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width=7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9900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990000>
||
}}}}}} ||
}}}}}} ||
<nopad> 시리즈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nopad> 본편 | |
[[더 지니어스:게임의 법칙| 더 지니어스: 게임의 법칙 ]] | [[더 지니어스:룰 브레이커|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 ]] | |
[[더 지니어스:블랙가넷| 더 지니어스:블랙가넷 ]] |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 ]] | |
<nopad> 해외판 | ||
[[더 지니어스:네덜란드| 더 지니어스: 네덜란드 ]] | [[더 지니어스:영국| 더 지니어스: 영국 ]] |
<nopad> 참가 플레이어 | ||
{{{#!folding [ 본편 참가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nopad> 게임의 법칙 | |
<nopad> 룰 브레이커 | ||
<nopad> 블랙가넷 | ||
<nopad> 그랜드 파이널 | ||
}}}}}}{{{#!folding [ 해외판 참가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nopad> 네덜란드판 | |
<nopad> 영국판 | ||
}}}}}} | ||
<nopad> 에피소드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nopad> | |
[[더 지니어스:게임의 법칙| 더 지니어스: 게임의 법칙 ]]1화・2화・3화・4화・5화・6화・7화・8화・9화・10화・11화・12화 | ||
[[더 지니어스:룰 브레이커|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 ]]1화・2화・3화・4화・5화・6화・7화・8화・9화・10화・11화・12화 | ||
[[더 지니어스:블랙가넷| 더 지니어스: 블랙가넷 ]]1화・2화・3화・4화・5화・6화・7화・8화・9화・10화・11화・12화 | ||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 ]]1화・2화・3화・4화・5화・6화・7화・8화・9화・10화・11화・12화 | ||
[[더 지니어스:네덜란드| 더 지니어스: 네덜란드 ]]1화・2화・3화・4화・5화・6화・7화・8화 | ||
[[더 지니어스:영국| 더 지니어스: 영국 ]]1화・2화・3화・4화・5화・6화・7화・8화 |
<nopad> 관련 문서 |
||<-2><tablealign=right><table width=480><tablebordercolor=#333><colbgcolor=#333><colcolor=#fff> tvN 예능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
The Genius: Grand Final ||
더 지니어스: 그랜드 파이널
The Genius: Grand Final ||
| |
장르 | <colbgcolor=#fff,#1c1d1f>두뇌 게임, 정치, 서바이벌, 리얼리티 쇼 |
방영 기간 | 2015년 6월 27일 ~ 2015년 9월 12일 |
방영 시간 | 매주 토요일 오후 9시 45분 |
방영 회차 | 12부작 |
출연 | 김경란, 김경훈, 김유현, 오현민, 유정현, 이상민, 이준석, 임요환, 임윤선, 장동민, 최연승, 최정문, 홍진호 |
스트리밍 | tvN |
시청 등급 | |
외부 링크 |
1. 개요
YOU CAN'T WIN AGAIN IN THE SAME WAY.
승리는 같은 방식으로 반복되지 않는다.[1]
승리는 같은 방식으로 반복되지 않는다.[1]
더 지니어스의 4번째 시즌이자 마지막 시즌.
더 지니어스:게임의 법칙, 더 지니어스:룰 브레이커, 더 지니어스:블랙가넷의 상위 라운더[2][3] 및 제작진이 선정한 인원[4]들이 참가하는 왕중왕전 형식으로 진행됐다.
==# 공개 정보 #==
2015년
- 5월 21일: 공식 페이스북에 티저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 5월 23일: 첫 방영일을 포함한 티저 영상이 공개되었다. # #
- 5월 27일: 기사를 통해 참가 플레이어 라인업이 공개되었고,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그랜드 파이널'이라는 부제가 확인되었다. 부제와 라인업을 통해 역대 플레이어들 중 TOP3와 활약상이 좋았던 참가자들이 모인 올스타전임이 확인되었다.
- 6월 4일: 이전 세 시즌의 우승자들이 모인 티저 포스터 촬영 현장이 티저 영상으로 공개되었다. #
- 6월 10일: 참가자 전원의 티저 포스터 촬영 현장이 티저 영상으로 공개되었다. # #
- 6월 17일: 참가자 전원의 촬영 현장 인터뷰가 티저 영상으로 공개되었다. #
- 같은 공통분모를 가진 출연자들끼리 캐릭터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포스터마다 문구가 있으며, 문구마다 붉게 적힌 글자들을 조합하면 FAREWELL로 마지막 시즌임을 유추할 수 있다.
