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덕성여자대학교
서울특별시의 대학별 캠퍼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특별시에만 캠퍼스를 보유한 대학교의 경우 캠퍼스명을 별도 표기하지 않고, 서울 외 캠퍼스를 보유한 대학의 경우에만 "00대학교 XX캠퍼스"와 같이 표기함. 육군사관학교는 학교인 동시에 군사시설이므로, 군사보안상 목록에서 제외함. | ||||||||
가톨릭대학교 캠퍼스 (성신 · 성의) | 감리교신학대학교 캠퍼스 |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 ||||||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 | 광운대학교 캠퍼스 | 국민대학교 북악캠퍼스 | ||||||
덕성여자대학교 캠퍼스 |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동덕여자대학교 캠퍼스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 ||||||
삼육대학교 캠퍼스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 서강대학교 캠퍼스 | 서경대학교 캠퍼스 |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캠퍼스 | 서울교육대학교 캠퍼스 | 서울대학교 캠퍼스 (관악 · 연건) |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 ||||||
서울여자대학교 캠퍼스 | 성공회대학교 캠퍼스 |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 성신여자대학교 캠퍼스 | ||||||
세종대학교 캠퍼스 | 숙명여자대학교 캠퍼스 | 숭실대학교 캠퍼스 |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 ||||||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 추계예술대학교 캠퍼스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 ||||||
한성대학교 캠퍼스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 홍익대학교 캠퍼스 (서울 · 대학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덕성여자대학교 | ||||
법인 | 학부 | 대학원 | |||
역대 총장 | 캠퍼스 | 동아리 | |||
이모저모 | 출신 인물 | 사건사고 |
1. 개요2. 건물 일람3. 쌍문동 캠퍼스
3.1. 정문 · 대학본부 (1호)3.2. 스머프동산 (2호)3.3. 인문사회관 (3호)3.4. 대강의동 (4호)3.5. 차미리사 기념관 (5호)3.6. 도서관 (6호)3.7. 학생회관 (7호)3.8. 민주동산 (8호)3.9. 영근터 (9호)3.10. 덕우당 (10호)3.11. 유아교육관 (11호)3.12. 대운동장 (12호)3.13. 예술관 (13호)3.14. 자연관 (14호)3.15. 비엔나숲 (15호)3.16. 약학관 (16호)3.17. 덕성하나누리관 & 라온센터 (17호)3.18. 국제관 (18호)3.19. 기숙사 (19호)3.20. 국제기숙사 (20호)3.21. 후문 (21호)
4. 종로 캠퍼스4.1. 운현궁 양관
1. 개요
덕성여자대학교 캠퍼스 |
서울 내에 캠퍼스가 2군데 존재한다. 도봉구에는 쌍문동 캠퍼스가 있으며, 종로구에 종로 캠퍼스[1]가 있다.
후술하겠지만 종로 캠퍼스는 아름다운 외관으로 오래전부터 궁(드라마), 더킹투하츠, 각시탈 등 드라마나 영화ㆍ패션화보 등의 촬영지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쌍문동 캠퍼스는 드라마 고백부부, 신서유기, 멜로홀릭, 싸우자 귀신아(드라마), 응답하라 1988, 식샤를 합시다 2, 멜로가 체질 과 김수현 2%(음료) 광고 등 무수히 많은 촬영이 진행됐으며 한학기에 두세 가지의 드라마 촬영이 꾸준히 이루어진다. 공유가 나오는 도깨비(드라마)에서 쌍문 캠퍼스 도서관을 볼수 있다. (예술서적 900번대 자리) tvn 드라마 화양연화 - 삶이 꽃이 되는 순간에 나오는 법과대학 건물이 바로 쌍문동 캠퍼스 인문사회관이다.[2]
2. 건물 일람
덕성여자대학교 캠퍼스맵 |
3. 쌍문동 캠퍼스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4.19민주묘지역에 위치하며 재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캠퍼스이다.[3] 1984년 캠퍼스를 이전하면서부터 쓰기 시작한 곳이라 종로 캠퍼스에 비해 역사는 짧지만 현재는 이곳이 본캠이나 다름 없다. 북한산을 병풍으로 끼고 있으며, 서울에서는 매우 드물게 캠퍼스 전면적이 평지에 위치해 있다.[4] 북쪽이라 그런지 겨울에는 습하고 추운 편이다.붉은 벽돌로 이루어진 건물들로 통일성이 있으며, 캠퍼스 곳곳에 크고 작은 잔디밭과 꽃과 나무가 많이 있어 대학 캠퍼스의 낭만을 느낄 수 있다. 건물들이 대체로 낮은 층수로 디자인 되어 있어 캠퍼스가 실제 보다 더 넓어 보인다. 예술대학과 학생회관은 건축가 김수근의 작품으로, 공간건축에서 설계하였다. 한국 근대 건축 특유의 세련미를 느낄 수 있다.
