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08:14:58

설강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99,#666666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29권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1. 개요2. 생애

1. 개요

薛強
생몰연도 불명

전진의 인물. 자는 위명(威明). 사주(司州) 하동군(河東郡) 분음현(汾陰縣) 출신. 서진의 상서우복야•기주(冀州) 자사 안읍공 설흥(薛興)의 손자. 양주(梁州) 자사 안읍공 설도(薛濤)의 아들.

2. 생애

어릴 적부터 원대한 포부와 군국(軍國)의 주략을 가슴 속에 품고 있었는데, 일찍이 북해(北海) 사람 왕맹과 뜻이 맞아 서로 친분 쌓게 되었다. 동진의 대사마 환온이 북벌하여 관중(關中)에 입성하자, 왕맹의 명성을 듣고는 갈색 두건을 쓰고 왕맹을 만나 물었다.
"강동에는 경과 같은 이가 없소. 진나라에 정말로 기이한 선비가 많다면, 경과 같은 자들은 몇 명이나 더 있는 것이오? 그런 자가 있다면 내가 남쪽으로 돌아갈 때 함께 데리고 가고 싶소."
왕맹이 답했다.
"공께서 난세를 수습할 자를 구하고자 한다면 저의 벗인 설위명(薛威明)이 이에 적합한 인물입니다."
환온이 말했다.
"그 자에 관해서는 이미 들은지 오래 되었소."
그리고는 명령을 내려 설강을 초빙하였다. 이를 들은 설강은 남산(南山)에서 내려와 환온을 알현하였고, 환온은 설강과 왕맹 모두 나란히 군자좨주로 삼았다. 환온이 야망을 가지고 있지만 끝내 실현하지 못할 것이라 판단한 설강은 이내 왕맹이 환온을 따라가는 것을 막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환온은 보급 문제를 겪다가 전진군에게 격파당해 강동으로 패주하였다.

영흥 원년(357년) 6월, 부견이 폭군 부생을 몰아내고 천왕에 즉위하자, 그의 조언자 역할을 하던 왕맹은 국정을 위임받았다. 왕맹은 양평공 부융에게 자신의 서신과 마차를 주고, 그를 보내 설강을 데려오게 하였다. 하지만 설강이 출사를 거부하니, 왕맹은 그의 고집을 꺾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그만두었다.

승평 2년(358년) 2월, 천왕 부견이 병주의 군벌 장평 토벌하기 위해 진군하면서 하동군을 경유하였다. 천왕 부견이 친히 수백 기를 거느리고 설강이 지키던 보루 앞까지 다가와 설강과의 접견을 구하자, 설강은 자신의 주부(主簿)를 내보내 부견을 책망하며 강개하게 선언하였다.
"이 성에는 항복할 신하는 없고, 단지 죽음으로써 절개를 지킬 장수만이 있을 뿐이다."
이에 전진의 장수들이 모두 보루를 공격하기를 청하자, 부견이 말했다.
"모름지기 내가 진나라를 평정해야만 그가 두 손을 뒤로 묶고 귀순하리라. 지금은 일단 그를 내버려둠으로써 임금을 져버리지 않는 충신들을 격려하겠다."
그로부터 25년 뒤, 부견이 동진 평정을 단행하다가 비수대전에서 패망하고 말았다. 설강은 종실의 정예병을 통솔하여 진천(陳川)에서 서연모용영을 격파하고 하동과 삼보 일대에서 위세를 크게 떨쳤다. 이를 들은 후진요장은 설강이 두려워 사신을 보내 예를 다하여 그를 초빙하고, 우광록대부, 진동장군, 칠병상서(七兵尚書)로 삼은 뒤에 작위도 내려 빙익군공(馮翊郡公)에 봉하였다.

황초 3년(396년) 말기, 서연의 하동태수 유공(柳恭) 등이 황하를 가로막는 바람에 진왕 요서(姚緒)가 이를 뚫고 지나가지 못하였다. 이에 설강이 군대를 이끌고 용문(龍門)에서 황하를 건너고, 포판(蒲阪)으로 들어가 유공 등의 무리를 모두 항복시켰다. 이후 설강은 좌호상서(佐戶尚書)로 전임되었고, 98세가 되던 해에 사망하였다. 사후 보국대장군•사도공(司徒公)으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선(宣)'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