- 6월 7일, 멘탈vs멘탈 캐릭터 포스터가 공식 페이스북에 공개됐다. 포스터 문구는 play Fair(공정하게 플레이하라).
- 6월 8일, 여성vs여성 캐릭터 포스터가 공식 페이스북에 공개됐다. 포스터 문구는 hAve faith(믿음을 가져라).
- 6월 9일, 변칙vs변칙 캐릭터 포스터가 공식 페이스북에 공개됐다.[5] 포스터 문구는 bREak through(뚫고 나가라).
- 6월 10일, 막내vs막내 캐릭터 포스터가 공식 페이스북에 공개됐다. 포스터 문구는 bE smart(현명하게 행동하라).
- 6월 11일, 지능vs지능 캐릭터 포스터가 공식 페이스북에 공개됐다. 포스터 문구는 get inteLLigence(정보를 얻어라).
- 6월 12일, 우승자vs우승자vs우승자 캐릭터 포스터가 공식 페이스북에 공개됐다. 포스터 문구는 hunger for Winning(승리를 갈망하라).
- 6월 13일, 장동민 티저 영상이 공식 페이스북에 공개됐다.
- 6월 16일, 홍진호 티저 영상이 공식 페이스북에
두 번째로공개됐다.시즌 4에 이상한 사람 너무 많아! 아~ 짜증 나 진짜![6] - 6월 18일, 이상민 티저 영상이 공식 페이스북에 공개됐다.
꼰대잼 - 6월 19일,
어벤지니어스1회 예고편이 공식 페이스북에 공개됐다. - 6월 22일, 새로운 게임 장치인 가넷 매치에 대한 기사가 공개됐다.
임요환 특별법 - 6월 23일 오전 10시 30분, 상암CGV에서 제작 발표회가 열렸는데, 개인 사정으로 못 온 임요환을 제외한 12명의 플레이어와 정종연PD가 참석했으며, 사회는 신아영이 맡았다. 여기서 정종연 PD는 "자신은 더 이상 더 지니어스의 연출을 맡지 않을 것"이며, "그래서 일부러 좋아하는 플레이어들을 모았다"고 밝혔다.
그래서 가버낫은 없다[7] 또한, 더 지니어스 시리즈가 이대로 끝날지 다른 PD가 맡아 진행할진 채널에 달렸다고 덧붙였다. 포스터에 나온 FAREWELL은 정종연 PD와의 작별이란 뜻이었다. - 6월 26일, 시즌 4 게임 룰이 정식으로 공개됐다.
1.1. 시놉시스
더욱 치열하게 돌아온 13인의 지니어스! [게임의 법칙], [룰 브레이커], [블랙가넷]을 거치며 불꽃 튀는 두뇌 싸움과 긴장감 넘치는 반전을 선사했던 36인의 지니어스! 그 중 맹활약을 펼쳤던 13명의 지니어스가 그랜드 파이널로 돌아왔다! 왕들의 귀환 홍진호, 이상민, 장동민! 아쉬운 2인자 김경란, 임요환,오현민! 결승의 문턱에서 좌절한 유정현, 최연승! 저력의 여성파워 최정문, 임윤선! 비운의 플레이어 이준석, 김경훈, 김유현! 노련함으로 무장한 이들이 새로운 게임 속에서 다시 한번 진정한 지니어스를 가린다! 과연, 더 지니어스의 영광을 재연할 최후의 1인은 누가 될 것인가? |
1.2. 포스터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333><tablebgcolor=#333><tablecolor=#fff><width=50%><nopad>
||<width=50%><nopad>
||
티저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 |
hAve faith 김경란 & 임윤선 | play Fair 최연승 & 유정현 |
| |
bREak through 김경훈 & 임요환 | bE smart 최정문 & 오현민 |
| |
get InteLLigence 이준석 & 김유현 | hunger for Winning 장동민 & 이상민 & 홍진호 |
1.3. 예고편
티저 예고편 (제작 발표) |
티저 예고편 |
티저 예고편 (시사회) |
티저 예고편 (홍진호) |
티저 예고편 (이상민) |
티저 예고편 (장동민) |
1화 예고편 |
1화 10분 선공개 |
1.4. 오프닝
2. 게임 규칙
전체 규칙불멸의 징표와 블랙가넷 등 데스매치 구제 룰은 안 쓰였으며, 시즌 3의 가넷 회수 룰이 이어졌지만 전 시즌과 달리[8] 탈락으로 소멸된 모든 가넷은 결승전에서 추가 상금으로 다시 돌려줬다.[9] 데스매치 관련 룰은 해당 문서 참조.
