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9:43:21

배두나/커리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배두나

파일:배두나 서명 화이트.png
[[배두나|배두나
{{{#!wiki style="font:11pt Times"
]]

[ 출연 작품 ]
||<#e8b7b0><-4>
MOVIE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ing-Virus-poster.jpg
파일:플란다스의 개-봉준호.jpg <#ff0000> 파일:영화 청춘 포스터.jpg <#000> 파일:external/file.koreafilm.or.kr/DPK05507A_01.jpg

박은서
1999

박현남
2000

서남옥
2000

유태희
2001
파일:external/img.movist.com/45_p3.jpg 파일:영화 굳세어라, 금순아 포스터.jpg 파일:external/9b6a3e6454a26463a5395bb1d9fb54c390862776f6ff4eca243a199980622731.jpg 파일:영화 봄날의 곰을 좋아하세요 포스터.jpg

영미
2002

금순
2002

송인경
2003

정현채
2003
파일:attachment/Linda_Linda_Linda.jpg 파일:external/7cd34792f0ecc83f3f85ceb1b87438bb51509707b9423d947b53b13cc70a73a9.jpg 파일:영화 공기인형 포스터.jpg 파일:영화 코리아 포스터.jpg


2005

박남주
2006

노조미
2009

리분희
2012
파일:external/oneringtrailers.com/100059ZWIWCSE7NF.jpg 파일:external/b25548e5c8a0017b3f4f1d26927a4f10cc9c6cc108edb2fca75c5dc777c6a971.jpg <nopad> 파일:external/ia.media-imdb.com/MV5BMTQyNzk2MjA2NF5BMl5BanBnXkFtZTgwMjEwNzk3MjE 파일:df687e742f830ae7cf8e229a32ce47b27d566191.jpg

손미-451/마틸다
2010

이영남
2013

라조
2015

세현
2016
파일:마약왕 배두나.jpg 파일:Persona_IU_poster.png 파일:아이엠히어 포스터.jpg <#b0c4de> 파일:브로커 메인 포스터 1.jpg

김정아
2018

두나
2019


2021

수진
2022
파일:다음 소희 - 포스터.jpg <#000> 파일:Rebel Moon - Part One Poster.jpg 파일:레벨 문 - 파트 2: 스카기버 공식 포스터.jpg

유진
2023

네메시스
2023

네메시스
2024
DRAMA
파일:attachment/school1.jp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000> 파일:project-3_14_vertical.jpg 파일:RNA 포스터.jpg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배두나
1999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블랙.svg

표루나
2000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블랙.svg

이미나
2000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박세미
2000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위풍당당그녀 포스.png 파일:로즈마리 세로 포스터.jpg 파일:떨리는가슴 세로 포스터.jpg
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함춘봉
2000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이은희
2003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신경수
2003
파일:MBC 로고(2005-2011).svg

배두나
2006
파일:썸데이 포스터.jpg 파일:완벽한 이웃을 만나는 법 세로 포스터.jpg 파일:공부의 신 세로 포스터.jpg 파일:attachment/glra.jpg
파일:OCN 로고(2001-2020) 화이트.svg

야마구치 하나
2006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

정윤희
2007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한수정
2010
파일:MBC 로고(2005-2011).svg

나진진
2010
파일:external/oneringtrailers.com/100440R4YQ6TW20E.jpg 파일:XJBWN5ZE1UGD46TS5QNK.jpg 파일:센스8 시즌2 포스터.jpg <#57a49a> 파일:센세이트.jpg
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

박선
2015
파일:tvN 로고(2012-2021) White.svg

한여진
2017
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

박선
2017
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

박선
2018
width=100% 파일:Kingdom-Poster-korean-dramas-41898967-540-799.jpg 파일:1583197067-esi72suuuae32em.jpg 파일:비숲2_배두나.jpg
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강휘루
2018
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

서비
2019
파일:넷플릭스 로고 블랙.svg

서비
2020
파일:tvN 로고(2012-2021) White.svg

한여진
2020
파일:고요의 바다 캐릭터포스터_송지안.jpg <#000> 파일:가족계획 캐릭터 포스터 영수.jpg
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

송지안
2021
파일:쿠팡플레이로고(2024).webp

한영수
2024
[ 참여 음반 ]
||<#e8b7b0><-4>
O.S.T.
||
파일:광끼 ost 표지.jpg
파일:고양이를 부탁해 ost 표지.jpg
파일:린다린다린다 ost 표지.jpg
파일:공기인형 ost 표지.jpg
[[광끼|
광끼 O.S.T.

