都 도읍 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邑,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都[#] | |||||||
일본어 음독 | ト, ツ | ||||||
일본어 훈독 | みやこ, すべ-て | ||||||
都[#] | |||||||
표준 중국어 | dōu, d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都는 '도읍 도'라는 한자로, '도읍(都邑)', '도시(都市)', '모두'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도읍 |
음 | 도 | |
중국어 | 표준어 | dōu, dū |
광동어 | dou1 | |
객가어 | tû | |
민동어 | dŭ | |
민남어 | to͘ | |
오어 | tu (T1) | |
일본어 | 음독 | ト, ツ |
훈독 | みやこ, すべ-て | |
베트남어 | đô |
유니코드에선 U+90FD에 배정되어있다. 창힐수입법으로는 十日弓中(JANL)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邑(고을 읍)과 소리를 나타내는 者(놈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기본적으로 '도시(都市)'라는 뜻을 가지지만, 거기서 파생하여 '모두', '다'라는 뜻의 부사나 '으뜸'이라는 의미인 접두사로도 쓰인다. 이는 본래 도(都) 자체가 여러 읍(邑) 중에서 으뜸이 되어 이들을 거느리는 존재 즉 '도읍'이었기에 그로부터 파생된 것이다. 한국어 단어 중에는 '도합'(都合)에서 전자의 의미로 쓰였고, 후자의 뜻으로는 '도원수', '도승지', '도체찰사' 등이 있다.
중국어에서는 '모두'라는 뜻을 가질 때는 dōu로 읽고, 도시라는 뜻을 가질 때는 dū로 읽는다.
3. 용례
3.1. 단어
- 고도(古都)
- 도강(都講)
- 도급(都給)
- 도농(都農)
- 도당(都堂)
- 도대체(都大體)
- 도매(都賣)
- 도시(都市)
- 도심(都心)
- 도읍(都邑)
- 도청(都請)
- 도통(都統)
- 도편수(都편수)
- 도합(都合)
- 수도(首都)
- 유도(幽都) - 저승을 말한다.
- 이촌향도(離村向都)
- 천도(遷都)
3.2. 고사성어/숙어
3.3. 관직/기관
- 도감(都監)
- 도방(都房)
- 도병마사(都兵馬使)/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 도순문사(都巡問使)
- 도순찰사(都巡察使)
- 도승지(都承旨)
- 도원수(都元帥)
- 도절제사 (都節制使)
- 도찰리사(都察理使)
- 도체찰사(都體察使)
- 도총제사(都摠制使)
- 도통사(都統使)
- 도호부(都護府)
3.4. 인명
- 전국의 모든 성주 도씨들. 그리고 도씨인 사람들 95% 이상.
- 난토 야야(南都 夜々)
- 도민준(都敏俊)
- 도수류금류(都須流金流)
- 도절태자(都切太子)
- 모노노베노 후토(物部 布都)
- 미야코노죠 오도(都城 王土)
- 미야코지마 나리카(都島 成香)
- 박도하(朴都河): 배우
- 배상도(裵相都): 1939년생 정치인
- 번한도(樊嫻都)
- 시바 미야코(志波 都)
- 아기발도(阿其拔都)
- 아라시 치사토(嵐 千砂都)
- 아시스 사호토(足須 沙穂都)
- 안도적(安都赤)
- 양사도(梁師都)
- 오시츠 오사레츠(押都 長烈)
- 오야 쿠니미츠(大宅 都光)
- 오오토로 신고(王都楼 真悟)
- 요모츠 히사미(豫母都 日狭美)
- 우쓰노미야 겐지(宇都宮 健兒)
- 우츠기 미코토(卯都木 命)
- 장도영(張都暎)
- 전미도(田美都)
- 츠즈키 리카(都築 里佳)
- 토노카와 유우토(都乃河 勇人)
- 하라다 토아(原田 都愛)
- 하야시 켄토(林 遣都)
- 히가시카타 카토(東方 花都)
3.5. 지명
3.6. 창작물
3.7. 기타
3.8. 중국어
- 都[dōu]: 모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