서울 북단에 위치하고 있어
근방에 위치한 대학으로는 가까운 순서대로 국민대, 서경대, 한성대, 성신여대, 고려대, 성균관대 등이 있다.
3.1. 정문 · 대학본부 (1호)
덕성여자대학교 정문 · 대학본부 |
정문이자 대학본부가 있다.
행정실, 총장실 등이 이 건물이다.
3.2. 스머프동산 (2호)
덕성여자대학교 스머프동산 |
봄, 여름이면 만발한 꽃과 북한산의 풍경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다.[7] 스머프동산에는 1억짜리 수양벚나무가 있다.[8] 국립공원을 연상시키는 캠퍼스 덕에 혹자들은 여의도 벚꽃축제에 갈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2016년에는 네이버 웹툰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싸우자 귀신아 촬영이 캠퍼스에서 진행되었다. 덕성여대가 주 촬영지였기 때문에, 드라마를 다 보면 캠퍼스 투어를 마친 기분.
3.3. 인문사회관 (3호)
덕성여자대학교 인문사회관 |
3.4. 대강의동 (4호)
덕성여자대학교 대강의동 |
3.5. 차미리사 기념관 (5호)
덕성여자대학교 차미리사 기념관 |
3.6. 도서관 (6호)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
도서관 라운지이자 갤러리인 이곳은 상시 예술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비정기적으로 특별 작품전시회나 공연이 열린다. 덕성여대 도서관은 내실이 좋아 우수한 평가를 받고있다.[9] 드라마 응답하라 1988, 싸우자 귀신아, 도깨비 등이 촬영되었다.
- 학기 중 2회 본교 교수가 진행하는 독서 강의 '독서카페'를 개최하며, 다양한 주제의 전시를 진행한다. 본교 창립자인 차미리사 선생을 기리는 '차미리사 평전 독후감 공모'를 진행하며, 도서관 이용도가 높은 학생들을 선말하여 '리베장학생'을 시상한다.
- 미술작품으로 꾸며진 81평 68석 규모의 '갤러리圖'로 명명된 라운지갤러리가 존재한다. 20석이 넘는 안락소파로 구성되어 개인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북카페가 존재한다. 라운지갤러리에서는 매일 선곡되는 클래식, 재즈, 라이트뮤직을 감상할 수 있다.
- 2020년 좋은 도서관이 더더 좋게 리모델링되었다. 스터디카페 형식으로 1인 좌석이 가능한 공간이 생겼다.
- 3D프린터, 레이저커팅기, 페이퍼커팅기, 3D 펜, 재봉틀 등의 다양한 장비를 활용할 수 있는 메이커스랩이 신설되었다. 추후 UV프린터, CNC조각기, 3D스캐너 등이 추가 예정이다.
- 환경 제약 없이 VR을 즐길 수 있는 공간과 장비를 모두 구축한 VR랩이 신설되었다. 넓은 공간의 VR룸과 HTC VIVE PRO 등을 제공한다.
- 사진과 동영상,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촬영 및 편집공간을 제공하는 미디어랩이 신설되었다. 전문가용 풀 프레임 DSLR 카페라, 스튜디오 조명세트, LED 기본조명, 링라이트, 웹캠, 콘덴서 마이크,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이 제공된다.
- 독서치료 도서와 휴식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찾고, 전문적인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테라피존이 신설되었다. 독서치료 관련 자료가 배치되며, 주제별 상설 전시가 운영된다. 또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빈백으로 구성된 休공간이 있다.
- 환경 제약 없이 VR을 즐길 수 있는 공간과 장비를 모두 구축한 VR랩이 신설되었다. 넓은 공간의 VR룸과 HTC VIVE PRO 등을 제공한다.
- 사진과 동영상,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촬영 및 편집공간을 제공하는 미디어랩이 신설되었다. 전문가용 풀 프레임 DSLR 카페라, 스튜디오 조명세트, LED 기본조명, 링라이트, 웹캠, 콘덴서 마이크,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이 제공된다.
- 독서치료 도서와 휴식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찾고, 전문적인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테라피존이 신설되었다. 독서치료 관련 자료가 배치되며, 주제별 상설 전시가 운영된다. 또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빈백으로 구성된 休공간이 있다.
3.7. 학생회관 (7호)
덕성여자대학교 학생회관 |
2층에 학생식당, 교수식당이 있다.
학생회관부터 자연대, 약대, 예술대 등이 모두 3층, 4층 옥상 등으로 연결되어 있어 비 오는 날 우산 없이 다닐 수 있다.