생각나니
]]
OST

2000.
[[고양이를 부탁해|
고양이를 부탁해 O.S.T.

갈 곳 없는 아이들
동행
]]
OST

2001. 10. 29.
[[린다린다린다|
린다린다린다 O.S.T.

リンダリンダ
僕の右手
]]
OST

2005. 7. 20.
[[공기인형|
공기인형 O.S.T.

水の線路
]]
OST

2010. 4. 20.
파일:글로리아 ost part1.jpg
파일:글로리아 ost part4.jpg
[[글로리아(드라마)|
글로리아 O.S.T. Part1

글로리아 (Club ver.)
]]
OST

2010. 8. 6
[[글로리아(드라마)|
글로리아 O.S.T. Part4

바보랍니다
Ready To Fly (Feat. 정재윤)
]]
OST

2010. 11. 12.
미니 앨범
파일:파란마음 앨범 커버.jpg
We Are Paranmaum

미니 앨범

2006. 4. 21.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width=10000><tablebgcolor=#e8b7b0> 커리어 ||<width=33%> 화보 ||<width=33%> 특별전 ||

1. 개요2. 커리어
2.1. 1998년 ~ 1999년2.2. 2000년 ~

[clearfix]

1. 개요

배우 배두나의 커리어를 서술한 문서이다.

2. 커리어

2.1. 1998년 ~ 1999년

18살이던 1998년 3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 거리에서 패션 모델로 길거리 캐스팅되어 잡지 전속 모델로 처음 등장했다. 쿨독뿐만 아니라 'MK', '꼼빠니아', 'I.N.V.U', '개그' 등 잘나가던 브랜드 카탈로그엔 모두 등장했을 정도로 센세이션한 등장이었다.

다수의 카탈로그에 얼굴을 드러냄과 동시에 패션잡지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모았다. '유행통신', '키키', '레이디경향'과 같은 10대 청소년들이 주 고객이었던 영 패션지와 '바자', '마리끌레르', '붐'과 같은 월간 패션지의 표지나 패션 모델로 등장하며 선풍적인 인기를 입증하였다. 피가로 인터뷰에선 이런 다양한 패션지에 등장할 수 있었던 이유가 고착되지 않은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능력이 있었기 때문이라 하였다.
곧이어 TV CF와 뮤직비디오에서도 활발한 행보를 이어나갔다.

1999년 KBS 드라마 《학교》에서 반항적인 아웃사이더 캐릭터인 배두나로 출연하여, 기존의 여배우들에게 볼 수 없는 신비스럽고 독특한 분위기의 배역으로 크게 주목을 받았다. # 처음부터 비중있는 역할은 아니었지만 7화 이후 배두나가 극을 주도하여 끌고나가는 주인공의 면모를 톡톡히 보였다. 에꼴 인터뷰에서 밝히기로는 부담이 컸다고 했지만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줘 성공적인 데뷔를 치렀다. 인상적인 캐릭터의 비화에는 배두나의 연기 스타일도 한 몫을 했다. 캐릭터 속에 '자연스럽게 배두나라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려고' 연기를 했다고 한다.

영화 데뷔작은 의외로 일본의 유명한 공포 영화링 시리즈》의 한국판 리메이크야마무라 사다코 역. 한맥영화와 AFDF가 공동제작한 한일합작 영화다. 극 중 배두나는 자신의 비극적인 죽음에 대한 저주를 비디오테이프에 링 바이러스로 전이시켜놓는 인물이다. '죽음의 비디오테이프'에 관한 열쇠를 쥐고 있는 여인 역할. 《학교》보다 앞서 촬영한 첫 연기 작품이라 신인에게 표정, 분위기로 캐릭터를 표현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겼다. 하지만 걱정이 무색하게 반항적인 듯하면서도 우수가 깃들인, 한마디로 설명할 수 없는 그녀만의 독특한 분위기가 배역과 너무나 잘 맞아떨어진다는 평이 있었다.