2.1. 가넷 매치
결승전을 제외한 11번의 메인메치 중 3번의 메인메치가 가넷매치로 진행됐다. 가넷매치는 메인 매치 종료 후 가넷이 가장 많은 플레이어가 우승자, 가장 적은 플레이어가 탈락후보가 된다. 가넷의 보유량에 따라 우승과 탈락후보의 여부가 갈리다보니, 게임의 공정성을 위해 메인 매치 룰 공개부터 탈락후보 선정까지 가넷 양도는 불가능하다.[10] 이런 형태의 메인매치는 전 시즌 11회전의 메인 매치 게임인 의심 윷놀이로 한 번 진행된 바 있다. 가넷 매치의 도입으로, 여타 메인매치에서도 가넷을 이용한 딜이 적극 활용되는 등, 여타 시즌과 다르게 가넷의 가치가 높아졌는데, 메인매치 내 가넷 활용의 범위 자체는 가넷매치 외엔 거의 없었다.아래 표는 가넷 매치 시 플레이어들의 가넷 변화.
- 스포일러 [ 펼치기 / 접기 ]
2.2. 데스매치 진행
이번 시즌에선 데스매치에 변화를 줘 이전 시즌에 나왔던 데스매치 게임들이 재사용됐다. 재사용될 게임은 총 11개[11]이며, 데스매치를 치를 후보 2명은 이 게임들 중 자신이 치르고 싶지 않은 게임을 1~2회전에선 3개, 3~5회전에선 2개, 6~8회전에선 1개씩 선택해 제외할 수 있다. 이때 제외 진행방식은 메인매치 최하위자가 먼저 제외할 게임을 선택하고, 그 다음에 데스매치에 지목된 플레이어가 이어서 게임을 제외한다.[12] 그리고 제외된 게임 이외의 나머지 게임 중 딜러의 추첨으로 하나를 선정해 데스매치를 진행한다. 룰 설명 영상사용된 데스매치 중 기존 룰에 의거할 경우, 콰트로, 베팅 가위바위보, 전략 윷놀이, 이 3게임은 데스매치 진출자 외의 참가자가 관여하는 구조다. 전략 윷놀이는 3명이 남은 상황에선 어떻게 되는지 밝혀지진 않았지만 2회전에서 쓰여 생각할 필요가 없어졌다.[13] 베팅 가위바위보는 전원 참여를 기준으로 부족한 인원만큼 가상 플레이어[14]를 써서 해결했다.[15] 콰트로는 이전엔 타 참가자가 관여했으나, 이번엔 가상 플레이어 6명과 카드 26장으로 언제 선정되든 진행 가능하게 1대1 게임으로 바뀌었다.[16]
변화된 데스매치들의 룰 변경사항에서는 베팅 가위바위보에서의 무승부 베팅 추가, 같은 숫자 찾기에서의 마이너스 타일 삭제 및 √x+√y 타일 추가, 같은 그림 찾기에서의 가넷에 의한 차등 제도 삭제, 결! 합!의 결 관련 룰 수정, 콰트로의 가상 플레이어 도입, 양면포커의 카드 구성 변화, 십이장기의 30초 제한 및 3전 2선승제가 있었다.
시즌 1에선 연승게임과 이미지 게임을 제외한 모든 게임들이 다시 쓰였다. 시즌 2에선 콰트로와 흑과 백만 다시 쓰였고 콰트로도 사실상 다른 게임이 됐다.[17] 시즌 3에선 흑과백 계열인 흑과백2와 기억력 게임 중엔 밀리는 편이라 할 수 있는 기억의 미로만 안 쓰였다.[18] 베팅 흑과백은 결승전 게임으로 준비됐으나, 한 사람이 앞에 두 게임을 다 이겨서 진행할 수 없었다. 11회전은 두 플레이어 모두 경험자인 동시에 리벤지 매치이며, 김경란과 오현민, 유정현은 데스매치에 간 모든 회차에서 자신이 이전 시즌에서 참여했던 게임들을 다시 했다.
