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대한민국 해군 함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1B69><colcolor=white> 잠수함 | <colbgcolor=#001B69><colcolor=#fff> SS | 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KSS-III Batch-II} |
SSM | 비둘기/갈매기급정·R, 돌고래급R, 참고래나포·R, 가자미급나포, 범고래급정 | ||
SSN | |||
항공모함 | |||
아스널십 | {합동화력함} | ||
구축함 | DDG | 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KDDX} | |
DDH | 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 ||
DD | 충무급R, 충북급R, 대구·인천R | ||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 경기·강원R, 충남급R, 경남·아산R, 경북·전남R | ||
호위함 | FFG | 인천급, 대구급, 충남급, {FFX Batch-IV} | |
FF | 울산급 | ||
PF | 두만강급R | ||
초계함 | PCC | 동해급R, 포항급 | |
경비함정 (PG, PCS, PC, PCE) | 충무공 313·315R, 수성급R, 백두산급(백두산함)R, 노량급R, 거진R, 신성급R | ||
유도탄고속함 | PKG | 윤영하급 | |
PGM | 백구/검독수리급R | ||
PKMM | 기러기 121·122R | ||
고속정 | PKM PKMR | 기러기 123R, 기러기/참수리급 참수리 211급 | |
PB SB FB PK | 올빼미급R 보라매급R 독수리급R 제비급R | ||
PT | 갈매기급R | ||
상륙함 | LPH | 독도급 | |
LST-II (LSD) | 천왕봉급 | ||
LST | 천안/용화급R, 안동R, 용비급R, 운봉급R, 고준봉급 | ||
LSM LSMR | 대초급R 시흥R | ||
상륙정 | LSF | 솔개 611R, 거북이 613급정·R, 솔개 621급, 솔개 631급 | |
LCU | 물개급 | ||
LCI LSSL | 서울/천안급R 영흥만급R | ||
기뢰부설함 | LSML MLS | 풍도·울릉R 원산, 남포 | |
소해함 | MSC MHC MHS | 금산급R, 남양급R 강경급 양양급, {MSH-II} | |
소해정 | YMS JMS AMS | 금강산/강진급R 대전급R 금화급R | |
군수지원함 | AOE | 천지급, 소양급 | |
수상함구조함 | ARS ATS | 창원·구미R 평택·광양R, 통영·광양 | |
잠수함구조함 | ASR | 청해진, 강화도 | |
훈련함 | ATH | 한산도 | |
정보함 | AGS | 신천지R, 신세기, 신기원, {AGX-III} | |
잠수정모함 | ASL | 남양정·R, 다도해R | |
수리함 | ARL | 덕수R | |
수송함 | AKL | 부산·인천/제물포R, 원산급R, 군산/천수급R | |
유조함 | YO AO AOR | 구룡R 천지·부전/부천R, 백연/화천R, 청평R 소양·진양R | |
예인함 | ATA | 인왕R, 용문R, 도봉R | |
전투근무지원정 | 전투정 | 다목적훈련지원정(MTB), 항만경비정(YUB/HP), 항만수송정(YF), {특수전지원함·특수침투정} | |
근무지원정 | 숙영지원정(QB)R, 냉동정(RCM)R,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 ||
기타 | 단정, 주정 | 고속단정(RIB), 인원이송상륙주정(LCP), 상륙주정(LCVP), 고속상륙주정(LCM) | |
유인기 | 심해구조잠수정(DSRV) | ||
무인기 | 수중무인탐사기(ROV), 무인기뢰처리기-II(MDV), {무인잠수정(UUV)}, {무인수상정(USV)} {무인전력지휘통제함} | ||
타기관 함정 | 육군, 국과연 | 육군경비정육, 교량 가설 단정육, 선진과·R, 지심과, 미래과, 청해과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 ※ 윗첨자정: 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육: 대한민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과: 국방과학연구소 소속 함정 ※ 윗첨자나포: 적으로 부터 나포한 함정 | |||
※ 둘러보기: 대한민국 해군 취역·퇴역 함정 일람 | 한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전투지원함 | |||
해양정보함 | 훈련함 | 수상함구조함 | |
신세기함 AGS-I | 신기원함 AGS-II | 한산도함 ATH | 통영급 ATS-II |
잠수함구조함 | 군수지원함 | ||
청해진함 ASR | 강화도함 ASR-II | 천지급 AOE-I | 소양급 AOE-II |
<colbgcolor=#001B69><colcolor=#fff> |
초도함 소양함(AOE-51) |
1. 개요
대한민국 해군의 소양급 군수지원함(AOE: Fast combat support ship)은 '차기군수지원함'(AOE-II) 사업을 통해 건조된, 길이 190m, 경하 배수량 1만 톤급, 만재 배수량 2만 톤급의 군수지원함이다.[1] 대령이 함장으로 보임되는 1급함이다.[2]소양급 군수지원함은 제7기동전단에 대한 원해작전 지원이 가능하고, 수리·의료 지원 및 수직보급 능력을 갖췄다. 또한 최대속력 24노트(약 44km/h)로 항해 가능하며,[3] 보급물자 적재 능력은 11,050톤으로 천지급 군수지원함보다 적재 능력이 2.3배 이상 커졌다. 보급물자를 채운 컨테이너를 선체에 직접 실을 수 있어 보급물자 적재 속도가 높아졌고, 헬기를 이용한 수직 보급 및 인원 이송이 가능하도록 비행갑판과 헬기 격납고를 갖췄다.
