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2:56:44

규곤요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고사십이집 · 고종무진진찬의궤 · 고종정해진찬의궤 · 기해진연의궤 · 군학회등 · 규곤요람 · 규합총서
다신전 · 도문대작 · 동다기 · 동다송
사가집· 산가요록 · 산림경제 · 소문사설 · 수운잡방 · 순조기축진찬의궤 · 술빚는법 · 시의전서 · 식료찬요
양주방 · 역주방문 · 영접도감의궤 · 영조갑자진연의궤 · 온주법 · 요록 · 우음제방 · 원행을묘정리의궤 · 윤씨음식법 · 음식디미방 · 음식방문 · 음식방문니라 · 음식보 · 이씨음식법 · 임원경제지
정청일기 · 주방문 · 주식시의 · 주찬 · 주초침저방 · 증보산림경제
최씨음식법 · 치생요람
풍정도감의궤
혜경궁진찬소의궤 }}}}}}}}}


1. 개요2. 고려대 규곤요람 듀식방
2.1. 내용2.2. 구성
3. 연세대 규곤요람

1. 개요

閨壼要覽.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요리서. 1800년대 초에 만들어진 고려대학교 소장 규곤요람과 1896년에 만들어진 연세대학교 소장 규곤요람이 있으며, 두 책은 명칭은 같지만 안의 내용은 꽤 다르다.

2. 고려대 규곤요람 듀식방

2.1. 내용

이 책의 종이는 당시 나라의 호구단자로 사용하다 폐지가 된 이면지를 재사용한 것인데, 여기에 건륭 60년(1795년) 8월이라는 년기(年紀)가 6엽과 7엽의 속지(간사지)에 적혀 있어 정조 19년, 1795년 이후를 즈음해 출판된 것으로 여겨진다.

크게 빚는 방법을 중심으로 음식들을 수록한 '듀식방(주식방)' 부분과 여성들이 알아야할 토정비결 내용들, 아기 이름 짓는 법, 산모의 민간 요법 등이 수록되어 있다.

2.2. 구성

3. 연세대 규곤요람

1896년에 편찬되었으며 주식류 5종, 부식류 11종, 떡 4종, 정과류 6종, 저장식품으로 가루 만들기 2종과 고추장 담그는 법이 기록되어 있다.

고려대본과는 달리 술 제조 비법은 오직 천일주법 1종만이 나와 있지만 대신 교자상 꾸미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있는 것이 특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