여러 작품에서의 등장으로 배두나의 인기는 더욱 치솟았다. 힙한 바지의 헝클어진 머리. 일명 '두나 스타일'이 10대 청소년들 사이에 문화처럼 번져나가며 잡지 모델로서의 입지를 더욱 다졌다. 거기에 4~5개의 CF와 SBS 라디오 '배두나 김승현의 10!10!클럽' 진행을 맡아 청소년들의 고민상담을 해주고, 연달아 《광끼》에 캐스팅 되어 '질주하는 신세대'의 모습을 보였으며 청춘스타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그리고 이 해 《학교》와 《광끼》로 KBS 신인 연기상을 수상했다.

2.2. 2000년 ~

청춘스타의 인기를 이어나가던 중 봉준호 감독의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2000년)에서 주연으로 발탁됐다. 오디션장에서 졸고 있는 모습을 본 봉감독이 캐릭터 그대로라고 생각해 뽑았다는 뒷이야기가 유명하다. 《플란다스의 개》연기를 위해 출연하던 드라마, 음악캠프 MC, 라디오 DJ 모든 것을 그만 뒀다.
이 작품에서의 인상적인 연기로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했다.

드라마 데뷔작인 《학교》, 《광끼》 이후에는 김민희와 함께 미니시리즈 《성난 얼굴로 돌아보라》, 주말 시트콤 《사랑의 유람》에 조연으로 출연하여 연기 입지를 다지던 중 공포스릴러 《RNA》에 캐스팅 되었다. 《RNA》에서 머리카락이 위로 치솟는 기괴한 비주얼로 공포를 자극하며 화제를 모았다. 인터뷰에서 배두나가 밝히기로는 'RNA에 출연하는 장면이 90%가 될 정도로 작가선생님이 아예 저(배두나)를 염두에 두고 작품을 만드셨다고'한다.

같은 시기 지금은 고인이 된 곽지균 감독의 영화 《청춘》을 찍었다.[1] 2001년에는 쇠락한 인천항을 배경으로 어른이 되어가는 소녀들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그린 《고양이를 부탁해》를 찍었는데, 또래의 배우들인 이요원, 옥지영과 쓰리탑으로 열연하며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영화 자체도 해외 영화제에서 수상하는 등 큰 호평을 받았다. 이후 본격적으로 주조연을 넘나드는 다작 활동을 시작하여, 2002년에는 박찬욱 감독의 복수 3부작의 첫번째 작품인 《복수는 나의 것》에서 주인공인 무정부주의자 '영미' 역을 맡아 송강호신하균에 밀리지 않는 강력한 존재감을 보여주었다. 박찬욱 감독은 "카메라를 들이댈수록 배두나의 얼굴이 흥미로워서 계속 분량을 늘리고 싶었다"고 언급. 베드신이 평화로워보일 정도로 충격적인 장면이 즐비한 영화라, 이때부터 웬만한 작가주의 감독에도 맷집이 생긴 모양이다. 이후 봉준호 감독의 《괴물》에서 괴물과 사투를 벌이는 양궁 국가대표 '남주' 역할을 맡아 열연했고, 이 영화는 천만 관객을 동원해 흥행에도 성공한다. 배우 본인은 고소공포증이 있는데 바닥이 훤히 보이는 한강다리를 왔다갔다해서 크게 고생했다고 한다. 이 시기 용이 감독의 영화 《봄날의 곰을 좋아하세요?》에도 출연해, 당시 인기스타였던 김남진과 함께 로맨틱한 사랑의 감정을 연기했는데 이 영화는 윤종신이 OST를 맡아 뮤직비디오로도 화제가 되었다.
이후 신성우, 강동원의 사랑을 받는 귀엽고 명랑한 캐릭터를 연기한 로맨틱 코미디 《위풍당당 그녀》로 흥행하였다. 송지나 작가가 극본을 맡은 《로즈마리》에서는 시한부 아내를 둔 남자를 사랑하는 역할을 연기했으며 《완벽한 이웃을 만나는 법》에서는 덜렁이 재벌가 비서로 등장했는데 메인(김승우 분)이 아닌 서브남주(박시후 분)랑 맺어져버려 화제가 됐다. 《공부의 신》에서는 문제아 학생들의 선생님 역할을 맡아 유승호, 고아성 등 당시의 아역배우들과 조화를 이루며 노련한 연기를 보여주었다. 물론 이 시기 흥행하지 못한 작품도 매우 많다. 드라마 '굳세어라 금순아', '글로리아', 영화 코리아 등등. 배우 본인은 예능 '무릎팍 도사' 에 출연해 비주류적인 작품 지향성이 고민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2012년 코리아 개봉 당시 씨네21 김혜리 기자, 고현정 배우와 했던 인터뷰에 안주하기보다는 대중보다 반 발짝 앞서가는 모험을 지향하고, 담담하면서도 진실된 연기를 추구하는 배우 본인의 연기관이 잘 드러나 있는데, 인터뷰어도 보통 분은 아니신지라 동종업계 직업인으로서의 애환(?)도 깊이 담긴 재미난 인터뷰다.