선도함인 소양함(AOE-51)은 2018년 9월 취역했다. 한편 노후화된 천지급 군수지원함의 초도함인 천지함(AOE-57)을 대체하기 위해 후속함을 2024년부터 2028년까지 도입할 계획이다.
2. 동급함
|| 함종
선체번호 || 함명 || 기공 || 진수 || 인수 || 취역 || 건조사 || 비고 || 동일 이름의
퇴역 함정 ||
선체번호 || 함명 || 기공 || 진수 || 인수 || 취역 || 건조사 || 비고 || 동일 이름의
퇴역 함정 ||
AOE-51 | 소양 | 2016년 3월 | 2016년 11월 29일 | 2018년 9월 7일 | 2018년 9월 18일 | HD현대중공업 | 1차 사업, 운용 중 | AOG-55 |
AOE-52 | - | - | - | - | 2028년 예정 # | 한화오션 | 2차 사업 | - |
- 군수지원함의 경우 함 특성(유류 및 청수 적재)을 고려하여 담수량이 큰 호수 이름을 함명으로 붙인다.# 소양함은 소양호를 함명으로 사용한 2번째 함정으로, 1982년 미국에서 임대 후 천지급 군수지원함의 도입으로 퇴역한 유조함 소양(AOG-55)[4]의 함명을 계승했다.
- 소양함(AOE-51)은 2019년 3월 말레이시아 국제해양‧항공전시회(LIMA 2019)[5]에 참가했다.
3. 사업 배경
- 차기군수지원함(AOE-II) 사업 추진 경과
- 2006년 4월: 장기신규 소요결정(제219차 합동참모회의)
- 2010년 4월: 중기소요 전환(제246차 합동참모회의)
- 2010년 10월: 사업추진기본전략 확정(제45회 방추위)
- 2011년 1월: 함정건조기본계획서 확정(제88회 사분위)
- 2011년 11월: 기본설계 계약
- 2014년 12월: 상세설계 및 함 건조 계약
- 2016년 11월: 진수식
- 2018년 9월: 대한민국 해군 인도
대한민국 해군은 대양해군 정책에 따라 1988년도부터 천지급 군수지원함 3척[7]을 건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헬기 격납고가 없고 함정의 크기가 만재 1만 톤 내외로, 세종대왕급 구축함(DDG) 등 대형 함정 대응 및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청해부대) 파병 등 대양에서의 기동군수 수행에는 부족함이 있어 차기군수지원함(AOE-II) 사업이 시작되었다.
대한민국 해군은 차기군수지원함 소요를 제기하고 2009년 확보 계획을 밝힌 후 방위사업청이 2011년 HD현대중공업과 기본설계 계약을, 2014년 상세설계 및 함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차기 군수지원함은 2016년 11월 29일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진수했다.#
초도함 소양함(AOE-51) 진수식 |
4. 제원 및 특징
소양급 군수지원함 | ||
함종 | 군수지원함(AOE: Fast combat support ship) | |
이전 함급 | 천지급 군수지원함 | |
배수량 | 경하 | 10,000톤 |
만재 | 23,000톤 | |
길이/폭/흘수선 | 190m/25m/8m | |
승조원 | 140명 | |
추진체계 | 디젤 전기 하이브리드 추진(CODLAD) | |
속력 | 최대 | 24 knots |
순항 | 15 knots | |
항속거리 | 5,500NM | |
무장 | 팰렁스 Block 1B 20mm CIWS x1 | |
대응체계 | MASS 기만체계 | |
보급능력 | 유류 1만톤 + 탄약 및 식료품 1천 톤 | |
헬기 | UH-60P 또는 KUH-1 수리온 1기(격납고 있음) |
- 소양급 군수지원함은 보급물자를 채운 컨테이너를 선체에 직접 실을 수 있어 보급물자 적재 속도가 높아졌고, 헬기를 이용한 수직 보급 및 인원 이송이 가능하도록 비행갑판과 헬기 격납고를 갖췄다.
- 엔진 추진체계는 전기모터와 디젤 엔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체계 (CODLAD)를 적용했다.
