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00:50:04

로이 리히텐슈타인

파일:미국 국가 예술 훈장.png
미국 국가 예술 훈장 수훈자
20세기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85년<colbgcolor=#FFFFFF,#1F2023>엘리엇 카터, 랄프 엘리슨, 호세 페레, 마사 그레이엄, 루이스 네벨슨, 조지아 오키프, 레온타인 프라이스
1986년매리언 앤더슨, 프랭크 카프라, 에런 코플런드, 빌럼 데 쿠닝, 아그네스 드 밀, 에바 르 갈리엔, 앨런 로맥스, 루이스 멈퍼드, 유도라 웰티
1987년로메어 비어든, 엘라 피츠제럴드, 하워드 네메롭, 알윈 니콜라이, 이사무 노구치, 윌리엄 슈먼, 로버트 펜 워런
1988년솔 벨로, 헬렌 헤이스, 고던 파크스, 이오밍 페이, 제롬 로빈스, 루돌프 제르킨, 버질 톰슨, 시드니 프리드버그,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레오폴드 아들러, 캐서린 던햄, 알프레드 아이젠슈테트, 마틴 프리드먼, 디지 길레스피, 워커 핸콕,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체스와프 미워시, 로버트 마더웰, 존 업다이크
1990년조지 애보트, 험 크로닌, 제시카 탠디, 메세 커닝햄, 재스퍼 존스, 제이콥 로렌스, 비비 킹, 이안 맥하그, 비벌리 실즈
1991년모리스 아브라바넬, 로이 에이커프, 피에트로 벨루스치, J. 카터 브라운, 찰스 콜스, 존 O. 크로스비, 리처드 디벤콘, 키티 칼리슬, 펄 프리머스, 아이작 스턴
1992년마릴린 혼, 제임스 얼 존스, 알란 하우저, 미니 펄, 로버트 소득, 얼 스크럭스, 로버트 쇼, 빌리 테일러, 로버트 벤츄리 & 데니스 스콧 브라운, 로버트 와이즈
1993년캡 캘러웨이, 레이 찰스, 베스 로막스 하웨스, 스탠리 쿠니츠 , 로버트 메릴, 아서 밀러, 로버트 라우센버그, 로이드 리차드, 윌리엄 스타이런, 폴 테일러, 빌리 와일더
1994년해리 벨라폰테, 데이브 브루벡, 셀리아 크루즈, 도로시 딜레이, 줄리 해리스, 에릭 호킨스, 진 켈리, 피트 시거 , 웨인 티보, 리차드 윌버
1995년리차 알바네세, 그웬돌린 브룩스,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디, 데이빗 다이아몬드, 제임스 잉고 프리드, 밥 호프, 로이 리히텐슈타인, 아서 미첼, 빌 먼로
1996년에드워드 올비, 사라 콜드웰, 해리 칼라한, 젤다 피챈들러, 랄로 게레로, 라이어널 햄프턴, 벨라 루이츠키, 로버트 레드포드, 모리스 센댁, 스티븐 손드하임
1997년루이즈 부르주아, 베티 카터, 댄 킬리, 안젤라 랜스버리, 제임스 리바인, 티토 푸엔테, 제이슨 로바즈, 에드워드 빌렐라, 독 왓슨
1998년자크 드엠보, 패츠 도미노, 잭 엘리엇, 프랭크 게리, 아그네스 마틴, 그레고리 펙, 로베르타 피터스, 필립 로스, 그웬 버든
1999년아레사 프랭클린, 마이클 그레이브스, 오데타, 노만 레어, 로제타 르누아르, 하비 리히텐스타인, 리디아 멘도자, 조지 시걸, 마리아 톨치프