일본에 진출한 것은 2005년에 일본 영화린다린다린다》에서 한국인 유학생 '송'역으로 출연하면서부터. '괴물'을 본 야마시타 노부히로 감독이 출연 제의를 해와서, 노래를 못한다고 거절했더니 못할수록 자연스러우니 좋다고 하여 출연하게 됐다고. 이 영화는 문화제 공연 장면 외에도 교실 장면 등이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에서 그대로 오마쥬가 되는 등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데뷔 전부터 하이텔의 일본 대중문화 동호회[2]에서 활동하는 등 일본 문화에 친근한 태도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이 자연스럽게 일본 진출로 이어지게 된 것. 데뷔작 《》이 일본 영화의 리메이크[3]였던 것을 비롯해서, 린다린다린다에서는 한국인 유학생으로 출연, 드라마 《썸데이》에서는 재일교포 야마구치 하나 역을 맡았으며, 밴드 Every Little Thing뮤직비디오에 출연하거나 '도쿄놀이' 사진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특히 2009년 일본의 거장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공기인형》에서 사람이 된 더치 와이프 노조미 역을 맡았는데, 이 작품이 칸 영화제에 초청받으면서 화제가 되어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으며[4] 같은 작품으로 동경스포츠영화대상과 타카사키영화제에서도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면서 연기력으로 인정받는 전환점이 되었다. 본인 인터뷰로는 인형을 의도적으로 연기한 건 아니라는데, 눈동자 움직임까지도 통제하는 휠체어 외출씬[5]에서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 본 영화 외 그녀의 자세한 수상 목록은 위키 영문판에 가장 정확하게 실려있으니 참고하자.# 이후 2011년 9월, 매트릭스 시리즈로 유명한 워쇼스키 자매의 《클라우드 아틀라스》에서 주역[6]으로 캐스팅되면서 느닷없이 헐리우드로 진출하게 된다. 워쇼스키 자매가 공기인형에 출연한 배두나의 모습을 보고 관심을 갖게 되어, 《클라우드 아틀라스》의 대본을 보내 준 뒤 짧은 연기 동영상을 찍어 보내달라고 요청했고, 그 동영상으로 캐스팅되었다고 한다. 미국에서 2012년 11월 26일에 개봉했으며, 한국에서는 2013년 1월 10일에 개봉했다.[7] 중간에 백인 및 멕시코인으로 나온 모습이 눈길을 끄는데, 이 영화는 환생이 테마라서 모든 배우들이 챕터별로 다른 인종 심지어 다른 성별로 변신하는 영화다.IMDb 이 작품 이후에도 워쇼스키 자매와의 인연은 계속되어, 《주피터 어센딩》에 이어 넷플릭스 드라마 Sense8에서도 협업하였고, 클라우드 아틀라스 이후에는 오디션 없이 미리 낙점되어 있었다고 한다.

