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어 이름
주찬은 한국어 이름이다. 기독교 이름으로 쓰일 때는 주님의 찬미라는 의미가 있다.1.1. 동명이인
1.2. 실존 인물
1.3. 가상 인물
- 백주찬: 촉법소년
2. 중국의 동명이인
2.1. 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찬(삼국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찬(삼국지)#|]][[주찬(삼국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주초(朱楚)의 황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찬(수말당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찬(수말당초)#|]][[주찬(수말당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조선 시대 요리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ㄱ | 고사십이집 · 고종무진진찬의궤 · 고종정해진찬의궤 · 기해진연의궤 · 군학회등 · 규곤요람 · 규합총서 |
ㄷ | 다신전 · 도문대작 · 동다기 · 동다송 | |
ㅅ | 사가집· 산가요록 · 산림경제 · 소문사설 · 수운잡방 · 순조기축진찬의궤 · 술빚는법 · 시의전서 · 식료찬요 | |
ㅇ | 양주방 · 역주방문 · 영접도감의궤 · 영조갑자진연의궤 · 온주법 · 요록 · 우음제방 · 원행을묘정리의궤 · 윤씨음식법 · 음식디미방 · 음식방문 · 음식방문니라 · 음식보 · 이씨음식법 · 임원경제지 | |
ㅈ | 정청일기 · 주방문 · 주식시의 · #s-3 · 주초침저방 · 증보산림경제 | |
ㅊ | 최씨음식법 · 치생요람 | |
ㅍ | 풍정도감의궤 | |
ㅎ | 혜경궁진찬소의궤 | }}}}}}}}} |
酒饌
1800년대에 쓰인 저자 미상의 한문 요리책.
정확한 편찬 연대는 알 수 없지만 김치에 고추를 쓰고 있는 점, 책에 마지막에 을묘(乙卯)라는 연대가 기록되어 있는 점, 동아느르미나 황향느르미에 즙을 끼얹는 조리법이 기재되어 있는 점 등을 근거로 최소 1855년 이전에는 출판된 책으로 보고 있다.
편찬자 역시 알 수 없지만 된장을 충청지방의 사투리인 돈장이라 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적어도 저술자의 출신지는 충청도 지역으로 보고 있다. 술을 빚는 법 80종, 침장법 4종, 양초방 3종, 침저법 7종, 이당법 1종, 작주부본법 1종, 조청법 1종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