2000년마야 안젤루, 에디 아놀드,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베니 카터, 척 클로즈, 호톤 푸트, 클래스 올덴버그, 이작 펄만, 해롤드 프린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21세기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1년<colbgcolor=#FFFFFF,#1F2023>루톨포 아나야, 조니 캐시, 커크 더글러스, 헬렌 프랑켄탈러, 주디스 제이미슨, 요요마, 마이크 니콜스
2002년플로렌스 놀, 트리샤 브라운, 필립 드 몬테벨로, 우타 하겐, 로렌스 핼프린, 알 허쉬펠드, 조지 존스, 밍 조 리, 스모키 로빈슨
2003년비버리 클리어리, 라프 에스퀴스, 수잔 파렐, 버디 가이, 론 하워드, 레너드 슬래트킨, 조지 스트레이트, 토미 튠
2004년레이 브래드버리, 칼리슬 플로이드, 프레데릭 하트, 안소니 헥트, 존 루스번, 빈센트 스컬리, 트와일라 사프
2005년루이스 오킨클로스, 제임스 데프라이스트, 파키토 드 리베라, 로버트 듀발, 올리 존스톤, 윈튼 마살리스, 티나 라미레즈, 돌리 파튼
2006년윌리엄 볼컴, 시드 챠리시, 로이 데카라바, 에릭 쿤젤, 그레고리 라바사, 빅토르 슈레켄고스트, 랄프 스탠리
2007년모르텐 로리젠, 스콧 모마데이, 크레이그 노엘, 레스 폴, 조지 투커, 앤드루 와이어스
2008년스탠 리, 리처드 M. 셔먼, 로버트 B. 셔먼,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행크 존스, 헤수스 모르폴스
2009년밥 딜런, 클린트 이스트우드, 밀튼 글레이저, 마야 린, 리타 모레노, 제시 노먼, 프랭크 스텔라, 마이클 틸슨 토머스, 존 윌리엄스
2010년로버트 브러스타인, 밴 클라이번, 마크 디 수베로, 도날드 홀, 퀸시 존스, 하퍼 리,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제임스 테일러
2011년윌 바넷, 리타 도브, 알 파치노, 마틴 퍼이어, 멜 틸리스, 안드레 왓츠
2012년허브 앨퍼트, 조안 마이어스 브라운, 르네 플레밍, 어니스트 J. 게인즈, 엘스워스 켈리, 토니 쿠슈너, 조지 루카스, 일레인 메이, 로리 올린 , 알렌 투생
2013년줄리아 알바레즈, 빌 T. 존스, 존 캔더, 제프리 카첸버그, 맥신 홍 킹스턴, 앨버트 메이즐스, 린다 론스태드, 빌리 첸 & 토드 윌리엄스, 제임스 터렐
2014년존 발데사리, 핑 총, 미리암 콜론, 샐리 필드, 앤 해밀턴, 스티븐 킹, 메레디스 몽크, 조지 셜리, 토비아스 울프
2015년멜 브룩스, 산드라 시스네로스, 모건 프리먼, 필립 글래스, 베리 골디, 산티아고 지메네즈, 랄프 레몬, 오드라 맥도널드, 루이스 발데스, 잭 위튼
2016년없음
2017년없음
2018년없음
2019년앨리슨 크라우스, 샤론 퍼시 록펠러, 미군 군악대, 존 보이트
2020년토비 키스, 리키 스캑스, 메리 코스타, 닉 우트, 얼 A. 파웰 3세
2021년브루스 스프링스틴, 글래디스 나이트, 민디 케일링, 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 호세 펠리시아노, 베라 왕, 조안 시게카와, 주디 바카, 프레드 아이커너, 안토니오 마르토렐, 빌리 홀리데이 극장, 국제흑인댄스협회
출처: National Medal of Arts
}}}}}}}}}||

