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거제초등학교 | 거학초등학교 | 과정초등학교 | 남문초등학교 | 동명초등학교 |
부산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 연동초등학교 | 연미초등학교 | 연산초등학교 | 연서초등학교 | |
연신초등학교 | 연일초등학교 | 연제초등학교 | 연천초등학교 | 창신초등학교 | |
토현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nopad> |
학교 전경 |
<colbgcolor=#2e3192><colcolor=#fff> 부산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釜山敎育大學校附設初等學校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ffiliated Elementary School | |
| |
개교 | 1960년 5월 16일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국립 |
교장 | 이성주 |
교감 | 이O민 |
교훈 | 꽃과 노래와 웃음이 있고 땀과 애태움이 있는 학교 |
교화 | 개나리 |
교목 | 대나무 |
교조 | 까치 |
학생 수 | 560명[기준] |
교직원 수 | 33명[기준] |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동래교육지원청 |
주소 |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 24 (거제동) |
홈페이지 | |
<nopad> |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국립초등학교로 부산교대안에 있는 초등학교.2. 학교 연혁
- 2024년 2월 8일: 제 62 회 졸업식 (졸업생 112명)
- 2023년 3월 27일: 새아침(웹진1호) 창간
- 2023년 2월 10일: 제 61 회 졸업식 (졸업생 112명)
- 2023년 11월 28일: 송죽관 엘레베이터 설치
- 2021년 11월 3일: 캐주얼 데이 창립
- 2021년 9월 1일: 제14대 이성주 교장 취임
- 2020년 2월 21일: 제58회 졸업식(졸업생 112명)
- 2019년 9월 1일: 송죽관 내진 보강공사 (화제)
- 2019년 3월 28일: 전국 교대부설초 전반기 교장단 회의 개최
- 2019년 2월 21일: 제57회 졸업식(졸업생 111명)
- 2018년 8월 31일: 개나리관 내진 보강공사
- 2018년 3월 1일: 제13대 박시현 교장 취임
- 2018년 2월 21일: 제56회 졸업식(졸업생 112명)
- 2017년 10월 17일: 송죽관 주변 정비공사
- 2017년 2월 17일: 제 55 회 졸업식(졸업생 112명)
- 2016년 8월 20일: 송죽관 리모델링
- 2016년 2월 19일: 제54회 졸업식(졸업생 128명)
- 2015년 8월 20일: 파랑새관 리모델링
- 2015년 2월 17일: 제53회 졸업식(졸업생 128명)
- 2014년 9월 20일: 첨단 스마트교실(본관4층) 구축
- 2014년 8월 15일: 개나리관 실내 리모델링
- 2014년 8월 12일: 놀이터 시설 개보수 공사
- 2014년 2월 17일: 제52회 졸업식(졸업생 128명)
- 2013년 12월 16일: 돌봄교실 설치
- 2013년 9월 1일: 제12대 황세연 교장 취임
- 2013년 5월 9일: 제10회 '생각하는 수업'현장지원 워크숍
- 2013년 2월 15일: 제51회 졸업식(졸업생 128명)
- 2012년 6월 22일: 2012 전부련 교수,학습 방법 개선 워크숍
- 2012년 5월 8일: 제9회 '생각하는 수업' 현장지원 워크숍
- 2012년 2월 16일: 제50회 졸업식(졸업생 128명)
- 2011년 5월 18일: 부산바다사랑 통일 마라톤 대회
- 2010년 4월 29일: 제7회 '생각하는 교실' 현장지원 워크숍
- 2010년 2월 20일: 제48회 졸업식
- 2009년 9월 1일: 제11대 김남수 교장 취임
- 2009년 1월 5일: 운동장 놀이기구 구입 및 재배치
- 2009년 1월 5일: 88관 1층 교실 냉방 및 칸막이 공사, 송죽관 냉방기 설치공사
- 2008년 10월 3일: 잔디운동장 개장
- 2008년 8월 4일: 본관 교실 13실 전동스크린 및 LCD 프로젝트 이동 설치
- 2008년 8월 1일: 88관 멀티미디어실 재소성(컴퓨터, 모니터, 책상교체)
- 2008년 8월 1일: 88관 2, 3층 교실 냉방 및 연구실 칸막이 공사
- 2007년 1월 1일: 88관 엘리베이트 설치
- 2005년 9월 1일: 제10대 김성호 교장 취임
- 2005년 7월 1일: 본관 입주(1,3,6년), 디지털 도서실 이관 (본관)
- 2005년 4월 28일: 중국 항주 천장 소학교 교사단 본교 방문 및 자매결연
- 2004년 9월 3일: 디지털 도서실 개관(송죽관)
- 2003년 7월 8일: 본관 신축 기공식
