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3:02:22

술빚는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고사십이집 · 고종무진진찬의궤 · 고종정해진찬의궤 · 기해진연의궤 · 군학회등 · 규곤요람 · 규합총서
다신전 · 도문대작 · 동다기 · 동다송
사가집· 산가요록 · 산림경제 · 소문사설 · 수운잡방 · 순조기축진찬의궤 · 술빚는법 · 시의전서 · 식료찬요
양주방 · 역주방문 · 영접도감의궤 · 영조갑자진연의궤 · 온주법 · 요록 · 우음제방 · 원행을묘정리의궤 · 윤씨음식법 · 음식디미방 · 음식방문 · 음식방문니라 · 음식보 · 이씨음식법 · 임원경제지
정청일기 · 주방문 · 주식시의 · 주찬 · 주초침저방 · 증보산림경제
최씨음식법 · 치생요람
풍정도감의궤
혜경궁진찬소의궤 }}}}}}}}}


1. 개요2. 내용3. 구성

1. 개요

조선 시대 1800년대 후반에 쓰여진 저자 미상의 요리책.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책의 명칭은 술빚는법이라 되어 있고 표제(表題)에는 '술진은법'이라 적혀 있다. 명칭은 술빚는 법이나 실제로는 음식 만드는 법도 같이 기록되어 있으며, 11종의 술 빚는 방법과 19가지 각종 요리에 대한 조리법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책의 끝에는 '목난가'라고 하는 62행의 5언 또는 7언시의 가사(歌辭)가 담겨져 있다.

책은 한지에 붓글씨로 씌여진 순 한글판으로 필사되었으나 용어나 글자체, 또는 표현으로 보아 조리법 자체는 아주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3.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