결과적으로 데스매치 게임을 미리 공개하는 것의 장단점이 모두 드러난 시즌이다. 확실히 게임 진행이 이전까지에 비해 좋아졌고, 더 나은 전략과 참가자들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구조상 데스매치 위주로 집중적으로 많이 준비한 플레이어에게 너무 유리해졌고, 데스매치에 임하는 플레이어들의 능력을 다각도에서 바라보기 어려워졌으며 새로운 게임에 대한 적응력이 강점이였던 오현민이나 김경란 등의 플레이어[19]는 결국 연습해온 플레이어에게 패배해 탈락하게 되며 데스매치 선공개의 피해자가 되었다.
3. 출연
3.1. 주최 측 인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더 지니어스/역대 출연자#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더 지니어스/역대 출연자#주최 측 인물|주최 측 인물]]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참가 플레이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참가 플레이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참가 플레이어#|]][[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참가 플레이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방영 목록
||<tablebordercolor=#880000><rowcolor=#FFF><rowbgcolor=#880000> 회차 || 방영일 || 촬영일 || 분량 || 다시보기 || 비고 ||
1화 | 2015.06.27. | 2015.05.11. | 86분 | |
2화 | 2015.07.04. | 2015.05.18. | 86분 | |
3화 | 2015.07.11. | 2015.05.25. | 88분 | |
4화 | 2015.07.18. | 2015.06.01. | 84분 | |
5화 | 2015.07.25. | 2015.06.??. | 88분 | |
6화 | 2015.08.01. | 2015.06.22. | 89분 | |
7화 | 2015.08.08. | 2015.06.29. | 88분 | |
8화 | 2015.08.15. | 2015.07.06. | 88분 | |
9화 | 2015.08.22. | 2015.07.20. | 87분 | |
10화 | 2015.08.29. | 2015.07.27. | 89분 | |
11화 | 2015.09.05. | 2015.08.03. | 85분 | |
12화 | 2015.09.12. | 2015.08.10. | 85분 | |
유튜브 tvN 디글 클래식 다시보기 재생목록
4.1. 비하인드 영상
1화- 이상민, 이 구역의 미친사람은 나야
임요환은 왜 저기서 박수치고 있는거야?[20] - 순백의 경후니는 아무것도 몰라요
- 상민&경훈의 마지막 이야기
- 장동민&오현민, 결승전 재대결?
BGM을 보니 제작진 중에 시청자가 있나보다
- 연기천재 김경훈
- 홍진호-장동민-김경란의 진지한 이야기를 방해하는자?
여기는 더 찌니어스그래서 김경란의 할말이 뭔데에에!!!
- 딜러누나의 폭풍먹방
BGM을 보니 아무래도 제작진 중에 시청자가 있나보다2 - 장동민, 초감각 플레이어 인증!
11화는 비하인드가 없다.
12화
4.2. 시청률
||<-4><tablebordercolor=#880000><rowcolor=#FFF><rowbgcolor=#880000> 시청률 (닐슨 코리아 케이블 시청률 순위 기준) ||
<rowcolor=#FFF> 회차 | 방송일 | 시청률 | 순위[21] |
1화 | 2015년 6월 27일 | 1.80% | 종합 5위, 예능 5위 |
2화 | 2015년 7월 4일 | 1.45% | 종합 11위, 예능 6위 |
3화 | 2015년 7월 11일 | 2.34%[22] | 종합 5위, 예능 4위 |
4화 | 2015년 7월 18일 | 1.76% | 종합 6위, 예능 5위 |
5화 | 2015년 7월 25일 | 1.98%[23] | 종합 7위, 예능 6위 |
6화 | 2015년 8월 1일 | 1.95% | 종합 7위, 예능 4위 |
7화 | 2015년 8월 8일 | 2.31% | 종합 4위, 예능 3위 |
8화 | 2015년 8월 15일 | 1.91% | 종합 9위, 예능 5위 |
9화 | 2015년 8월 22일 | 2.51% | 종합 10위, 예능 2위 |
10화 | 2015년 8월 29일 | 2.25% | 종합 6위, 예능 5위 |
11화 | 2015년 9월 5일 | 2.28% | 종합 4위, 예능 3위 |
12화 | 2015년 9월 12일 | 3.18%[24] | 종합 2위, 예능 1위 |
5. 진행 결과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회차별 게임 결과 [ 펼치기 / 접기 ]
- ||<tablebordercolor=#990000><bgcolor=#990000><rowcolor=#fff><tablebgcolor=#fff,#191919><-2> 더 지니어스 진행 결과 설명 ||우승
메인매치 우승자. (★: 단독 우승) 면제메인매치 우승 이외로 생명의 징표를 획득.
