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97455, #c3d89d 23%, #c3d89d 77%, #697455)" {{{#!wiki style="margin: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d89d><tablebgcolor=#c3d89d> | 허균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c3d89d><colcolor=#000> 소속 | <colbgcolor=#fff,#1f2023>허씨 5문장 · 북인 · 선무원종공신 · 이달의 문화인물 | |
가족 | 아버지 허엽 · 이복 형 허성 · 동복 형 허봉 · 동복 누나 허난설헌 이복 누나의 남편 우성전 · 동복 누나 허난설헌의 남편 김성립 · 조카 김희윤 매형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 딸 소훈 허씨의 남편 폐세자 이지 | ||
관련 인물 | 스승 (이달 · 사명당 · 류성룡) 제자 (서양갑 · 이식 · 기준격) 친구 (강변칠우 · 이매창 · 박엽 · 류몽인) 존경하는 인물 (정도전 · 이순신) 본이 되는 인물 (방회 · 이지) 작품 내 등장인물 (이달 · 홍길동) 주군 (선조 · 광해군) | ||
관련 장소 | 허균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균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균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친구 강변칠우의 거주지 여주시 · 이매창과 교류한 장소 부안군 | ||
관련 사건 | 임진왜란, 정유재란 · 계축옥사 | ||
작품 | 홍길동전 · 도문대작 · 그 외 작품 | ||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 특징 · 생애 · 창작물 | ||
평가 | 평가 · 사상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 ||
[clearfix]
1. 개요
屠門大嚼1611년, 귀양살이 중이던 허균이, 이전에 먹던 맛있는 음식이 떠올라 이들을 기록해놓은 음식 품평책. 팔도의 명물 토산품과 별미 음식을 소개했으며, 제목은 고깃간 문앞에서 입을 크게 벌려 씹는 시늉이라도 한다는 의미의 한자숙어이다. 귀양살이의 서러움이 느껴진다. 우리나라 최초의 식품전문서로 알려져 있으며, 어찌 보면 유배문학의 일종이라 할 수도 있다.
병이류 11종, 과실류 30종, 채소와 해조류 25종, 어패류 39종, 조수육류 6종, 떡 19종, 기타 차, 술, 꿀, 기름, 약밥 등과 서울에서 계절에 따라 만들어 먹는 음식 17종 등, 총 117종의 식품과 기타 식재료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식품들을 유형별로 정리하고 그 특징과 명산지를 소개하여, 당시의 음식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2. 식품 종류
2.1. 떡
- 방풍죽(防風粥)
- 석용병(石茸餅)
- 백산자(白散子)
- 다식(茶食)
- 밤다식(栗茶食)
- 차수(叉手)
- 엿(飴)
- 대만두(大饅頭)
- 두부(豆腐)
- 웅지정과(熊脂正果)
- 둘죽(㐙粥 들쭉으로 끓인 죽)