- 2002년 3월 1일: 제9대 류재일 교장 취임
- 2001년 11월 1일: 파랑새관 급식실, 음악실 증축공사 준공
- 2001년 3월 2일: 부산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로 개칭
- 2000년 12월 1일: 88관 및 송죽관 증축 공사(교실 3칸,화장실 5개층,계단) 교육환경 개선 공사(과학실, 자료실, 미술실, 연결통로)
- 1999년 12월 1일: 강당 이동식 빔프로젝트 설치
- 1998년 10월 1일: 파랑새관 무대 및 조명 설치
- 1996년 12월 16일: 일본 가와이무라 소학교 본교 방문
- 1996년 12월 10일: 전국 학교 신문 콘테스트 금상 수상(새아침)
- 1996년 9월 1일: 제8대 박길홍 교장 취임
- 1996년 3월 1일: 부산교육대학교부속초등학교로 개칭
- 1996년 1월 20일: 어학실 설치
- 1995년 10월 14일: 시마네대학 부속국교 내교 (학생 8명, 교사 6명)
- 1994년 7월 14일: 송죽관 개관(4개 교실 및 2개 특별실)
- 1993년 12월 16일: 제1회 부국어머니 합창 발표회
- 1993년 6월 1일: KBS 신나는 날, 즐거운 날 녹화
- 1992년 9월 1일: 제7대 한기정 교장 취임
- 1991년 2월 1일: 일본 시마네 부속소학교 자매 결연
- 1990년 6월 1일: 학칙 변경 교육부 인가(24학급)
- 1988년 12월 15일: 88관 준공
- 1985년 12월 6일: 동관 8개 교실 개축 공사 준공
- 1985년 7월 16일: 제1회 여름학교 실시(1박 2일)
- 1984년 9월 1일: 제6대 천상묵 교장 취임
- 1984년 6월 1일: 컴퓨터 교실 개설(20대) 운영
- 1982년 12월 20일: 파랑새관 준공
- 1981년 3월 17일: 학교 영양 급식 실시
- 1980년 11월 4일: 제1회 전국 테니스 대회 1위
- 1977년 5월 1일: 제5대 정정봉 교장 재취임
- 1975년 2월 20일: 2개 교실 증축 및 체육 창고 건립
- 1974년 3월 1일: 제4대 윤경혁 교장 취임
- 1973년 11월 4일: 전국 축구대회 우승
- 1967년 6월 1일: 제3대 정정봉 교장 취임
- 1965년 3월 1일: 제2대 지한웅 교장 취임
- 1963년 3월 1일: 부산교육대학부속국민학교로 개칭
- 1961년 4월 1일: 새아침 창간호 발간
- 1960년 5월 16일: 초대 김두성 교장 취임
- 1960년 5월 16일: 부산사범부속국민학교 분교로서 개교
3. 교훈 및 상징
- 출처: 부산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홈페이지
3.1. 교표
3.2. 교가
1절
흰구름 넘나드는 금정산기슭
그 옛날 큰새들이 깃을 치던 곳
즐거운 보금자리 슬기로운 배움터
우리는 자라나는 나라의 새싹
찬란히 꽃피우자 교대 부설초
2절
동트는 새 아침에 희망을 안고
저 언덕 바라보면 힘이 솟는다
저 멀리 푸른하늘 날라가자 파랑새
우리는 자라나는 나라의 새싹
찬란히 꽃 피우자 교대 부설초
흰구름 넘나드는 금정산기슭
그 옛날 큰새들이 깃을 치던 곳
즐거운 보금자리 슬기로운 배움터
우리는 자라나는 나라의 새싹
찬란히 꽃피우자 교대 부설초
2절
동트는 새 아침에 희망을 안고
저 언덕 바라보면 힘이 솟는다
저 멀리 푸른하늘 날라가자 파랑새
우리는 자라나는 나라의 새싹
찬란히 꽃 피우자 교대 부설초
4. 학교 특징
장애인은 특별 전형으로 들어 갈 수 있다. 생각보다 전학을 가는 사람이 많다. 그러니 한번 대기를 넣어보는 것을 추천한다.매 학기마다 교대의 실습생, 즉 교생 선생님 (1학년에서 4학년) 들이 매 학년 각 반에 4명씩 오셔서 약 1주일에서 2주일동안 실습을 하다가 간다. 2023년도 전에는 교생선생님들이 4명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닌 4명보다 더 많이 오시셨고, 교생 실습주간이 11주가 아닌 12주 였다.
5. 학교 시설
송죽관, 개나리관, 파랑새관, 본관 등 많은 시설들이 있다. 참고로 개나리 관은 88관이랑 같은 관이다.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으로는 지하철과 버스가 있다. 지하철은 동해선 교대역, 1호선교대역, 사직역 이 존재하고, 버스역은 법원 후문역, 교대역, 동해선교대역, 부산연제우체국역, 교대후문 역 등이 있다.6.1.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c1d1f> 법원후문(13126·13127) ||
일반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c1d1f> 교대역(13003·13005·13701·13702·13703·13713) ||
일반 |
6.2. 도시철도
당연히 1호선교대역이 있으며,사직역과 종합운동장역도 있다.또한 동해선 교대역(부산) 이 있으며 거제역 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