(★: 우승자에게 양도 받음, ☆: 게임 규칙에 의해 획득)통과우승/면제/최하위에 해당되지 않는 중간 순위로 데스매치에 진출하지 않음. 최하위공동 최하위를 했으나 데스매치에 진출하지 않음. 생존데스매치에 진출해 생존/탈락함.
(★: 메인매치 최하위로 진출, ☆: 최하위자에게 지목되어 진출)탈락블랙미션, 불멸의 징표 등 특수한 경우에는 각주로 설명.
표기 시에는 틀:더 지니어스 진행 활용.
- 데스매치 선정 결과 [ 펼치기 / 접기 ]
- 빨간색: 메인매치 탈락후보, 파란색: 데스매치 지목 대상자, 음영: 데스매치 탈락자.
<rowcolor=#FFF><colcolor=#FFF><colbgcolor=#880000> 데스매치 1회전 2회전 3회전 4회전 5회전 6회전 7회전 8회전 9회전 10회전 11회전 데스매치 진출자 유정현 임요환 이상민 오현민 김경란 이준석 김경훈 김경란 김경훈 홍진호 오현민 이준석 최연승 김경훈 임윤선 김유현 최연승 최정문 장동민 이준석 김경훈 장동민 십이장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사용 양면포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사용 콰트로 삭제 삭제 사용 결! 합!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사용 같은 그림 찾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사용 모노레일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사용 인디언 포커 삭제 삭제 삭제 사용 같은 숫자 찾기 삭제 삭제 사용 베팅 가위바위보 삭제 삭제 사용 전략 윷놀이 삭제 사용 흑과 백 사용
- 플레이어 별 전적 [ 펼치기 / 접기 ]
- ||<tablebordercolor=#880000><rowcolor=#FFF><rowbgcolor=#880000><colcolor=#FFF><colbgcolor=#880000> 플레이어 || 순위 || 메인매치 전적 || 메인매치 승률 || 데스매치 전적 || 메인매치, 데스매치 통산 전적
||<rowcolor=#000> 장동민 1 12전 5승(5,6,7,9,12) 2탈락후보(8,11) 1면제(3) 41.67% 2전 2승(8,11) 24전 10승 2최하위
3전 3승<rowcolor=#000> 김경훈 2 12전 3승(5,6,11) 2탈락후보(7,9) 0면제 25% 4전 4승(3,7,9,10) 14전 4승 5최하위
5전 4승오현민 3 11전 4승(3,5,6,10) 2탈락후보(4,11) 3면제(1,7,8) 36.36% 2전 1승(4) 1패(11) 23전 8승 5최하위
4전 3승홍진호 4 10전 3승(5,6,8) 1탈락후보(10) 1면제(9) 30% 1전 1패(10) 29전 11승 4최하위
5전 3승이준석 5 9전 1승(5) 3탈락후보(1,6,9) 1면제(4) 11.11% 3전 2승(1,6) 1패(9) 10전 1승 1최하위
4전 2승김경란 6 8전 1승(6) 2탈락후보(5,8) 1면제(2) 12.5% 2전 1승(5) 1패(8) 20전 4승 3최하위
3전 2승최정문 7 7전 0승 1탈락후보(7) 0면제 0% 1전 1패(7) 12전 0승 3최하위
3전 1승최연승 8 6전 2승(4,5) 2탈락후보(2,6) 0면제 33.33% 2전 1승(2) 1패(6) 17전 5승 4최하위
5전 3승김유현 9 5전 0승 1탈락후보(5) 0면제 0% 1전 1패(5) 14전 1승 4최하위
3전 1승임윤선 10 4전 0승 1탈락후보(4) 0면제 0% 1전 1패(4) 9전 0승 3최하위
3전 1승이상민 11 3전 2승(1,2) 1탈락후보(3) 0면제 66.67% 1전 1패(3) 26전 14승 3최하위
2전 0승임요환 12 2전 0승 1탈락후보(2) 0면제 0% 1전 1패(2) 14전 0승 6최하위
3전 2승유정현 13 1전 0승 1탈락후보(1) 0면제 0% 1전 1패(1) 12전 2승 3최하위
5전 3승
※ 총 메인/데스매치 전적은 시즌 1~4 총 전적이며, 게스트 우승은 반영하지 않았다.