한동안 해외 위주의 활동을 하다 2014년에 국내로 복귀해 찍은 영화 《도희야》에서는, 학대받는 어린 소녀 도희(김새론 분)를 구해주면서 교감하게 된 정의롭지만 어딘가 위태로워 보이는 경찰 영남을 연기해 아시안필름어워드 여우주연상(2015), 춘사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고, 김새론과 배두나가 나란히 백상예술대상에 노미네이트 되기도 했다. 시나리오를 읽은 지 5분만에 이건 영화관에서 봐야된다고 결심하여, 노개런티로 출연.[8] 이후 이 영화가 칸 영화제에 초청받게 되자 뛸 듯이 기뻤다고. 똑같은 엘리트 경찰[9]이지만 한여진과는 거의 정반대의 캐릭터로서, 배우 특유의 참고 참고 또 참는데 관객에게는 내적빅뱅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절제된 연기의 진수를 보여주므로 팬이라면 필견이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워쇼스키 자매가 연출을 맡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Sense8에 출연하여, 8명의 센세이트 중 하나인 박선 역할로 팬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낮에는 투자회사 CFO, 밤에는 격투기 파이터로 드라마 내에서도 버프를 많이 받은 캐릭터라[10] 드라마 자체의 진입장벽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외의 해외에서도 상당한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

센스8을 찍는 사이사이 국내에서도 여러 작품을 찍었다. 2016년에는 김성훈 감독의 신작 《터널》에서 하정우, 오달수와 함께 호흡을 맞췄으며, 하정우의 원탑작품임에도 그녀의 사실적인 연기는 호평을부기영화 아카이브 받았다.[11] 하정우와 서로 전화하는 씬은 서로 떨어진 장소라서 보통은 꼭 본인이 하지 않아도 되지만 몰입을 위해서 항상 배우 본인들이 서로 상대했는데, 센스8을 찍느라고 베를린에서 이동중에 상대방 전화를 받고 연기해주었다고. 이 작품으로 김성훈 감독과 인연이 되어 넷플릭스 킹덤에서 다시 만나게 되었다.

2017년에는 tvN 장르물 드라마 《비밀의 숲》에 출연하여, 정의롭고 인간미 넘치는 경찰 한여진 경위를 연기했다. 당초 '열혈 형사'로 요약되는 스테레오타입으로서 주인공을 보조하는 캐릭터였지만, 이를 직업적으로 유능하고 눈치빠르며 신뢰받는 '동료'[12]로서 개성 넘치는 캐릭터로 그려내서 극에 생명력을 불어넣었다는 호평을 받았다.# 이 드라마는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등 큰 화제가 되었고, 배우에게도 시즌2로 이어지는 대표 캐릭터가 되었다. 넷플릭스에서 비밀의 숲 판권을 구입한 계기가 바로 배두나 때문이었다고. 그 해에 이와이 슌지 감독이 제작한 단편영화 '장옥의 편지' 에도 출연하여 김주혁과 공연하였다. 일본 감독이 한국 대가족을 그린 시나리오를 쓴 것이 특이한데, 네슬레 시어터라는 이름으로 네슬레가 제작비를 지원한 것이라서, 유튜브에 풀려 있다.

센스8 종영후 2018년 일드 리메이크작인 최고의 이혼을 찍었다. 주인공인 휘루는 언뜻 4차원이지만 사실은 가장 멘탈갑인 인물로, 작가의 버프를 받아 실컷 울고 실컷 웃으면서 사랑스러움을 유지하는 캐릭이니 팬이라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특히 배두나의 강점인 자연스러운 생활연기가 빛을 발하는 작품.

