| ||
금메달 | 2014 소치 | 5000m 계주 |
동메달 | 2018 평창 | 1500m |
동메달 | 2022 베이징 | 1500m |
| ||
금메달 | 2015 모스크바 | 1500m |
은메달 | 2013 데브레첸 | 5000m 계주 |
2위 | 2019 소피아 | 3000m S.F. |
은메달 | 2021 도르드레흐트 | 500m |
동메달 | 2018 몬트리올 | 500m |
동메달 | 2018 몬트리올 | 1500m |
3위 | 2018 몬트리올 | 3000m S.F. |
동메달 | 2019 소피아 | 종합 |
동메달 | 2019 소피아 | 1000m |
동메달 | 2021 도르드레흐트 | 종합 |
동메달 | 2021 도르드레흐트 | 1500m |
| ||
금메달 | 2013 말뫼 | 5000m 계주 |
금메달 | 2014 드레스덴 | 5000m 계주 |
금메달 | 2014 드레스덴 | 1500m |
금메달 | 2015 도르드레호트 | 5000m 계주 |
금메달 | 2016 소치 | 종합 |
금메달 | 2016 소치 | 1000m |
금메달 | 2016 소치 | 1500m |
금메달 | 2017 토리노 | 종합 |
금메달 | 2017 토리노 | 1500m |
1위 | 2017 토리노 | 3000m S.F. |
금메달 | 2019 도르드레호트 | 1000m |
금메달 | 2020 데브레첸 | 5000m 계주 |
1위 | 2020 데브레첸 | 3000m S.F. |
금메달 | 2021 그단스크 | 종합 |
금메달 | 2021 그단스크 | 1000m |
금메달 | 2021 그단스크 | 1500m |
은메달 | 2012 믈라다 볼레슬라프 | 5000m 계주 |
은메달 | 2012 믈라다 볼레슬라프 | 1500m |
은메달 | 2012 믈라다 볼레슬라프 | 3000m S.F. |
은메달 | 2014 드레스덴 | 종합 |
은메달 | 2014 드레스덴 | 1000m |
은메달 | 2015 도르드레호트 | 1500m |
은메달 | 2016 소치 | 500m |
은메달 | 2017 토리노 | 5000m 계주 |
은메달 | 2018 드레스덴 | 1000m |
은메달 | 2018 드레스덴 | 1500m |
동메달 | 2013 말뫼 | 1000m |
3위 | 2013 말뫼 | 3000m S.F. |
동메달 | 2015 도르드레호트 | 종합 |
동메달 | 2015 도르드레호트 | 500m |
동메달 | 2015 도르드레호트 | 1000m |
3위 | 2015 도르드레호트 | 3000m S.F. |
동메달 | 2017 토리노 | 1000m |
동메달 | 2018 드레스덴 | 종합 |
동메달 | 2019 도르드레호트 | 5000m 계주 |
동메달 | 2019 도르드레호트 | 종합 |
동메달 | 2019 도르드레호트 | 1500m |
동메달 | 2020 데브레첸 | 종합 |
동메달 | 2020 데브레첸 | 500m |
동메달 | 2020 데브레첸 | 1000m |
동메달 | 2021 그단스크 | 5000m 계주 |
5.1. 월드컵 성적
| ||||
1000 m 1위 | 2014-15 시즌, 2015-16 시즌 |
| ||||
월드컵 랭킹 | 우승 | 2위 | 3위 | 포디움 |
종합 | 0 | 1 | 0 | 1 |
1000 m 랭킹 | 2 | 0 | 1 | 3 |
1500 m 랭킹 | 0 | 1 | 1 | 2 |
합계 | 2 | 2 | 2 | 6 |
월드컵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500 m | 1 | 2 | 0 | 3 |
1000 m | 4 | 6 | 4 | 14 |
1500 m | 3 | 3 | 5 | 11 |
개인전 합계 | 8 | 11 | 9 | 28 |
5000 m 계주 | 8 | 6 | 3 | 17 |
2000 m 혼성 계주 | 3 | 2 | 0 | 5 |
계주 합계 | 11 | 8 | 3 | 22 |
메달합계 | 19 | 19 | 12 | 50 |
랭킹 + 메달 합계 | 21 | 21 | 14 | 56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2006-07 | - | - | - | 38위 |
2008-09 | - | 46위 | - | 43위 |
2009-10 | - | - | 35위 | 24위 |
2010-11 | - | 11위 | - | 24위 |
2011-12 | - | - | - | 8위 |
2012-13 | - | 28위 | 15위 | 4위 |
2013-14 | - | 23위 | 11위 | 12위 |
2014-15 | - | 23위 | 1위 | 8위 |
2015-16 | 2위 | 15위 | 1위 | 6위 |
2016-17 | - | 9위 | 9위 | 3위 |
2017-18 | - | 21위 | 14위 | 21위 |
2018-19 | - | - | 33위 | 10위 |
2019-20 | - | - | 3위 | 5위 |
2021-22 | - | - | 4위 | 2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4] |
6. 수훈
- 2022년 : 베이징 올림픽 동메달 획득으로 인해 조국 공훈 1급 메달 수여[5]
- 2018년 : 평창 올림픽 동메달 획득으로 인해 조국 공훈 2급 메달 수여
- 2014년 : 소치 올림픽 계주 금메달 획득으로 인해 우정의 훈장 수여
[1] 샤를 아믈랭과 비슷한 신체 조건을 지녔다.[2] 다만 500m는 스타트와 초반 가속이 중요한데, 셰멘은 그 두 가지가 부족해서 항상 500m에서 열세를 보였다. 적어도 2017-18시즌까진 500m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였지만, 나이가 들기 시작한 현 시점에서는 최대 스피드가 떨어져 세계선수권이나 올림픽 시즌을 제외하면 출전하지 않고 있다.[3]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4] 랭킹 표기 : 전체 랭킹기록 41개의 81%인 33개까지 표기[5] 셰묜 옐리스트라토프가 받은 조국공훈 1-2급 메달은 대조국공훈훈장의 하위호환이다. 러시아의 훈장 시스템은 훈장(Орден) 아래에 메달(Медаль)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훈장(상훈)/소련 참고) 통상적으로 조국공훈 1-2급 메달을 받은 이후 대조국공훈훈장이 수여된다. 세묜 옐리스트라토프가 받은 2014년 우호훈장이 조국공훈 1-2급 메달보다 더 높은 단계의 훈장이다. 우호훈장은 반기문이나 스티븐 시걸에게도 푸틴이 줄정도로 높은 등급의 고위 훈장이며 체육인의 경우 올림픽 금메달 리스트에게 수여된다. 2026년 세묜 옐레스트라토프가 밀라노 올림픽에서 추가로 메달을 획득 할시에는 1-2급 메달을 이미 획득하였기에 존경훈장이 수여될 가능성이 있으며, 추가로 금메달을 획득을 하게된다면, 빅토르 안이 2014년 받은 대조국공훈훈장 4급 수훈자의 자격을 얻을수 있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