- 회차별 가넷 변동 [ 펼치기 / 접기 ]
- ||<tablebordercolor=#880000><rowcolor=#FFF><rowbgcolor=#880000> 시기 || 누적 상금 || 가넷 득실 || 성장률 ||
시작시 1300만 원 - 1화 종료 2300만 원 +10(+12/-2) ▲77% 2화 종료 4500만 원 +22(+24/-2) ▲96% 3화 종료 4900만 원 +4(+11/-7) ▲9% 4화 종료 4900만 원 0(+0/-0) 0% 5화 종료 4700만 원 -2(+6/-8) ▼4% 6화 종료 6900만 원 +22(+29/-7) ▲47% 7화 종료 7600만 원 +7(+7/-0) ▲10% 8화 종료 7500만 원 -1(+13/-14) ▼1% 9화 종료 9000만 원 +15(+15/-0) ▲20% 10화 종료 1억 원 +10(+10/-0) ▲11% 11화 종료 1억 3200만 원 +32(+32/-0) ▲32% 최종 상금 1억 3200만 원 이번 시즌에는 2억 이상의 상금이 나올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여러분의 노력 여하에 따라 상금은 2억이 될 수도, 0원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3화에서 주최자의 언급으로 이번 시즌은 상금이 2억 원 이상이 나올 수 있게 설계됐다고 예고됐다. 또한 이례적으로 가넷들이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는 언급은 됐으나 아무런 의미가 없었으며 가넷을 소비하는 상황이 그다지 없었음에도 상금이 2억에 못 미쳤는데, 이번 시즌에서 가넷을 많이 벌 수 있었으나 놓친 때가 2번(3~4회전) 있었다. 3회전 메인매치 게임인 오늘의 메뉴에서 이상민의 뒤통수와 다른 플레이어들의 담합과 밀어주기로 기대 미만의 가넷을 받았고, 4회전 메인매치 게임인 생선가게에선 게임이 1000원 전쟁이 돼버려 아무도 만 원도 넘지 못해 가넷을 얻지 못했다.
-3화 주최자의 룰 설명 종료 후 추가 언급
11회전까지 쌓인 100개의 가넷이 회수되고, 여기에 탈락자들의 가넷 32개가 더해져 1억 3200만원이 최종상금이 됐다.
회차별 가넷 개수 순위- 플레이어 별 가넷 변동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880000><rowcolor=#FFF><rowbgcolor=#880000><colcolor=#FFF><colbgcolor=#880000> 플레이어 || 시작 || 1화
종료 || 2화
종료 || 3화
종료 || 4화
종료 || 5화
종료 || 6화
종료 || 7화
종료 || 8화
종료 || 9화
종료 || 10화
종료 || 11화
종료 || 결승전 ||장동민 1 2 3 4 4 5 10 13 18 23 1 132 우승 김경훈 1 1 4 5 7 8 17 13 11 28 0 준우승 오현민 1 2 3 5 7 8 10 11 16 18 99 탈락 홍진호 1 2 3 4 4 5 10 13 18 21 탈락 이준석 1 2 3 4 4 5 6 12 12 탈락 김경란 1 2 3 4 4 4 10 14 탈락 최정문 1 2 3 4 4 4 6 탈락 최연승 1 2 6 7 7 8 탈락 김유현 1 2 5 6 8 탈락 임윤선 1 2 5 6 탈락 이상민 1 3 7 탈락 임요환 1 1 탈락 유정현 1 탈락 누적량 13 23 45 49 49 47 69 76 75 90 100 132 132
김경훈이 가장 가넷의 우위를 많이 점했는데, 이는 모두 탈락자들에게 받은 가넷에 의한 것이다. 공통점이 있다면 다음 회차에서 많은 가넷들을 폭삭 잃었다.