- 무장은 천지급 군수지원함에 비해 줄었지만 팰렁스 20mm 근접 방어 무기 체계(CIWS)와 대구급 호위함 등 2010년대 후반들어 건조된 신형 함정에 설치되는 MASS 대유도탄 기만체계를 장착하고 이중선체 구조를 적용하여[8] 함정 생존성은 천지급 군수지원함에 비해 더욱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5. AOE-II 2차 사업
- AOE-II(군수지원함) 2차 사업 추진 경과
- 2020년 4월: 장기신규 소요결정
- 2020년 9월 ~ 2021년 1월: 소요검증(한국국방연구원)
- 2021년 5월: 중기전환 소요결정
- 2021년 9월 ~ 11월: 비용분석(에스앤에스이엔지)
- 2022년 5월 ~ 10월: 선행연구(방위사업청 선행연구과)
- 2022년 12월: 사업추진기본전략 수립(제148회 방추위)
- 2023년 1월: 후속함 건조계획(안) 의결
- 2023년 3월 ~ 8월: 사업타당성조사(KIDA)
- 2023년 9월 ~ 12월: 사업 착수 준비
2022년 12월 28일, 방위사업청은 제14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군수지원함(AOE-Ⅱ) 2차 사업추진기본전략안을 토대로 2024∼2028년 4,200억 원을 투입해 소양급 군수지원함 1척을 건조하는 안건을 심의해 의결했다.
6. 기타
- 천지급 군수지원함보다 더 큰 배수량과 시설을 갖추지만, 승조원 정원은 천지급과 비슷하다.
- 선체 길이 기준 대한민국 해군 2번째, 배수량 기준 가장 무거운 함정이다. 함교가 상당히 높고 함미 헬기 격납고가 상부구조물에 통합된 형태라 시험 운행 당시 현역 장병들에게 바다에 떠다니는 아파트 단지 같다는 평을 들었다.
- 소양급 군수지원함 2번함 이후 후속함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추가 건조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군수지원함의 경우 최소 2척이라야 작전 중인 함대에 교대로 출동해 보급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보급거리가 긴 원양작전을 수립하려면 그만큼의 군수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여기에 군수지원함의 수명이 긴 것과 별개로, 천지급 군수지원함이 이제 노후함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발생하면 연안함대[9]도 지원해야 하기 때문이다. 과거 인도양에서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청해부대) 의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이 해당 해역에서 활동하던 일본 해상자위대의 마슈급 군수지원함에 보급을 요청했다가 당사국 간 절차가 마련돼 있지 않아 거절된 적이 있다.
- 전투함이 아니라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지만,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전투함들의 장기간, 지속적인 배치 및 운용 능력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 아울러 대한민국 해군이 대양해군력을 건설, 발전시키는 추세에서 주력이 될 중/대형 군함들(예: KDDX, CVX)의 원양 작전을 지원하는 것도 소양급 군수지원함, 혹은 그 이상의 규모를 갖춘 군수지원함의 몫이 된다.[10] 이 점에서 공군의 공중급유기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략적 가치가 높은 함선이라고 할 수 있다.
- 2022년 11월 일본 해상자위대의 국제관함식에 초도함인 소양함(AOE-51)이 참가했다. 이는 일본과의 안보 협력 강화 의지를 견지하되, 욱일기 논란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주력 전투함을 파견하는 것은 부담스러운 관계로 비전투함인 소양함을 파견한 것으로 추측된다.
2022 일본 국제관함식에 참가해서 일본 해상자위대 지휘함에 대함경례중인 소양함(AOE-51)
7. 관련 영상
8. 관련 문서
[1] 대한민국 해군에서 가장 규모가 큰 함정이다. 경하배수량 기준으로는 독도급 대형수송함(14,000톤급)이 더 크다.[2] 구형 천지급 군수지원함도 본래 1급함이었으나 현재는 중령이 함장으로 보임되는 2급함으로 격하되었다.[3] 천지급 군수지원함의 최대속력은 20노트[4] 구 USS Rincon (T-AOG-77)[5] Langkawi International Maritime & Aerospace Exhibition 2019[6] 과거 군수지원함이 1척밖에 없던 시절 천지급 군수지원함의 초도함인 천지함(AOE-57)이 5년 연속 순항훈련에 투입된 적은 있었다. (1993년~1997년) 2022년 순항훈련전단은 천지급 군수지원함의 2번함인 대청함(AOE-58L이 참가해 20, 21년 참가는 소양급 군수지원함의 장거리 임무 수행 능력을 시험한 것으로 보인다.[7] 천지함, 대청함, 화천함[8] 다목적 군수지원함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유조선이기 때문에, 요즘은 웬만한 신흥국도 요구하는 조건인, 단일선체 구조 유조선의 연안 항해와 입항을 금지하는 해역에 들어가려면 이중선체구조를 채택해야 한다.[9] 제1함대, 제2함대, 제3함대[10] 대형화된 주력 전투함 건함 계획을 고려한다면 신규 건조함 중 3척 이상은 만재배수량이 26000톤을 넘어가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