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양 | ||||
태평양 | 대서양 | 인도양 | 남극해 | 북극해 |
세계의 바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제수로기구 S23 기준
| ||
<colbgcolor=#334455>태평양 | <colbgcolor=#eef,#002>남중국해 · 동인도제도(술루해 · 술라웨시해 · 몰루카해 · 토미니만 · 할마헤라해 · 세람해 · 반다해 · 아라푸라해 · 티모르해 · 플로레스해 · 보니만 · 발리해 · 마카사르 해협 · 자바해 · 사부해) · 동중국해 · 동해 · 말라카-싱카포르 해협(말라카 해협 · 싱가포르 해협) · 베링해 · 브리티시컬럼비아 연안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알래스카만 · 오호츠크해 · 캘리포니아만 · 타이만 · 태즈먼해 · 태평양(동태평양 · 서태평양 · 남태평양 · 북태평양) · 필리핀해 · 황해 | ||
대서양 | 기니만 · 대서양(남대서양 · 북대서양) · 라플라타 강 하류 · 마르마라해 · 멕시코만 · 발트해(보트니아만 · 핀란드만 · 리가만) · 북해 · 브리스틀 해협 · 비스케이만 · 세인트로렌스만 · 스카게라크 해협 · 스코틀랜드 연안 · 아이리시해 · 영국 해협 · 지중해(지브롤터 해협 · 알보란해 · 발레아레스해 · 리구리아해 · 티레니아해 · 이오니아해 · 아드리아해 · 에게해) · 카리브해 · 펀디만 · 흑해(아조프해) | ||
인도양 |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 라카디브해 · 모잠비크 해협 · 배스 해협 · 버마해 · 벵골만 · 수에즈만 · 아덴만 · 아라비아해 · 아카바만 · 인도양 · 페르시아만 · 홍해 | ||
북극해 | 그린란드해 · 노르웨이해 · 데이비스 해협 · 동시베리아해 · 라프테프해 · 래브라도해 · 링컨해 · 바렌츠해 · 배핀만 · 백해 · 보퍼트해 · 북극해 · 북서항로 · 추크치해 · 카라해 · 허드슨만 · 허드슨 해협 | ||
남극해 | 드레이크 해협 | ||
카스피해 | 카라보가스골만 | }}}}}}}}} |
인도양 印度洋 | Indian Ocean | |
<colbgcolor=#87ceeb><colcolor=#006994> 인도양의 영역 | |
분류 | 대양 |
위치 | 북위 29°~남위 60° 동경 34°~동경 43° |
인접 대륙 |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
길이 | 약 9,600km (동서) 약 7,600km (남북) |
수면적 | 약 7,056만 ㎢ |
평균 수심 | 3,741m(12,274 ft) |
최대 수심 | 7,290m(23,920 ft) |
1. 개요
인도양은 오대양 중 하나다. 총 면적은 73,430,000km²로, 한반도 면적의 약 330배에 달하는 바다다. 평균 수심은 -3,872m이며, 최대 수심은 -7,125m로 3대양 중에서는 가장 덜 깊지만 평균 수심은 대서양보다 깊다.[1] 가장 깊은 해구는 인도네시아 밑에 위치한 자바(자와) 해구이다.
북쪽은 아시아, 서쪽은 아프리카, 동쪽엔 인도네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가 있어 대서양, 홍해, 태평양과 구분된다. 인도양에서는 마다가스카르와 수마트라 섬 등이 가장 큰 섬에 해당하지만, 별로 크지 않아도 스리랑카와 몰디브는 유명한 편이다. 스리랑카와 인도 사이의 스리랑카 해협을 경계로 하여 서인도양과 동인도양으로 나누는 경우도 있다.
