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3:03:18

요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고사십이집 · 고종무진진찬의궤 · 고종정해진찬의궤 · 기해진연의궤 · 군학회등 · 규곤요람 · 규합총서
다신전 · 도문대작 · 동다기 · 동다송
사가집· 산가요록 · 산림경제 · 소문사설 · 수운잡방 · 순조기축진찬의궤 · 술빚는법 · 시의전서 · 식료찬요
양주방 · 역주방문 · 영접도감의궤 · 영조갑자진연의궤 · 온주법 · 요록 · 우음제방 · 원행을묘정리의궤 · 윤씨음식법 · 음식디미방 · 음식방문 · 음식방문니라 · 음식보 · 이씨음식법 · 임원경제지
정청일기 · 주방문 · 주식시의 · 주찬 · 주초침저방 · 증보산림경제
최씨음식법 · 치생요람
풍정도감의궤
혜경궁진찬소의궤 }}}}}}}}}


1. 개요2. 내용3. 구성4. 번역과 출판

1. 개요

要錄. 조선 시대 1680년경에 쓰여진 저자미상의 한문 요리책. 고려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저자는 알 수 없지만 책의 끝에 국계(國系)라는 항목으로 왕들의 이름과 연혁 등이 적혀있는데 마지막이 세자 이고 그의 아들 까지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학자들은 대부분 숙종 초기, 특히 1680년대에 지어진 책으로 여긴다.

17세기에 우리 나라에서 먹던 음식 중 주식류 11종, 부식류 32종, 떡 16종, 후식류 13종, 술 27종 등이 기록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요록 항목을 참조

3. 구성

4. 번역과 출판

2008년 6월 17일 요록의 번역과 음식 재현이 완료되어 책으로 출간되었다.네이버 책 정보 : 윤숙자 교수의 요록, 국회 도서관 : 요록 - 윤숙자 교수의 一六00년대 한국 전통 음식

몇몇 빠진 음식이나 저장 식품, 식기 도구, 기타 제외된 부분들이 있긴 하지만, 요록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음식들을 재현해 사진과 만드는 방법 등이 상세히 기재되었고 요록 원문을 수록하고 원문해석까지 넣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