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8 14:53:25

선우량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99,#666666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29권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1. 개요2. 생애

1. 개요

鮮于亮
생몰연도 미상

전연의 인물. 자는 경산(景山). 유주(幽州) 범양군(范陽郡) 출신.

2. 생애

초기에는 후조에 임관하여 천왕 석호를 섬기며 별장(別將)으로서 활동하였다.

함강 4년(338년) 12월, 후조군에게 패해 밀운산(密雲山)에 숨어있던 단료가 후조와 전연으로 각각 사신을 보내 항복을 청하였다. 천왕 석호는 정동장군 마추(麻秋)에게 30,000 군사를 주어 단료를 영접해오게 하면서 선우량, 양유도 같이 종군하게 하였다. 그러나 후조군은 진군하다가 삼장구(三藏口)에서 모용황이 보낸 태원공 모용각과 용기상시 황보진의 습격을 받고 대패하여 군대가 모두 흩어졌다. 대장인 마추는 말을 잃고 걸어서 이미 도망쳤으며, 선우량 또한 말을 잃은 채로 산을 오르다가 더 나아갈 수가 없게 되자, 멈추고 그 자리에 그대로 단정히 앉아 전연군이 오기를 기다렸다. 이윽고 전연군이 선우량의 주변을 동그랗게 포위하고 윽박지르니 선우량이 벌떡 일어나 소리쳤다.
"이 몸은 귀인이거늘, 어찌 소인에게 의(義)를 굽히겠느냐! 너희가 능히 죽일 수 있으면 얼른 죽이고, 죽일 수 없으면 여기서 떠나라!"
전연군은 선우량의 기세에 눌려 그를 어찌하지 못하고 돌아가 모용황에게 보고하였다. 이를 들은 모용황은 재빨리 사람을 파견해 선우량에게 말을 주어 영접하였다. 이후 선우량이 이르자 모용황은 그를 불러 대화를 나눈 다음, 매우 흡족해하며 좌상시(左常侍)로 삼고 최비의 딸 최씨를 선우량의 처로 주었다.

함강 8년(342년) 11월, 연왕 모용황이 친히 40,000 군사로 고구려 정벌에 나섰다. 선봉군을 이끌던 모용황의 서형 모용한이 먼저 고국원왕과 전투를 벌였고, 한창 전투가 벌어지고 있을 때 모용한의 뒤를 이어 연왕 모용황이 이끄는 후속부대가 도착하였다. 이때 선우량이 모용황에게 나아가 말했다.
"신은 포로 신분이었음에도 왕께서 국사(國士)로 대접해주신 이 은혜를 언젠가 보답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늘 하고 있었습니다. 오늘이 바로 신이 죽는 날입니다."
그러고는 자원하여 수십 기의 기병만 거느리고 돌격해 고구려의 진영을 돌파하였다. 이로 인해 고구려군은 크게 혼란스러워졌고, 이내 전연군이 총공격을 하면서 고국원왕은 대패하였다. 연왕 모용황은 승세를 몰아 고구려의 수도인 환도성을 함락시켰으나, 고국원왕의 동생인 고무가 전연의 별동대를 궤멸시키는 바람에 계획이 틀어져 회군하였다. 선우량은 전투에서 용맹하게 싸운 공적을 인정받아 전봉장군에 임명되었다.

영화 6년(350년) 2월, 연왕 모용준이 대군을 일으켜 후조 정벌을 선언하고, 선우량을 선봉으로 삼아 진군하였다. 선우량은 항상 선두에 서서 적군의 진영을 무너뜨렸고, 마침내 계(薊)를 떨어뜨려 후조의 장수 왕타(王墮)를 사로잡음으로써 그 위세와 명성을 널리 알렸다. 이때의 공으로 선우량은 양위장군으로 승진하였다가 장무(章武)태수에 임명되었다.

원새 5년(356년) 11월, 제군(齊郡)태수로 부임지가 옮겨졌고, 이후의 행적은 나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