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2 20:41:57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wiki style="margin:-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16418e>
파일:강남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개원중학교 개포중학교 구룡중학교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대명중학교 대왕중학교 대청중학교 대치중학교
도곡중학교 봉은중학교 세곡중학교 수서중학교
숙명여자중학교 신구중학교 신사중학교 압구정중학교
언북중학교 언주중학교 역삼중학교 은성중학교
중동중학교 진선여자중학교 청담중학교 휘문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檀國大學校 師範大學 附屬中學校
Dankook University Middle School
파일: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교표.svg
<colbgcolor=#045195><colcolor=white> 개교 1941년 5월 25일 (조선공업기술학원)
역사 다른 이름:
조선공업기술학원 (1941년 5월 25일 ~ 1947년 2월 8일)
백남공업중학교 (1947년 2월 8일 ~ 1950년 6월 1일)
백남중학교 (1950년 6월 1일 ~ 1959년 7월 27일)
단국중학교 (1959년 7월 27일 ~ 1982년 12월 27일)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1982년 12월 27일 ~ )
유형 일반계 중학교
성별 남학교
형태 사립
학교법인 학교법인 단국대학
교장 17대: 송건현
[ 역대 교장 ]
초대: 정성걸
2대: 장봉식 (교장 직무대리)
3대: 지동석 (교장 서리)
4대: 이종흡 (교장 직무대리)
5대: 장봉식
6대: 이복녕 (교장 직무대리)
7대: 예종덕 (교장 직무대리)
8대: 이복녕
9대: 장봉식
10대: 신현상 (교장 직무대리)
11대: 민현숙
12대: 김상수
13대: 박제섭
강명석 (교장 직무대리)
14대: 홍성수
김재유 (교장 직무대리)
15대: 조진용
김재유 (교장 직무대리)
16대: 한유수
교감 안승희
교훈 나를 알며 참에 살고 공부하며 일하자
교화 철쭉
교목 느티나무
상징물
학생 수 621명[기준]
교직원 수 46명[기준]
관할청 서울특별시강남서초교육지원청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1동 도곡로64길 21
홈페이지 파일: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교표.svg

<nopad> 파일:단대부고 전경.jpg
<rowcolor=#fff> 학교 전경
1. 개요2. 학교 연혁
2.1. 교화2.2. 교목2.3. 상징물2.4. 교훈2.5. 교가
3. 학교 특징
3.1. 복장
4. 학교 시설
4.1. 1층4.2. 2층4.3. 3층4.4. 4층4.5. 재능관4.6. 고암 체육관4.7. 운동장
5. 학교 생활
5.1. 단림제5.2. 수련회5.3. 시간표
6. 운동부7. 출신 인물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8.2. 철도
9. 여담10. 둘러보기

1. 개요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1동에 위치한 강남 8학군 소속의 일반계 남자 중학교이다. 1941년 5월 25일 개교한 조선공업기술원이 그 시초이다. 1947년 백남공업중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고, 1950년에는 학제 개편으로 백남중학교와 백남공업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1958년 백남 재단이 단국 재단에 인수됨에 따라 1959년 백남중학교의 명칭이 단국중학교로 변경되었다. 여러번의 주소 이전을 거쳐 1982년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를 세우면서 단국중학교의 교명을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로 함께 변경하였다.

1982년 8월 25일 용산구 한남동 산8-35번지에서 강남구 대치동 산54번지로 교사를 이전하였으며 1982년 12월 27일 강남구 대치동 1013번지로 변경되었다.[3]

2. 학교 연혁

2.1. 교화

본교의 교화는 철쭉이다. 연분홍빛 꽃은 열정을 상징하고, 초록빛 잎은 평화를 상징한다. 온 산에 가득 피는 특성을 통하여 공존공영과 민주성 그리고 보편성을 본받는다.

2.2. 교목

단대부중의 교목은 느티나무다. 강인한 생명력으로 억센 줄기는 강한 의지를, 고르게 펼쳐진 가지는 조화된 질서를, 깨끗하고 단정한 잎은 예의를 상징하며 전체적으로 충,효,예 를 표상하는 나무이다. 느티나무가 가진 넉넉한 덕과 넓은 포용력을 바탕으로 미래의 꿈을 실현하는 정신을 배운다.

2.3. 상징물

본교의 교수는 이다. 단군 신화의 바탕으로 민족의 얼을 간직하면서 인내근면, 기지민첩, 자활력과 용맹성의 미덕을 배워야 한다는 단국인의 길을 상징한다.

2.4. 교훈

나를 알며 참에 살고 공부하며 일하자

2.5. 교가

단대부고단대 소프트고, 단국대학교와 교가가 같다. 원래는 한 키가 더 높았으나 중학생의 변성기 문제로 낮아졌다. [4]
영기찬 백두산의 정기를 받고
한양성 배움터에 모여든 학도
젊은피 끓는 가슴 부둥켜 안고
찬연한 앞을 향해 뛰어 나간다
받들라 혜당여사 높은 그 뜻을
빛내라 단국학원 우리의 모교
받들라 범정선생 굳센 그 뜻을
빛내라 단국학원 우리의 모교

3. 학교 특징

3.1. 복장

4. 학교 시설

학교는 직사각형 모양이며 1층은 단대부고와 연결되어 있으나 2, 3, 4층은 연결되어 있지 않다.

4.1. 1층

1층에는 제1교무실 (교무기획부, 교육연구부, 창의체험부)가 있으며 교장실, 다목적회의실, 방송실, 가사실, 보건실, 행정실이 있다.

4.2. 2층

3학년 1~6반, 제3교무실 (학년부), 도서관이 있다.

