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3:27:26

풍정도감의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고사십이집 · 고종무진진찬의궤 · 고종정해진찬의궤 · 기해진연의궤 · 군학회등 · 규곤요람 · 규합총서
다신전 · 도문대작 · 동다기 · 동다송
사가집· 산가요록 · 산림경제 · 소문사설 · 수운잡방 · 순조기축진찬의궤 · 술빚는법 · 시의전서 · 식료찬요
양주방 · 역주방문 · 영접도감의궤 · 영조갑자진연의궤 · 온주법 · 요록 · 우음제방 · 원행을묘정리의궤 · 윤씨음식법 · 음식디미방 · 음식방문 · 음식방문니라 · 음식보 · 이씨음식법 · 임원경제지
정청일기 · 주방문 · 주식시의 · 주찬 · 주초침저방 · 증보산림경제
최씨음식법 · 치생요람
풍정도감의궤
혜경궁진찬소의궤 }}}}}}}}}



1. 개요2. 내용3. 궁중 음식4. 기타

1. 개요

豊呈都監儀軌. 조선 인조 8년(1630) 3월 22일에 인경궁(仁慶宮)에서 열린 인목왕후(仁穆大妃) 진풍정(進豊呈, 내전에서 열리는 큰 규모의 궁중잔치)의 모든 내용들을 글과 그림으로 수록하여 남긴 조선왕실의궤.

2. 내용

풍정도감의궤는 2011년에 프랑스로부터 환수된 외규장각 의궤 중 제작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이며, 또한 반환된 의궤 297권 중 국내에는 존재하지 않고 오직 외규장각에만 존재했던 유일본 30권 중 하나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외규장각 환수 의궤인 만큼 아직 소유주와 권리대상은 프랑스이며, 1757종 2751책으로 이루어진 보물 제1901호 조선왕실의궤 목록에는 빠져 있다.

풍정은 임금에게 술과 음식(酒食)을 올리는 예례를 독특하고 독자적인 모습으로 자체 규범화한 우리나라의 전통 풍속으로, 풍정도감의궤는 1630년 3월 22일에 인조가 선조비 인목대비를 위하여 인경궁에 연 진풍정의 모든 축제 과정과 의복, 악기 등 기타 제반사항들을 모두 책에 담은 의궤이다.

장악원(掌樂院)의 악공(樂工)과 무동, 시각장애인들로 이루어진 관현맹인(管絃盲人)들이 음악과 무용을 공연하였으며, 중궁예연(中宮禮宴) 여기(女妓) 150여 명, 연화대(蓮花臺) 10여 명, 여의(女醫) 70여 명 등도 참가하였다. 풍정도감의궤가 기록한 1630년 축제에는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몽금척(夢金尺), 봉래의(鳳來儀), 연화대(蓮花臺), 포구락(抛毬樂), 향발무(響鈸舞), 무고(舞鼓), 처용무(處容舞) 등 무용 9종이 공연되었다.

3. 궁중 음식

이 부분은 한식 아카이브 : 풍정도감의궤(豊呈都監儀軌)를 참조하였습니다.

풍정도감의궤에는 1600년대 초중반 당시 인목 왕후의 앞에 올려졌던 우리 나라의 고전 궁중 음식들의 상차림 모습, 조리 방법, 조리 재료 등 각종 레시피와 취식 방법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기타 향온주(香醞酒) 등 각종 들과 사옹원(司饔院), 내주방(內酒房), 내섬시(內贍寺) 등에서 마련한 음식 등등 1600년대 당시 우리 나라의 궁중 음식들이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4. 기타

2004년 4월 25일 한국 전통 문화 연구원에서 풍정도감의궤에 따라 1630년 우리 나라에서 거행되었던 진풍정의 모든 모습을 완벽하게 복원에 성공하였다.네이버 블로그 : 제5회 외규장각 도서 - 풍정도감의궤 재현 조선 왕조 궁중 연회, 연합 뉴스 : <조선 중기 '진풍정' 첫 재현 행사>

당시 복원 행사에는 대하 드라마 용의 눈물의 제작자 김재형 PD가 연출자로 나섰고, 탤런트 김영란, 김형일, 전미선 등이 연기자로 출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