6. 여담
- 이번 시즌에서는 부제가 한글이 아닌 영어로 적혔다.
- 이번 시즌에서는 게임 규칙 원본 영상이 메인매치만 공개되었다. 데스매치는 선공개되었기에 올라오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정작 이전에 사용된 규칙과 상당히 달라진 경우에도 올라오지 않았다. 또한 결승전 게임 중 미사용된 게임의 규칙을 공개했던 시즌 1과 달리 이번 시즌에서는 공개하지 않아서 그냥 제작진의 직무유기가 아니냐는 반응이 나왔다.
- 포스터에서 우승자들 3명이 맨 앞을 장식했는데, 잘 보면 홍진호가 장동민과 연합하며 정보를 말해주면서 이상민에게 가넷을 주고, 이상민은 혼자
먼 산상관없는 척 보이지만 장동민과 홍진호가 밑으로 주는 가넷을 받고 있다. 우승자 이외에도 비슷한 플레이어들끼리 그룹핑되어 있다. 트롤킹 김경훈과 임요환, 멘탈갑 최연승과 유정현, 이론상 최강 김유현과 이준석, 각 시즌 최연소 오현민과 최정문, 강력한 이미지의 여성 플레이어 김경란과 임윤선. 단체 포스터가 아닌 2인(우승자조는 3인) 포스터 역시 같은 조합으로 구성된 게 공개됐다.
- 룰을 설명해주는 주최자
붕대맨의 성우가 기존의 연극배우 박근록에서 CJ E&M 성우극회 소속 성우 김정훈으로 바뀌었는데, 더 낫고 깔끔해졌다.
- 이전 시즌 오프닝에서는 주인공으로 보이는 검은색 실루엣의 남성이 사방팔방으로 뛰어다니는(...) 모습이 보였는데, 이번 시즌에서는 의자 하나를 두고 두명의 플레이어가 달려들고 누군가 표정을 감추는 모습만 나왔는데, 임펙트가 적어서 아쉽다는 반응이 있다. 또한 오프닝과 달리 정작 의자를 사용하는 게임은 단 한번도 등장하지 않았다. 사전 예고편을 보아 이 의자는 왕좌를 의미하는 듯. 한편 이 오프닝이 최대 논란거리 중 하나인 데스매치 암전게임을 재현했다는 추측이 있다.
- 이전 시즌에는 소품 제작을 담당한 비아씨큐브 네이버 블로그에 매 시즌 회차별 게임 소품 포스팅이 올라왔지만, 어째선지 이번 그랜드 파이널에선 회차별 포스팅이 안 올라왔다. 아쉽게도 현재는 블로그가 전부 개편되어 이전 시즌 포스팅도 확인이 불가능하다.
- 촬영이 끝난 이후 참가자들과 제작진들이 방송 소품을 나눠 가져갔다고 한다. 몇몇 소품은 경매까지 진행했다고. 최정문이 2021년에 개인 유튜브로 그랜드파이널 녹화 종료 이후 출연자들에게 택배로 가넷주머니, 가넷, 명찰, 생명의 징표를 보내줬다고 하였고 직접 공개를 했다.[25]
참가 당시 생징 한번도 못받았다며 이제서야 달아본다고 하며 달아본 건 덤
- 2015년 11월 22일, 공식 페이스북에 지니어스 세트장처럼 보이는 장소의 사진이 올라왔다. 지니어스 외전으로, 방송국의 시간을 팝니다에서 이상민이 기획해
두 시즌이나 같이 했지만 이뤄지지 못한임진록이 치러졌다.
- 장동민의 비하인드에 따르면 올스타전 기획을 한 정종연 PD는 각 시즌의 우승자들에게 가장 먼저 연락했다고 한다. 하지만 홍진호와 이상민은 실력이 부진할 경우 거품이라는 반응이 나올까 걱정되어 처음에는 상당히 만류했으나, 장동민은 마지막 축제와 같은 것이라며 PD와 함께 꾸준히 설득해 출연 의사를 받아냈다고 한다.
- 이론상으로 벌어들일 수 있는 가넷의 최대치는 다음과 같다.
