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ㄱ | 고사십이집 · 고종무진진찬의궤 · 고종정해진찬의궤 · 기해진연의궤 · 군학회등 · 규곤요람 · 규합총서 |
ㄷ | 다신전 · 도문대작 · 동다기 · 동다송 | |
ㅅ | 사가집· 산가요록 · 산림경제 · 소문사설 · 수운잡방 · 순조기축진찬의궤 · 술빚는법 · 시의전서 · 식료찬요 | |
ㅇ | 양주방 · 역주방문 · 영접도감의궤 · 영조갑자진연의궤 · 온주법 · 요록 · 우음제방 · 원행을묘정리의궤 · 윤씨음식법 · 음식디미방 · 음식방문 · 음식방문니라 · 음식보 · 이씨음식법 · 임원경제지 | |
ㅈ | 정청일기 · 주방문 · 주식시의 · 주찬 · 주초침저방 · 증보산림경제 | |
ㅊ | 최씨음식법 · 치생요람 | |
ㅍ | 풍정도감의궤 | |
ㅎ | 혜경궁진찬소의궤 | }}}}}}}}} |
1. 개요
閨壼要覽.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요리서. 1800년대 초에 만들어진 고려대학교 소장 규곤요람과 1896년에 만들어진 연세대학교 소장 규곤요람이 있으며, 두 책은 명칭은 같지만 안의 내용은 꽤 다르다.2. 고려대 규곤요람 듀식방
2.1. 내용
이 책의 종이는 당시 나라의 호구단자로 사용하다 폐지가 된 이면지를 재사용한 것인데, 여기에 건륭 60년(1795년) 8월이라는 년기(年紀)가 6엽과 7엽의 속지(간사지)에 적혀 있어 정조 19년, 1795년 이후를 즈음해 출판된 것으로 여겨진다.크게 술 빚는 방법을 중심으로 음식들을 수록한 '듀식방(주식방)' 부분과 여성들이 알아야할 토정비결 내용들, 아기 이름 짓는 법, 산모의 민간 요법 등이 수록되어 있다.
2.2. 구성
- 듀식방
- 술류 : 황감행곡주, 소국주법, 과하주법, 백일주법, 부의주법, 부텹주, 소주, 보리술법, 일일주법, 국화주, 송국주법, 청주법, 백화주법, 호산춘, 삼해주, 삼칠일주, 삼대적법, 쇼자주, 사절주, 연엽주, 칠일주법(2), 벽향주, 백향주법, 별향주, 노산춘, 과하주, 감향주, 술 담글때 주의할 점
- 찬류 : 두부장, 더덕자반, 동화선, 붕어찜, 뉵전, 더덕적, 젼동화, 약장, 가지김치, 개장찜, 초계법, 칠향계법, 화영누르미, 전유아, 잡탕, 산적, 잡채, 가정의 기본 조미료와 장류, 양념류 만들 때의 원칙 사항, 동화 재배하는 법과 동화씨 보관법
- 떡류 : 증편, 찰시루떡, 인절미, 주악, 송편, 권모, 녹두떡, 설기떡, 상차림
- 한과류 : 홍백산자, 빙사과, 잣박산, 약과, 다식, 생율, 대추초, 조란, 율란
- 음청류 : 수정과
- 가정 생활 비상책
- 갓난 아기 이름 짓는 법, 원행시 주의할 점, 추위 이기는 법, 산후조리법, 기타
- 가정용, 여성용 토정비결 29괴 해설
3. 연세대 규곤요람
1896년에 편찬되었으며 주식류 5종, 부식류 11종, 떡 4종, 정과류 6종, 저장식품으로 가루 만들기 2종과 고추장 담그는 법이 기록되어 있다.고려대본과는 달리 술 제조 비법은 오직 천일주법 1종만이 나와 있지만 대신 교자상 꾸미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있는 것이 특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