파일:로이 리히텐슈타인 프로필.jpg
로이 리히텐슈타인
Roy Lichtenstein
본명 Roy Fox Lichtenstein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출생 1923년 10월 27일
미국 뉴욕
사망 1997년 9월 29일 (향년 73세)
미국 뉴욕 맨해튼
직업 화가, 아티스트
가족 배우자 이사벨 윌슨 (1949년~1967년), 도로시 헤르츠카(1968년~1997년)
자녀 밋첼 리히텐슈타인[1], 데이빗 리히텐슈타인
종교 유대교
학력 아트스튜던츠리그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미술학 학사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석사
링크 공식 사이트
1. 개요2. 상세3. 생애4. 주요 작품5. 경력6. 기타

1. 개요

미국의 팝 아티스트.

독일계 성이라서[2][3] 독일식으로 리히텐슈타인이라고 읽는 사람이 많은데, 본인이 쓰던 영어 발음은 '릭턴스타인'이다.

2. 상세

주요 작품
파일:external/www.roylichtenstein.com/m-maybe.jpg 파일:행복한 눈물.jpg
음 어쩌면(m-maybe), 1965년 행복한 눈물(Happy tears), 1964년

만화의 한 장면을 따다가 확대해서 캔버스에 옮긴 그림으로 유명하며, 팝아트 계에서는 앤디 워홀과 함께 양대 거장 취급을 받는다. 초기에는 목동이나 인디언을 현대 미술 화풍으로 그렸다. 작품의 특징은 선명한 검은 색 테두리와 형태를 메우고 있는 점들이다. 벤데이 점(Benday Dot)이라고 하는 이 망점은 그가 직접 드로잉하고 채색한 것이 아니라 구멍이 뚫린 판을 사용하여 색점들을 만들어내는 매우 기계적인 작업에 의한 것이다. 작품에 대해 어떠한 개성의 흔적도 드러내지 않은 팝아티스트의 중립적인 냉정함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며 이것이 바로 추상표현주의와 구별되는 점이다.

3. 생애

1923년 자본주의의 상징인 뉴욕 맨해튼에서 태어나 1997년 뉴욕에서 생을 마감한 가장 뉴욕적이며 뉴욕을 대표하는 예술가이다. 1949년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미술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10여 년간 미술을 가르쳤다. 초기에는 추상표현주의 양식으로 그림을 그리다 1960년 럿거스 대학교 교수 앨런 캐프로(Allan Kaprow)를 만나면서 팝아트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짐 다인(Jim Dine), 클래스 올덴버그(Claes Oldenburg), 조지 시걸(George Segal) 등을 만나는 것도 바로 이 시기이다.

1961년 <이것 좀 봐 미키 Look Mickey>를 발표해 화단의 주목을 받았다. 디즈니 만화 주인공 미키 마우스도날드 덕이 등장하는 이 작품은 실제 만화처럼 말 풍선을 그려넣고 대사를 적어놓았다. 또한 인쇄한 것처럼 보이도록 인쇄물을 확대했을 때 생기는 점까지 세밀하게 나타냈다. 미키 마우스를 좋아했던 아들을 위해 그려준 그림 한 점[4]이 무명의 예술가를 새로운 현대미술의 중심에 올려 놓았다. 그 다음 해인 1962년 뉴욕 레오 카스텔리(Leo Castelli) 갤러리에서 열린 개인전에서 그의 작품은 개막도 하기 전에 영향력 있는 소장가들에게 모조리 팔렸다.

1965년에서 1966년 사이에는 넓은 붓자국을 만화 양식으로 변형시킨 대규모 연작을 제작하였다. 이후에는 세잔, 마티스, 피카소, 몬드리안 등을 위시한 현대 유럽 거장들의 작품과 아르데코 디자인, 고대 그리스신전 건축과 정물화 등에 관심을 가지며 이를 재해석하는 것으로 작업 방향이 확대되었다. 표현방법도 훨씬 자유로워져 추상적인 구상에 접근하였다.

리히텐슈타인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미덕이던 시절 "오늘날 예술은 우리 주위에 있다"고 선언했다. 가장 미국적인 매스미디어를 가장 미국적인 매스미디어 방법으로 담아냄으로써 미국과 미국인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4. 주요 작품

파일:로이 키스.jpg
<colbgcolor=#dddddd,#222222> 키스
Kiss
제작 시기 1961년
재료 캔버스에 유채
크기 203.2 x 172.7 cm
소유 로이 리히텐슈타인 재단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키스>라는 작품은 1961년부터 시작된 연작의 출발이다. 이 작품이 그 출발의 첫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행복한 눈물>에서 볼 수 있는 '점'이 아닌 '환등기'를 사용했다. 캔버스에 환등기를 이용해 만화의 컷을 비추면 윤곽선과 색감을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리히텐슈타인은 윤곽선을 더 짙게 그리고 명암을 강조해 사용했다. 특히 색채의 이용이 두드러지는데 대량 복제 사회에서 인쇄물은 표준화된 공정을 거치게 된다. 모든 색의 기본이 되는 삼원색의 적절합 혼합이 바로 그 공정. 이 작품은 삼원색의 이용이 특히 강조되었다.