3.8. 민주동산 (8호)
덕성여자대학교 민주동산 |
교내 궐기대회 등을 준비하거나 419 마라톤 출정할 땐 이 곳에 모여 시작한다.
3.9. 영근터 (9호)
덕성여자대학교 영근터 |
봄날의 주말엔 영근터에서 진행 중인 야외 결혼식을 볼 수 있다.
3.10. 덕우당 (10호)
덕성여자대학교 덕우당 |
캠퍼스로는 매우 드물게 한옥 건물인 덕우당(德友堂)이 있다. 덕우당은 ‘덕(德)이 있는 벗들이 모이는 곳[10]’이라는 의미로 1930년 종로구 관훈동에 건축된 후 1998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여러 채의 한옥이 미음(ㅁ)자로 둘러져 있어 꽤나 큰 규모를 자랑하며, 평소에는 심리상담센터로 사용하고있다. 축제기간에는 한복문화동아리 '꽃신을 신고'가 개최하는 한복파티가 열린다. 덕우당은 서울특별시에서 주최한 ‘서울 아름다운 건물 찾기’의 수상작이기도 하다.
3.11. 유아교육관 (11호)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관 |
전통적으로 유아교육과 강세 학교인 만큼[11][12] 독립된 유아교육관이 마련되어 있다. 이곳 1층에는 덕성여대 부속유치원이 있고, 그 윗층은 유아교육과 강의실[13]로 사용되어서 1층을 내려다볼 수 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 잔디밭으로 소풍나오는 유치원생들을 볼 수 있다.
덕성 유교과 교수진은 전국 탑급 경력진이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공통으로 시행하는 국가 표준 교육 내용인 누리과정에 덕성 유교과 교수진이 참여하였고, 총괄 지휘 역시 덕성 유교과 교수이다. UN에 유아교육 관련 자문을 제공한 교수, 한국유아교육협회장을 지낸 교수도 두 분이나 재직 중.
그에 따른 탄탄한 강의로 덕성 유교과의 임용률 역시 전국 교직학부 탑이다. 19~20년도 유아교육과 공립유치원 임용고시 합격자 및 유아교육과 졸업생 전임교원임용 합격자는 서울 19명, 경기 19명, 부산 1명, 인천 3명, 충북 1명, 경남 1명, 충남 1명이다. 일반적으로 합격자 명단 혹은 명수를 잘 발표하지 않는데, 덕성여대는 이 사실을 학교 홈페이지 배너에 올렸다.
서울 도심에서 보기 드문 에코캠퍼스로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다. 크고 작은 잔디밭과 꽃[14]이 캠퍼스 곳곳에 많이 있어 이국적인 느낌을 주는 감성캠퍼스이다.
3.12. 대운동장 (12호)
덕성여자대학교 대운동장 |
3.13. 예술관 (13호)
덕성여자대학교 예술관 |
3.14. 자연관 (14호)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관 |
자연관 최상층에 피아노 연습실이 있다.
유아교육과 피아노 수업 연습을 위한 공간이지만, 재학생 이용 제한이 없어 공강 시간에 연습하기 좋다.
3.15. 비엔나숲 (15호)
덕성여자대학교 비엔나숲 |
3.16. 약학관 (16호)
덕성여자대학교 약학관 |
덕성여대는 전통적으로 약학대학이 강한 대학이다. 1954년 처음 설립되었으며, 입학정원은 80명으로 전국에서는 이화여대, 중앙대 다음 3번째로 가장 많은 수를 뽑고 있다. 현 제50대 대한약학회 회장은 덕성여대 약대 문애리 교수이다. 오랜 전통과 많은 졸업생으로 서울시내 개업 약사의 20% 이상이 덕성여대 출신이다. 개업 약사뿐 아니라 학계·정계·국가공무원으로도 덕성여대 약대 출신들이 포진해있다.[15] 2006, 2007, 2010, 2011년 약사국가고시 수석합격생을 배출해냈으며, 2013년 Pre-Pharm-Med학과에서는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 수석을 배출했다. 사진은 2012년에 완공된 신약학관으로 최첨단 시설을 갖추고있다.
3.17. 덕성하나누리관 & 라온센터 (17호)
덕성여자대학교 덕성하나누리관 & 라온센터 |
2010년 1월 준공된 덕성•하나 누리관과 라온센터는 강당 겸 체육관으로 두 건물이 이어져 있다. 덕성•하나 누리관은 하나은행으로 부터 건립기금 30억원을 받아 지어진 강당이다. 이곳에서는 대규모로 진행되는 행사 개최와, 최신식 시설을 통한 체육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라온센터의 휘트니스센터는 3면이 통유리로 구성되어 탁 트인 북한산 전망을 바라보며 운동할 수 있다. 재학생과 교직원은 무료로 이용가능하다.