2018년 12월에는 내부자들의 우민호 감독 송강호 주연의 영화 마약왕이 개봉했는데, 이 영화에서 로비스트 김정아 역을 맡았다. 영화는 이만한 드림팀 꾸려서 이만큼 말아먹기도 어려웠겠다는 혹평을 받으며 대차게 망했다. 각본상 인물들의 행동에 개연성이 너무 없어서 송강호의 '약 빤 연기(물리)'만 남았다는 평이다. 2019년 아이유의 영화 페르소나[13]에 출연하였다. 공짜로 테니스 배울 수 있어서 덥썩 받았다는데, 사실은 이경미 감독과는 언제든 협업하고 싶다고 인터뷰.

2019년 1월 25일 공개된 넷플릭스의 킹덤에서 의녀 서비 역할을 맡으며 최초로 사극에 도전했다. 씨네21 인터뷰에 따르면 상층부와 하층부를 이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이고 시즌제 드라마라 어떻게 되어도 말이 되도록 연기하고 있다고. 그런데 오픈 후 때아닌 연기력 논란이 일고 말았다... 대사 처리에 현대어투와 사극어투가 섞여서 이도저도 아니게 되어버렸다는 비판이 있었다. 어차피 정통사극도 아닌데 별로 거슬리지 않았다는 의견도 있으나, 싫어하는 사람들은 매우 싫어하는지라 호불호가 갈렸다. 당연히 발연기는 아니었지만 사극에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가.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시즌 1 개봉 후의 본인 인터뷰 및 김성훈 감독의인터뷰와 주지훈 배우의 인터뷰 참조.

2019년 킹덤 촬영 중에 프랑스 영화 《#아이엠히어》를 찍었다. 프랑스 셰프가 인스타에서 미스터리의 한국인을 알게 되고, 그녀를 만나기 위해 한국에 와서 벚꽃 피는 서울의 구석구석을 열흘 동안 헤멘다는 내용. 영화 #아이엠히어 이 영화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2020년 내내 개봉하지 못하였고, 2021년 1월에야 정식으로 개봉할 수 있었다.

2019년 하반기에는 킹덤 시즌 2의 촬영을 마무리하고 곧바로 강이관 감독의 첫 상업영화 《바이러스》를 김윤석 배우와 함께 촬영했다. 그런데 직후 코로나 때문에 개봉일자가 오리무중인 상태다. 2020년 8월 15일 비밀의 숲 2에서 한여진 경감으로 다시 돌아왔다. 검경수사권 대립이라는 지극히 정치적인 주제임에도 동시간대 시청률 1위 및 넷플릭스 탑1을 유지하며 순항하였다. 주제가 검경대립이다 보니, 전편보다 대사 분량도 상당히 늘고 여진의 비중이 거의 시목과 대등하게 올라서서 팬들은 대만족이다. 이후 곧바로 정우성 제작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고요의 바다 촬영에 들어갔다. 본 작품은 흔치않은 우주배경 SF 호러인데다가 봉준호 감독과 함께 《마더》의 각본을 맡았던 박은교 작가의 시나리오라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8개월의 장기간 촬영을 마치고 2021년 3월 31일 크랭크업한 상태이며 연말 공개 예정. 이로써 무려 네 작품째 넷플릭스 오리지널에 출연. 캐릭터인 송지안 박사는 과학자로서의 탐구심이나 추진력, 윤리의식이라는 면에서 전작 킹덤의 서비를 떠올리는 팬들도 많겠지만, 대인기피의 시니컬한 성격의 엘리트가 생체실험의 대상으로 학대받던 복제인간 루나와 교감을 이루는 부분에서 도희야의 이영남 소장을 바로 떠올린 팬들이 많다. 2021년 12월 24일 오픈한 고요의 바다는 비록 1월 2일까지의 짧은 기간이었지만 넷플릭스 TV 부문 비영어권 세계1위를 찍는 좋은 성적을 거뒀다.