참고로 후속작으로 <키스 II>가 있는데 1990년에 600만 달러에 낙찰되며 2002년까지 리히텐슈타인 작품 중 가장 고가에 거래된 작품이라는 기록을 보유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다른 의미로 유명한데...[5]
파일:그를 생각하다.jpg
그를 생각하다
Thinking of him
<colbgcolor=#dddddd,#222222> 제작 시기 1963년
재료 캔버스에 마그나펜(Magna)
크기 172.7 x 172.7 cm
소유 로이 리히텐슈타인 재단

이 작품은 단순한 캔버스 구성을 잘 드러내는 작품이다. 눈물을 흘리며 말풍선 속의 남자를 생각하는 한 여성. 대표적인 대중문화로서 만화가 갖는 가장 큰 특징인 간결함이 돋보인다.
파일:로이 행복한 눈물.jpg
<colbgcolor=#dddddd,#222222> 행복한 눈물
Happy tears
제작 시기 1964년
재료 캔버스에 마그나펜(Magna)
크기 96.5 x 96.5 cm
소유 로이 리히텐슈타인 재단

앤디 워홀과 함께 미국의 팝아트를 대표하는 작가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워홀에 비해 덜 알려진 작가였다. 그러나 이 작품이 삼성 X파일 사건과 연루되어 언론의 집중 주목을 받은 덕분에 현재는 우리나라에서도 꽤 유명해졌다(...). 한국 한정으로 '비싼 현대 미술 작품'의 대명사. 오래된 만화책에서나 볼 법한 촌스러운 아가씨의 얼굴이 화면을 가득 채운 그림이 수십억 대를 호가해서, 작가로서는 진정 ‘행복한 눈물’을 흘려 마땅하겠지만, 미술에 문외한 일반인은 과연 이것이 그만한 가치가 있는가에 대해서 많은 의문을 가졌다.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8020208064430003010-001.jpg

다만 행복한 눈물이란 그림은 본인의 창작이 아닌 다른 사람이 그린 그림을 따라 그린 것인데 어쩌다보니 남의 그림으로 유명세를 탔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원본이랑 비교해보면 리히텐슈타인 그림 실력 자체는 그렇게 뛰어난 편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파일:external/www.roylichtenstein.com/m-maybe.jpg
<colbgcolor=#dddddd,#222222> 음 어쩌면
m-maybe
제작 시기 1965년
재료 캔버스에 유채와 마그나펜(Magna)
크기 152.4 x 152.4 cm
소유 로이 리히텐슈타인 재단

이 작품에서 보이는 금발 여성의 생각이 말풍선을 통해 보는 이들에게 전달된다. 이처럼 만화 이미지와 문자를 사용했다. 말풍선은 확실하게 이미지를 전달하며 의도된 아이러니를 보는 이가 파악하지 못할 때 직접적인 도움을 준다. 게다가 특유의 삼원색을 이용한 강렬한 색채도 돋보인다. 마치 인쇄물을 보는 듯한 효과를 주어 대량생산에 의한 소비에 대한 의미를 강하게 보여준다.

5. 경력

6. 기타


[1] 현재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2] 바덴-뷔르템베르크작센에 각각 리히텐슈타인이란 마을이 있는데 거기서 따온 지명이다. 국가 리히텐슈타인과는 첫 /ㅣ/의 길이가 다르고 그에 따라 표기도 다르다. 그쪽은 Liechtenstein.[3] 정확히 말하면 독일어권 출신 유대인.[4] 아들이 아버지가 작업 하는 모습을 가만히 지켜보다가 "아버지 그림은 미키 마우스처럼 멋지지 않네"라고 말했고 이에 아이디어를 내어 이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5] 앨범 표지로 사용된 <키스 II>는 좌우반전과 옷 무늬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