3.18. 국제관 (18호)
덕성여자대학교 국제관 |
3.19. 기숙사 (19호)
덕성여자대학교 기숙사 |
3.20. 국제기숙사 (20호)
덕성여자대학교 국제기숙사 |
3.21. 후문 (21호)
덕성여자대학교 후문 |
4. 종로 캠퍼스
4.1. 운현궁 양관
덕성여자대학교 운현궁 양관 [16] |
운현궁 양관은 종로캠퍼스의 중심 건물로 설립일부터 캠퍼스 이전 전까지 64년 동안 덕성여대의 본부가 위치했던 곳이다. 현재는 평생교육원으로 쓰이고 있다. 촬영장으로 자주 사용되기도 한다.
운현궁 모습은 덕성학원 교표 디자인으로 사용되고 있어 학교로고, 졸업반지 디자인 등으로 사용된다.
종로캠퍼스 근방에는 덕성학원의 다른 교육기관들[17]이 위치해있다. 특히 종로캠퍼스 안에는 운현유치원과 운현어린이집('국내최초 한옥어린이집' 기사)이 있다. 학부생은 4년 재학하면서 종로캠퍼스를 찾아갈 일이 드물다.
매해 1월 초에 이 곳 운현궁에서 이사장, 총장, 교수들 모여 신년 하례식을 갖는데 덕성여대신문사 등 일부 학생들도 정식으로 초대를 받아 방문하기도 한다.
쌍문동 캠퍼스가 서울 북단에 있어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통학 거리가 멀다는 점 때문에, 쌍문동에서 종로로 몇몇 학과[18]들을 옮기자는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종로 캠퍼스는 대학 단위를 수용하기에는 좁고 오래된 건물이고, 문화재라서 보존 문제와 리모델링 문제 등이 있기 때문에 쉽게 실행되지는 못하고 있다. 100주년을 맞아 종로캠을 활용하자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어, 3-4년 후에는 어떠한 형태로도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1] 대개 운현 캠퍼스, 운니동 캠퍼스 등 으로 불린다.[2] 코로나 사태로 촬영에 걸림돌인 재학생들이 등교하지 않자 비교적 학교 건물을 넓게 사용할 수 있었는지 등장하는 화면마다 아름답다. 심지어 낮잠 핫플레이스인 소파를 치우고 그랜드 피아노를 가져와 촬영하기도 하는 아니 그러니까 어떻게 올려왔냐고 잔인한(?) 행보를 보였다.[3] 근처에 서울 지하철 4호선 수유역도 위치해 있는데, 4호선에는 여자대학 4개교가 줄줄이 위치해 있다(숙대입구역 숙명여대, 명동역 숭의여대, 성신여대입구역 성신여대, 수유역 덕성여대). 그래서 변태들이 4호선을 순환하며 여대생들에게 수작부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태연남[4] 심지어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도 캠퍼스가 평지라는 점을 자랑스럽게 강조하곤 한다![5] 사실 필요가 없는 게 1권역 시내 버스들의 1/4가 우이동 종점이다. 서울역에서는 과거 구 6, 8번이나 현 서울 버스 104번을 활용하면 된다.[6] 기묘한 점이 하나 있다면 이 줄은 매일 형태가 달라진다.[7] 북한산은 특히 예술대과실에서 야작하고 새벽에 볼 때가 장관이다.[8] 비주얼이 압도적이다. 보는 순간 '아 저게 그거구나!' 알아차릴 수 있다.[9] 1인당 평균 대출 도서수 3위, 1인당 평균 소장 도서수 4위, 1인당 열람석수 3위로 중앙일보 도서관평가 종합 4위를 기록했다. 중앙일보 도서관 평가 기사[10] 덕대생들의 애칭인 '덕우'가 여기서 비롯되었다.[11]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실시한 ‘2016년 교원양성기관평가’ A등급[12] 덕성여대 유아교육과 동문들이 학계에 특히 많이 진출해있다. 덕성여자대학교/출신 인물 참조[13] 유아교육과만 사용하는 건물이다.[14] 특히 튤립이 매우 많아 덕성의 2번째 교화로 여겨질 정도이다. 덕성여대 커뮤니티 이름 역시 'Dwulip(듈립)'이다[15] 장복심 (약학65) - 제17대 국회의원, 대한약사회 여약사회 회장/배지현 (약학) -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임형신 (약학) - 한양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교수/조주연 (약학89)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약리학과 교수/채한정 (약학) -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그 밖에 덕성여자대학교/출신 인물 참조.[16] 사적 제257호. 조선후기 흥선대원군의 사가(私家)로, 고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까지 성장한 곳이다.[17] 운현유치원, 운현초등학교, 덕성여자중학교, 덕성여자고등학교[18] 예술대학이 거론되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