2021년에는 이제는 황금종려상 수상자가 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과 다시 만나, 첫 한국영화 '브로커'에 송강호, 강동원과 함께 출연한다. 전작 공기인형 때부터 배우에게 극찬을 아끼지 않았던 감독인지라, 다음 작품엔 꼭 사람 시켜주겠다고 약속했었다고. 워낙에 송강호와 고레에다의 만남이라는 희대의 조합인지라, 국내외에서 화제가 되었다. 2021년 4월 14일에 크랭크인 했고, 6월에 촬영을 종료하여 후작업에 들어갔다. 전작인 ‘고요의 바다’ 촬영이 끝난 직후 바로 들어간 셈이니 쉬지 않고 일하는 배우임을 알 수 있다. 영화 '브로커' 이로써 송강호와는 4번째 작품.[14]

2022년 1월 16일 '도희야'의 정주리 감독의 8년 만의 신작 '다음 소희'의 첫 촬영에 들어갔다. 영화 '다음 소희'는 콜센터로 현장실습을 나가게 된 여고생 소희가 겪게 되는 사건과 이에 의문을 품는 여형사 유진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라고 알려졌으며, 배두나는 형사 유진 역을 맡았다. 브로커제75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다음 소희가 국제비평가주간 폐막작으로 선정되면서 경사를 누리게 되었다.[15] '다음 소희'에서의 연기로 큰 호평을 받았다.

같은 해 2월 10일 잭 스나이더 감독의 신작인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레벨 문'(Rebel Moon)에 캐스팅됐다. '리벨 문'은 공상과학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로, 폭군에 절망한 행성 주민들이 우주로 신비로운 여인을 보내 새로운 히어로를 찾는 내용이며, 배두나는 극 중 검을 능숙하게 다루는 천적으로 등장한다고 알려졌다. 리벨 문은 파트 1, 2 동시 촬영을 확정했고, 올해 4월부터 11월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촬영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이 영화의 촬영 일정으로 인해 '다음 소희', '브로커'로 칸 영화제 레드카펫을 밟을 수 있었는데 참석하지 못했다.[16]


[1] 하루키식 베드신이 난무하는 청춘영화. 이때는 일부 장면에서 대역을 썼었다고.[2] 엑스재팬아무로 나미에의 팬이었다고 한다.[3] 엄밀하게는 원작이 같은 별개의 작품이지만 원작 소설에는 없고 1998년 작 영화에만 있는 장면을 차용하는 등 일본판 링의 영향이 지대했으므로 이렇게 말해도 상관없다.[4] 일본아카데미는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 중 최우수를 뽑고 나머지는 우수 여우주연상이 되는 구조, 즉 최우수상 노미네이트=그냥 여우주연상 수상이 된다. 단 그렇다 해도 대종상 같은 건 절대 아니고 매년 흥행작 50여 편 중에서 경쟁하는 것인데, 상업영화도 아니고 외국인이라 여우주연상은 상당한 이변으로 받아들여졌다.[5] 이미 인형이 아니지만 주인에게는 들키지 않아야 하는 상황[6] 복제인간에서 혁명군의 정신적 지주로 성장하는 '손미(Sonmi)-451' 역.[7] 다만 흥행은 실패. 망작이라는 평과 명작이라는 평이 격하게 갈리는 영화다.[8] 내용이 대중적이지 못하고 예산이 없어 본인이 안 나오면 멀티플렉스에는 못 걸릴 작품이었다.[9] 경찰대 출신 경위 또는 경감.[10] 시즌 2 최후반이 선의 복수극이며, 피날레 포스터에서는 아예 8명중 한가운데 넣어놨다. 포스터[11] 중간에 어떤 선택을 하는데 연기로 관객한테 설명을 못하면 자칫 욕먹을 캐릭터다.[12] 경찰서에서 연애하지 않고, 경찰로서 검사 밑에 있지만 인간적으로 대등한 캐릭터[13] 4개의 단편 모음중 하나로 이경미 감독 촬영부분[14] 복수는 나의 것, 괴물, 마약왕, 브로커.[15] 특히 배두나는 일찍부터 칸 영화제 초청을 받았음에도 경쟁 부문 초청작은 없었던 편인데, 이번 브로커로 처음 경쟁 부문에 입성하게 되었다.[16] 절친인 정재형의 유튜브 컨텐츠인 '요정식탁'에 출연해 언급하길, 한국의 경우 작품을 찍는 중이더라도 먼저 찍은 작품의 홍보일정이 잡히면 어느 정도 스케줄을 배려해주는데 미국은 그런 부분이 없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