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3 22:56:10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동계올림픽 남자 5000m 계주 금메달리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2 1994 1998 2002 200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김기훈 마르코 부일레르민 에릭 베다르 마크 가뇽 송석우
이준호 마우리치오 카르니노 마크 가뇽 조나탕 길메트 안현수
모지수 오라치오 파고네 데릭 캠벨 마티외 튀르코트 서호진
송재근 후고 헤른호프 프랑수아 드롤렛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이호석
에릭 베다르 오세종
2010 2014 2018 2022 202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국기.svg
올리비에 쟝 블라디미르 그리고리에프 리우 샤오앙 파스칼 디옹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빅토르 안 리우 샤오린 샨도르 스티븐 뒤부아
프랑수아 아믈랭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빅토르 크노치 조르당 피에르질
샤를 아믈랭 루슬란 자카로프 처버 부리안 샤를 아믈랭
기욤 바스티유 막심 라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유럽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합 우승제: 1회(1997년) ~ 26회(2022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1997 말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5회 2011 헤이렌베인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하랄드 실로우스
2회 1998 부다페스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16회 2012 믈라다볼레슬라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3회 1999 오버스트도르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17회 2013 말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프레이크 판데르바르트
4회 2000 보르미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18회 2014 드레스덴 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르 안
5회 2001 덴 하흐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루노 로스코스 19회 2015 도르드레흐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6회 2002 그르노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20회 2016 소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7회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21회 2017 토리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8회 2004 주테르메이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 22회 2018 드레스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9회 2005 토리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23회 2019 도르드레흐트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린 샨도르
10회 2006 크르니차즈드루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 24회 2020 데브레첸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11회 2007 셰필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 25회 2021 그단스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12회 2008 벤츠필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 26회 2022 드레스덴 취소COVID-19
13회 2009 토리노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하랄드 실로우스
14회 2010 드레스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
}}}}}}}}} ||
종합 우승제 폐지: 27회(2023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7회 2023
그단스크
5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8회 2024
그단스크
5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1000m 파일:벨기에 국기.svg 스테인 데스멋 10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1500m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옌스 판트바우트 15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29회 2025
드레스덴
500m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옌스 판트바우트 500m 파일:국기.svg
1000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 1000m 파일:국기.svg
1500m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옌스 판트바우트 1500m 파일:국기.svg }}}}}}}}}
}}}}}}}}} ||

<colbgcolor=#0033A0><colcolor=#ffffff>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Семён Елистратов | Semen Elistratov
파일:external/www4.pictures.zimbio.com/Semen+Elistratov+Winter+Olympics+Short+Track+QdKY2IlNjhll.jpg
본명 세묜 안드레예비치 옐리스트라토프
Семён Андреевич Елистратов
Semen Andreyevich Elistratov
출생 1990년 5월 3일 ([age(1990-05-03)]세)
소련 러시아 SFSR 바시키르 ASSR 우파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소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소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5cm, 70kg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평가4. 기타5. 수상 기록
5.1. 월드컵 성적
6. 수훈

1. 개요

러시아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다. 안현수블라디미르 그리고리에프와 함께 2010년대 러시아 쇼트트랙을 대표하는 선수 중 한 명이었으며 저 둘이 은퇴한 지금 현재는 대표팀의 베테랑 에이스로 활동중이다.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묜 옐리스트라토프/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묜 옐리스트라토프/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묜 옐리스트라토프/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스케이팅 기술은 투박하지만 강한 지구력을 바탕으로 중장거리에 강점이 있는 선수다. 커리어 초기에는 루슬란 자카로프와 더불어 구멍으로 인식되던 선수였지만 기량 상승으로 인해 팀의 에이스로 떠올랐다.

2015 유럽선수권을 기점으로 무서운 상승세를 탔었다. 본래도 지구력에 장점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1500m는 물론 1000m도 아예 초반부터 선두에서 레이스 전체를 이끌 정도로 지구력이 더 좋아졌다. 투박한 스케이팅 자세와 기술적인 면에서도 발전을 이룬 모습을 보여주었다. 1000m에서까지 이런 스타일의 레이스가 통할 수 있으려면 지구력 뿐만 아니라 스피드 또한 겸비해야만 하는데, 월드컵 5, 6차 대회 1000m를 모두 우승하며 지구력, 스피드가 모두 뛰어나다는 것을 증명해냈다. 또한 인코스 추월에도 능하며, 500m는 스타트와 초반가속이 떨어지지만 긴 다리를 가지고있어 후반부에 스피드를 올리기 좋고, 큰 체구[1]로 뒷 선수를 견제하기 좋은 신체를 지녔다.[2]드미트리 미구노프와 함께 현재 러시아에서 가장 뜨거운 선수이며, 계주에서도 본래 4번 정도가 그의 역할이었지만 최근에는 빅토르 안이 결장하거나 컨디션이 안좋을 경우 2번 주자로도 출전할 정도로 러시아 팀 내에서의 위상도 두터워졌다.

