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23:18:15

남문초등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연제구 CI_White.svg 부산광역시 연제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거제초등학교 거학초등학교 과정초등학교 남문초등학교 동명초등학교
부산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연동초등학교 연미초등학교 연산초등학교 연서초등학교
연신초등학교 연일초등학교 연제초등학교 연천초등학교 창신초등학교
토현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nopad> 파일:남문초전경.jpg
학교 전경[1]
<colbgcolor=#2e3192><colcolor=#fff> 남문초등학교
南門初等學校
Nammun Elementary School
파일:남문초로고.png
개교 2002년 3월 1일
성별 남녀공학
형태 공립
교장 김종명
교훈 고운 심성을 지닌 어린이
교화 동백꽃
교목 느티나무
학생 수 1,022명[기준]
교직원 수 57명[기준]
관할 교육청 부산광역시동래교육지원청
주소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북로 23 (거제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nopad>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
3.1. 교목 및 교화3.2. 교가
4. 시설
4.1. 1층4.2. 2층4.3. 3층4.4. 4층4.5. 5층4.6. 그 외(옥상과 지하)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5.2. 도시철도
6. 여담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 2002년에 개교하였다.

이름은 옛 성터인 남문성에서 따왔다.

2. 학교 연혁

3. 학교 상징

3.1. 교목 및 교화

교목교화
느티나무동백꽃[4]

3.2. 교가

남문초등학교 교가
찬란한 아침 햇살 솟아오르고
푸른 숲 밝은 향기 피어오르듯
새롭게 자라나는 우리 여기에
옛성의 높은 기상 갈고닦아서
고운 꿈 펼치리 남문 어린이
영원히 빛나리 우리 남문교

4. 시설

4.1. 1층

파일:남문초등학교1층.png
남문초 건물의 1층이다.

4.2. 2층

4.3. 3층

4.4. 4층

4.5. 5층

4.6. 그 외(옥상과 지하)

2021년에 옥상을 단장하고 5,6학년들에게 개방했다. 현재는 6학년만 출입 가능하다. 화, 목에는 5학년도 출입 가능하다.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191919> 남문초.연제우체국(13135·13140) ||
일반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191919> 여명중학교(06132·06133) ||
일반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191919> 창신초등학교(13019·13143) ||
일반

5.2. 도시철도

6. 여담

파일:남문초1.png [20]
* 1학년, 3학년과 5학년(홀수 학년)의 1반과 2반은 벽 한쪽에 있고 미닫이문 하나로 더 분리되어 있다. 접근성이 조금 떨어지긴 한데 크게 상관은 없다. 보다시피 화장실이 남성에게 비교적 불리한 배치이다. 사실 몇 걸음 차이라 크게 차이는 없다.

[1] 최소 2019년 이전의 사진이다. 2019년에 손이수 교장이, 이쪽을 바라보는 면의 5층에 '남문초등학교' 글자를 새겨 넣었고, 2020년에 건물을 대대적으로 새로 도색하였다.[기준] 2024년 3월 1일[기준] [4] 상단의 정보 표시란에 있는, 남문초등학교의 로고에도 있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잘 살아남는다고.[5] 이제는 반 대상의 신발장이 전 교실 복도-교실을 잇는 벽에 박혀 있어(2019년의 대규모 공사) 그것을 주로 사용한다.[6] 정자는 2021년에 말끔하게 새로 고쳤다.[7] 그래서 1학년 7반이 있을 경우 동떨어져 2층에서 수업한다.[8] 특히 점심시간에 사람이 굉장히 많아 놀이는 잘 된다-어지러워서 숨기 쉽기 때문.[9] 돌아가면서 1학년 중 한 반은 자기 반에서 배식받는다.[10] 3, 4, 5, 6학년은 각 반의 교실에서 식사한다.[11] 보건쌤이 싸가지가 없어서이기도 한다. 아프고 가면 아프면 병원이나 가라는 식으로 얘기한다.[12] 2020년 이전만 해도 시민의 방역 수준이 낮아서, 독감 걸렸음에도 당당히 마스크도 안 끼고 학교에 나왔다. 그러다가 5~10명이 조퇴하고 감염되었지만... 이미 말했듯이 이런 몰상식한 행동은 코로나19 이후 씻은 듯이 없어졌다.[13] 상당히 멀다. 역에서 내려 10~15분 가량 걸어야 한다.[14] 국제중학교에 가거나, 누나나 쌍둥이가 남녀공학에 가면 가끔 남자도 같이 붙여 주는 사례도 있기 때문에 100%는 아니다.[15] 예로 한 반에 3명의 전학생이 오는 경우[16] 명문 여명중학교로 확정적으로 갈 수 있는 남문초로 오려는 것이다.[17] 아직 남아있다.컴퓨터가 사라졌을 뿐[18] 300점. 저학년의 경우 굉장히 쉽고(저학년은 다들 학부모가 영어를 시키기도 하고 다들 학원을 다니기보다는 리딩게이트와 방과후 등 자율학습으로 때울려고 한다.) 고학년이라도 꾸준히 하는 친구 3~4명만 있어도 충분히 달성한다.[19] 그러니까 하루에 100포인트 정도를 했다는 셈. 생각보다는 쉬운데, 2B 레벨(평균 10점)이 대부분 10분 내에 끝난다는 것을 감안하면 2시간도 안 걸린다.[20]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21] 품절도 많이 된다.[22] 요즘은 장사하는모습이 거의 안보인다.[23] 여느 학교가 그렇듯이 5월에 주최하는데 그 이유는 5월이 과학의 달이기 때문.[24] 다보탑석가탑에 가며 불국사 안을 돌아다니며 숨겨진 이스터에그를 찾는 미션을 주기도 한다. 참고로 무슨 목판 뒤에 멧돼지? 그거 있을 것이다.[25] 부산교육청 예하 학교에 재학 중인 모든 초6 학생들이 가야하는 곳이기 때문에 특이한 사항은 아니다.[26] 가면 재판을 보기도 하는데 아닌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27] 월요일에 공휴일 등이 있어서 휴교했을 때는 그 주에 첫 번째 등교한 날.[28] 주로 여학생.[29] 6학년의 경우 34명에 달하기도 한다.[30] 농구, 축구, 외발자전거[31] 영어, 한국사, 수학[32] 피아노, 클라리넷, 성악[33] 큐브, 로봇, 컴퓨터[34] 실제로 클라리넷, 피아노, 성악 등 아주 많은 방과후를 6년 동안 다닌 한 친구가 결국 성적 하위권으로 나락간 예시가 있다. 클라리넷 아마추어 수준으로 배워봤자 중학교나 고등학교 가서 음악 성적에 얼마나 도움되겠는가?[35] 농구는 강당, 축구는 운동장, 외발 자전거는 후문의 남이마당, 영어 방과후는 영어실 등.[36] 근데 그 정식 사이트라는 게 "짱쌤의 큐브교실"이라는 곳에서 운영하는데, 책은 좋지만 사이트는 큐브 덕후들에게는 절대 기피 대상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큐브 전문 카페나 커뮤니티에 물어봐서 값싸고 품질 좋은 사이트를 찾자.[37] 남문초 뿐만 아니라 주위의 창신초같은 학교들에도 배정이 되지만, 워낙 학생의 수가 많은지라 주위 학교들에 배정을 한다 하더라도, 통학구역 조정은 불가피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