- 약밥(藥飯)
2.2. 과실
- 하늘 배(天賜梨)
- 금색배(金色梨)
- 검은배(玄梨)
- 붉은배(紅梨)
- 대숙배(大熟梨)
- 금귤(金橘)
- 감귤(甘橘)
- 청귤(靑橘)
- 유감(柚柑)
- 감자(柑子)
- 유자(柚子)
- 감류(甘榴)
- 조홍시(早紅柹)
- 각시(角柹)
- 오시(烏柹 먹감)
- 밤(栗)
- 죽실(竹實)
- 대추(大棗)
- 앵두(櫻桃)
- 살구(唐杏)
- 자두(紫桃)
- 황도(黃桃)
- 녹이(綠李 오얏)
- 반도(盤桃)
- 승도(僧桃)
- 포도(蒲桃)
- 수박(西瓜)
- 참외(甛瓜)
- 모과(木瓜)
- 달복분(達覆盆)
2.3. 새와 짐승의 고기
- 웅장(熊掌)
- 표태(豹胎 표범의 태)
- 녹설(鹿舌 사슴의 혀)
- 녹미(鹿尾 사슴의 꼬리)
- 고치(膏雉 꿩)
- 거위(鵝)
- 돼지
- 노루
- 닭
2.4. 수산물(水産物)
- 숭어(水魚)
- 붕어(鯽魚)
- 웅어(葦魚)
- 뱅어(白魚)
- 노란조기(黃石魚)
- 오징어(烏賊魚)
- 해양(海䑋)
- 죽합(竹蛤)
- 소라(小螺)
- 청어(靑魚)
- 큰전복(大鰒魚)
- 꽃전복(花鰒)
- 홍합(紅蛤)
- 해삼(海蔘)
- 은어(銀口魚)
- 여항어(餘項魚)
- 금린어(錦鱗魚)
- 누치(訥魚)
- 궐어(鱖魚)
- 복어(河豚)
- 방어(魴魚)
- 연어(鰱魚)
- 송어(松魚)
- 황어(黃魚)
- 가자미(鰈魚)
- 광어(廣魚)
- 대구(大口魚)
- 문어(八帶魚)
- 정어(丁魚)
- 은어(銀魚)
- 고등어(古刀魚)
- 미어(微魚)
- 제곡(齊穀)
- 살조개(江瑤柱)
- 자합(紫蛤)
- 게(蟹)
- 동해(凍蟹)
- 석화(石花 굴)
- 윤화(輪花)
- 왕새우(大蝦)
- 새우알
- 곤쟁이새우(紫蝦)
- 도하(桃蝦)
- 민어(民魚)
- 조기(石首魚)
- 밴댕이(蘇魚)
- 낙지(絡締)
- 준치(眞魚)
- 병어(甁魚)
- 변종(變宗)
2.5. 채소
- 죽순절임(竹筍醢)
- 황화채(黃花菜)
- 순채(蓴)
- 석전(石蓴)
- 무(蘿葍)
- 거요목(苜蓿)
- 고사리
- 아욱
- 콩잎
- 부추
- 미나리
- 배추
- 송이
- 참버섯
- 표고(蔈古)
- 홍채(葒菜)
- 황각(黃角)
- 청각(靑角)
- 참가사리(細毛)
- 우무(牛毛)
- 초시(椒豉)
- 삼포(蔘脯)
- 여뀌(蓼)
- 동과(冬瓜 동아)
- 가지
- 외
- 호박
- 무
- 산개자(山芥菹)
- 다시마(昆布)
- 다시마(多士麻)
- 미역
- 올미역(早藿)
- 김(甘苔)
- 해의(海衣)
- 토란(芋)
- 생강(薑)
- 겨자(芥)
- 파(蔥)
- 부추
- 작은마늘
- 고수(荽)
- 마늘(蒜)
2.6. 음료
- 차(茶)
- 술(酒)
2.7. 조미료
- 꿀(蜂蜜)
- 기름(油)
2.8. 서울에서 철따라 먹는 음식
2.8.1. 봄
- 쑥떡
- 송편
- 괴엽병(槐葉餠)
- 두견화전(杜鵑花煎)
- 이화전(梨花煎)
2.8.2. 여름
- 장미전(薔薇煎)
- 수단(水團)
- 쌍화(雙花)
- 만두(饅頭)
2.8.3. 가을
- 경고(瓊糕)
- 국화병(菊花餠)
- 감과 밤을 섞어 만든 찰떡(糯餠)
2.8.4. 겨울
- 자병(煮餠)
- 증병(蒸餠)
- 절병(節餠)
- 월병(月餠)
- 삼병(蔘餠)
- 송고유(松膏油)
- 밀병(蜜餠)
- 설병(舌餠)
2.9. 제사 및 손님 접대 음식
- 약과(藥果)
- 대계(大桂)
- 중박계(中朴桂)
- 홍산자
- 백산자
- 빙과(氷果)
- 과과(瓜果)
- 봉접과(蜂蝶果)
- 만두과(饅頭果)
2.10. 국수
- 실국수(絲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