4. 기타

5. 수상 기록

<colbgcolor=#ffffff,#1c1d1f> 대회 <colbgcolor=#ffd700,#554600> <colbgcolor=#9a9a9a,#444444><colcolor=#ffffff> <colbgcolor=#cd7f32,#442910><colcolor=#ffffff>
올림픽 1 0 2
세계선수권 1 2 6
유럽선수권 14 10 13
합계 16 12 21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월드컵 시리즈 수상성적
월드컵 랭킹 2 2 2 6
월드컵 메달 19 19 12 50
합계 21 21 14 56

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올림픽
금메달 2014 소치 5000m 계주
동메달 2018 평창 1500m
동메달 2022 베이징 15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5 모스크바 1500m
은메달 2013 데브레첸 5000m 계주
2위 2019 소피아 3000m S.F.
은메달 2021 도르드레흐트 500m
동메달 2018 몬트리올 500m
동메달 2018 몬트리올 1500m
3위 2018 몬트리올 3000m S.F.
동메달 2019 소피아 종합
동메달 2019 소피아 1000m
동메달 2021 도르드레흐트 종합
동메달 2021 도르드레흐트 15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유럽선수권
금메달 2013 말뫼 5000m 계주
금메달 2014 드레스덴 5000m 계주
금메달 2014 드레스덴 1500m
금메달 2015 도르드레호트 5000m 계주
금메달 2016 소치 종합
금메달 2016 소치 1000m
금메달 2016 소치 1500m
금메달 2017 토리노 종합
금메달 2017 토리노 1500m
1위 2017 토리노 3000m S.F.
금메달 2019 도르드레호트 1000m
금메달 2020 데브레첸 5000m 계주
1위 2020 데브레첸 3000m S.F.
금메달 2021 그단스크 종합
금메달 2021 그단스크 1000m
금메달 2021 그단스크 1500m
은메달 2012 믈라다 볼레슬라프 5000m 계주
은메달 2012 믈라다 볼레슬라프 1500m
은메달 2012 믈라다 볼레슬라프 3000m S.F.
은메달 2014 드레스덴 종합
은메달 2014 드레스덴 1000m
은메달 2015 도르드레호트 1500m
은메달 2016 소치 500m
은메달 2017 토리노 5000m 계주
은메달 2018 드레스덴 1000m
은메달 2018 드레스덴 1500m
동메달 2013 말뫼 1000m
3위 2013 말뫼 3000m S.F.
동메달 2015 도르드레호트 종합
동메달 2015 도르드레호트 500m
동메달 2015 도르드레호트 1000m
3위 2015 도르드레호트 3000m S.F.
동메달 2017 토리노 1000m
동메달 2018 드레스덴 종합
동메달 2019 도르드레호트 5000m 계주
동메달 2019 도르드레호트 종합
동메달 2019 도르드레호트 1500m
동메달 2020 데브레첸 종합
동메달 2020 데브레첸 500m
동메달 2020 데브레첸 1000m
동메달 2021 그단스크 5000m 계주

5.1. 월드컵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우승 기록
1000 m 1위 2014-15 시즌, 2015-16 시즌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수상 기록
월드컵 랭킹 우승 2위 3위 포디움
종합 0 1 0 1
1000 m 랭킹 2 0 1 3
1500 m 랭킹 0 1 1 2
합계 2 2 2 6
월드컵 메달 포디움
500 m 1 2 0 3
1000 m 4 6 4 14
1500 m 3 3 5 11
개인전 합계 8 11 9 28
5000 m 계주 8 6 3 17
2000 m 혼성 계주 3 2 0 5
계주 합계 11 8 3 22
메달합계 19 19 12 50
랭킹 + 메달 합계 21 21 14 56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랭킹[3]
시즌 종합 500 m 1000 m 1500 m
2006-07 - - - 38위
2008-09 - 46위 - 43위
2009-10 - - 35위 24위
2010-11 - 11위 - 24위
2011-12 - - - 8위
2012-13 - 28위 15위 4위
2013-14 - 23위 11위 12위
2014-15 - 23위 1위 8위
2015-16 2위 15위 1위 6위
2016-17 - 9위 9위 3위
2017-18 - 21위 14위 21위
2018-19 - - 33위 10위
2019-20 - - 3위 5위
2021-22 - - 4위 2위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4]

6. 수훈





[1] 샤를 아믈랭과 비슷한 신체 조건을 지녔다.[2] 다만 500m는 스타트와 초반 가속이 중요한데, 셰멘은 그 두 가지가 부족해서 항상 500m에서 열세를 보였다. 적어도 2017-18시즌까진 500m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였지만, 나이가 들기 시작한 현 시점에서는 최대 스피드가 떨어져 세계선수권이나 올림픽 시즌을 제외하면 출전하지 않고 있다.[3]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4] 랭킹 표기 : 전체 랭킹기록 41개의 81%인 33개까지 표기[5] 셰묜 옐리스트라토프가 받은 조국공훈 1-2급 메달은 대조국공훈훈장의 하위호환이다. 러시아의 훈장 시스템은 훈장(Орден) 아래에 메달(Медаль)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훈장(상훈)/소련 참고) 통상적으로 조국공훈 1-2급 메달을 받은 이후 대조국공훈훈장이 수여된다. 세묜 옐리스트라토프가 받은 2014년 우호훈장이 조국공훈 1-2급 메달보다 더 높은 단계의 훈장이다. 우호훈장은 반기문이나 스티븐 시걸에게도 푸틴이 줄정도로 높은 등급의 고위 훈장이며 체육인의 경우 올림픽 금메달 리스트에게 수여된다. 2026년 세묜 옐레스트라토프가 밀라노 올림픽에서 추가로 메달을 획득 할시에는 1-2급 메달을 이미 획득하였기에 존경훈장이 수여될 가능성이 있으며, 추가로 금메달을 획득을 하게된다면, 빅토르 안이 2014년 받은 대조국공훈훈장 4급 수훈자의 자격을 얻을수 있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