4.3. 3층

2학년 1~6반, 제2교무실 (생활안전부), 성적처리실, 상담실, 스마트 자치 교실이 있다.

4.4. 4층

1학년 1~6반, 과학정보실 (과학정보부), 과학실험실, 제5교무실이 있다.

4.5. 재능관

1층에는 진로진학상담부, 미술실이 있고 4층에는 단대부중,단대부고, 단대소고가 공동사용하는 강당이 있다. [6]

4.6. 고암 체육관

체육관에는 농구장이 설치되어 있다. 체육관 건물 지하 1층에는 급식실이, 지하 3층에는 음악실이 있다.

4.7. 운동장

축구 골대가 여러 개 설치되어 있다. 모래로 되어있었으나 2025년 여름방학에 잔디로 (풋살장 한정) 바뀌었다. 2025년 겨울방학에 농구코트를 제외한 운동장 구역을 잔디로 교체할 예정이다. 우레탄 바닥의 농구 코트도 있다. 또한, 그물로 둘러싸인 풋살장도 있다.

5. 학교 생활

5.1. 단림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온라인으로 전환되었었지만 2022년부터 다시 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2022년 단림제에서는 코로나의 여파로 먹거리 장터[7]는 운영되지 않았다.최근 다시 먹거리 장터가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2024년에 학생들이 옆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의 먹거리 장터 음식들을 먹어 고등학교 학생들이 먹을 것이 없었다고 한다.(...)

간혹 타 학교 학생들이 공연을 하러 방문하는 경우가 있다.
2022년에는 숙명여중과 진선여중 댄스부가 방문했다.

2023년도에도 진선여중 밴드부와 진선여중 댄스부가 방문했다.

2024, 2025년도에는 진선여중 치어리딩부(루나틱)과 진선여중 댄스부(걸스온탑)이 방문했다.[8]

2025년도에는 학생회장의 스쿨어택 신청을 통해 가수 김뭉먕이 특별 공연을 했다.[9]

5.2. 수련회

매년 수련회가 진행되지만 2022년 수련회는 학부모의 찬성률이 70%를 넘지 못해 체험학습으로 변경되었다. 본 일정 3일 중 첫날은 청와대와 경복궁, 둘째 날은 서울랜드, 마지막 날은 정상 수업으로 변경되었다. 2023, 2024, 2025년에는 1, 2학년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

5.3. 시간표

일과 시간표
07:30 ~ 07:55 주번 청소
08:00 ~ 08:10 학급 조회
08:20 ~ 09:05 1 교시
09:15 ~ 10:00 2 교시
10:10 ~ 10:55 3 교시
11:05 ~ 11:50 4 교시
12:40 ~ 13:25 5 교시
13:35 ~ 14:20 6 교시
14:30 ~ 15:15 7 교시

월요일은 6교시로 14시 20분 하교한다. 수요일은 학사일정에 따라 5교시 ~ 7교시가 진행된다. (기본적으로는 6교시이다) [10]

6. 운동부

농구부가 있다. 1993년 창단[11]되어 유지 중이다.

7. 출신 인물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정류소 명칭 노선 번호
단대부고.대치아이파크아파트(23-221)
도곡렉슬아파트정문 (23-332)
242, 472, 2415, 3414, 3426, 4432
한티역3번출구(2번출구).서울강남고용노동지청 (23-222, 23-265) 333, 340, 361, 420, 461, 2415, 4312

8.2. 철도

9. 여담

10. 둘러보기

파일:단국대학교 시그니처 좌우조합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학교법인 단국대학 산하 기관
캠퍼스
{{{#!wiki style="margin: -16px -11px" 죽전캠퍼스 천안캠퍼스 舊 서울캠퍼스 }}}
학교 정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재단 역사 상징 학부 대학원 }}}
학생 정보
학사 제도 출신 인물 고시반 동아리
사건 사고 기숙사 학내 언론 총학생회
부속 기관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33.3%>
천호지
||<width=33.3%>
석주선기념박물관
||<width=33.3%>
야구부
||
}}}}}}}}}}}} ||
[기준] 2024년 9월 2일[기준] 2023년 9월 20일[3] 네이버 플레어스[4] 학교 수행평가에 교가 부르기 항목이 포함되어있다. 난이도는 남중이란지라 널널하여 숴운편[5] 그 이후로 매년 신규 학년을 대상으로 판매된다.[6] 단대부고, 단대 소고가 우선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같은 학교에서는 보통 학년 순으로 우선 사용하고 보통 여러번이 같이 사용.[7] 먹거리 장터란 중학교 단림제 또는 고등학교 단웅제 시행시 오전에 운영하는 푸드코트의 일종이다. 각반의 학부모들은 부스에 모여 각종 간식이나 음식 (예) 슬러시, 핫도그, 삼겹살 등등 여러 음식을 준비해 판매한다.[8] 여중 학생들이 찬조공연을 매년 하는 편.[9] 이 날 김뭉먕은 자신의 첫 싱글 앨범의 타이틀 곡인 부아앙~~등 3곡을 불렀다.[10] 보통 동아리 일정에 따라 변경[11] 손동환. 바스켓코리아, 2021년 12월 1일, 2023년 9월 20일 발췌, URL[12] 학급이 따라 7시 55분 등교를 학급 규칙으로 정하기도 한다. (담임선생님 재량)[13] 길이는 귀와 눈썹을 가리면 안 되고, 염색과 파마는 금지.[14] 길이 규제 없음, 파마 허용, 염색 및 무스 비허용[15] 스마트워치 등 기타 전자기기 또한 규정상 걷는게 맞지만 걷지 않는 학급 또한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