2. 특징
태평양, 북극해와 함께 아시아를 감싸고 있는 거대한 바다로, 그 면적은 3위에 해당한다. 인도양 교역은 동아프리카 스와힐리 도시부터 중동 그리고 인도까지 연결하는 매우 오래된 바닷길이다. 10~13세기 아프리카 짐바브웨에서 중국 도자기 파편이 발견되었었다는 기록이 남아있기도 하다.고대의 동서 교류 노선인 바닷길이 사실상 인도양에서의 해양 교역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15~16세기의 대항해 시대에 아메리카를 발견한 것도 사실 유럽인들이 인도로 오기 위해서 길을 찾던 중에 어쩌다 발견한 것이다. 서기 2세기경부터 중세 유럽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 사용되어 왔던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도에는 이 바다가 홍해처럼 폐쇄해역[2]으로 묘사되어 있었다.[3] 이로 인해 인도로 가는 새 항로를 찾는 사람들은 사실상 도박하는 심정으로 프톨레마이오스가 틀리기만을 빌며 수없는 시행착오를 겪으며 항해한 끝에 희망봉을 발견하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단 이건 인도양 중에서도 북부에 해당하는 이야기이고[4], 남아프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를 잇는 인도양 남부는 방대함도 방대함이지만 그 주변 대륙들의 인구밀도도 낮아 유인도도 많지 않고 항로나 해로도 거의 없는 말 그대로의 망망대해다. 덕분에 간혹 몇 개 보이는 섬들, 예를 들어 케르겔른 제도 같은 경우는 그야말로 지구 최후의 오지다.
매년 열대성 저기압인 사이클론이 발생해 인도와 방글라데시를 지나는데, 특히 방글라데시에는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대항해 시대 이후에는 태평양과 대서양이 인류의 양대 활동 대양(大洋)이 되었지만 20세기 중동에서 석유가 발견되어서 동아시아 국가들에게 특히 중요해진 바다다. 국가 기간 경제를 유지하려면 중동에서 생산되어 인도양을 거쳐 오는 유조선들의 보호가 필수적이다. 소말리아 해적들의 활동지역이다.
3. 인도-태평양
역사상으로 해상 교류의 중심이었고, 20세기 이후의 현대에는 석유 등 주요 에너지 자원의 수송과 직결되는 바다로서, 여전히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렇다 보니, 인도양을 아예 동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과 연결, 통합되는 단일 공간으로 규정하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를 '인도-태평양'(Indo-Pacific)이라고 부른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4. 여담
영국에서는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인도양을 자신의 앞바다로 생각한다. 미국이 대서양과 태평양을 끼고 있듯이, 영국은 대서양과 인도양을 끼고 있다고 생각하는 정서가 있으며, 실제로 영국령 영토 일부가 인도양에 존재한다. 이는 대영제국 시기의 향수에서 비롯된 것인데, 영국은 인도를 자국 본토처럼 여겼고, 인도양과 관련된 작품과 지인의 경험이 내재되어 있어 인도양에 대한 애틋한 정서로 발현된다. 그래서 영국 해군은 인도양을 자기 바다로 생각하며 예의 주시하고 있고, 인도양에 대해서는 영국이 강한 성명과 행동을 하는 편이다. 이 지역은 수에즈 운하,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싱가포르의 말레카해협 등 영국과 미국, 서유럽, 영연방과 홍콩, 대만, 중국, 일본 등 동양권을 이어주는 중요한 해상교역로이자 중동, 인도 등 다른 주요 문명권과 서구의 해양세력들을 이어주는 주요 교역 거점이다.[1] 대서양의 평균 수심은 -3,736m다.[2] 아프리카와 중국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 두 대륙이 인도양을 밑에서 에워싸고 있다고 생각했다.[3] 한참 전에 페니키아인들이 아프리카를 일주한 일이 있었고, 지도에도 한동안 대서양과 인도양이 연결되어 그려졌으나, 어느 순간부터 다시 폐쇄해역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다. 일부는 이를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소실 등의 이유로 사라진 것이라 추측한다.[4] 북반구 육지 위주의 지도로만 보면 인도양은 작아보인다. 구글 어스나 지구본으로 봐야 비로소 인도양이 3대양 중에 하나로 들어가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