- 게임 시작 시 (기본적으로 1개씩 제공하는) 13가넷
- 신분교환에서 53가넷
- 호러 레이스에서 57가넷
- 오늘의 메뉴에서 42가넷
- 생선가게에서 12가넷
- 충신과 역적에서 6가넷
- 가넷도둑에서 32가넷
- 시드포커에서 7가넷
- 마이너스 경매Ⅱ에서 25 or 22가넷
- 호러 레이스Ⅱ에서 25 or 22가넷
- 협동홀덤에서 10가넷
- 11회전 오프닝에서 공개된 데스매치 탈락자의 가넷은 총상금에 반영된다는 규칙으로 손실은 없다고 가정함.
- 합계 276~282가넷으로 최대 2억 8200만원을 만들 수 있다.
7. 제작진 크레딧
||<tablebordercolor=#880000><colbgcolor=#880000><colcolor=#fff><width=100> 총괄기획 ||이명한 ||
기획 | 박종훈 |
책임프로듀서 | 김종훈 |
운영총괄 | 김제현 |
기술책임 | 이홍원 |
카메라 총괄 | 신성환 |
카메라 | 박화용 박기원 구본성 <포커스 제로나인> 조효상 오병찬 지창규 정운욱 |
특수장비 | <웨이브미디어> 홍기욱 김경준 |
ENG카메라 | <브라보 픽쳐스> |
WJ카메라 | <하랑> 류권렬 윤성용 |
CCTV | <YJ미디어> 홍준석 이재영 |
조명 | aircasting / ACE조명 |
무대감독 | 우세균 |
조명감독 | 김종수 |
미술 | Studio605 |
VJ | <프리즘> 김은진 |
구조물 | 레이허 |
영상 | 김미디어 |
음향 | WAYaudio |
기술감독 | 김태운 |
오디오 | 김원준, 박수지 |
믹싱 | 서성민, 김보선 |
영상 | 김민정 |
세트 | Studio605 |
작화 | 메픽 |
소품 | Studio605 / 비아씨큐브 |
장비 | YJ미디어, 진안데크 |
배차 | 진성렌트카 |
음향효과 | <준사운드> 좌현우, 송한규 |
종편 | 육성철 |
NLE | 김효정, 이재진, Okay. |
성우 | 배한성, 김정훈 |
타이틀음악 | IDIOTAPE |
제작행정 | 이강원, 김민진, 김소라 |
브랜드디자인 | Creative Director 이혜연 Art Director 최성희 Designer SMC |
제작관리 | 박세준, 김희연 |
제작지원 | 차혜정 |
마케팅 총괄 | 김재인 |
사업기획 | 이기혁, 김승민, 박나래, 조성철 |
마케팅 | 전혜린, 손보경 |
마케팅 비주얼 | 김재은, 김경미 |
디지털 마케팅 | 이우탁, 강솔미 |
디지털 영상 | 김진주, 권준희, 이정용 |
홍보총괄 | 김지영 |
홍보 | 신윤경 |
웹 기획 | 전설야, 윤진호, 허수정, 김유정 |
웹 운영 | 류지은 |
스타일리스트 | 이선미 |
헤어/메이크업 | maauilee a |
케이터링 | 달달한 키친 |
게임자문 | 코리아보드게임즈, 다이브다이스 |
편성 기획 | 신종수 |
편성 | 김보성, 안수정, 윤가영, 박주연, 한소라, 이현영, 한다운, 유정민, 최수빈 |
운행 | 조영아, 손지영, 최윤정, 권민경, 장강민, 서현지, 황종수 |
구성 | 허정희, 변수경, 정다희, 공연희, 황영아 |
대본 | 김정선 |
조연출 | 강선영, 김상아, 진보라, 손지영 |
연출 | 김한규, 손한성, 최윤희, 이태경, 박현규, 양상근, 오상민 |
총연출 | 정종연, 김무영 |
미디어 후원 | 디에스넷 |
[1] 룰 브레이커 초대장에 있던 문장이기도 하다.[2] 각 시즌 1~3위[3] 홍진호, 김경란, 이상민, 임요환, 유정현, 장동민, 오현민, 최연승. 이 중 이상민은 유일하게 두 시즌에서 이 조건을 충족했다.[4] 이준석, 최정문, 임윤선, 김유현, 김경훈. 이준석을 제외하면 전원이 일반인이다.[5] 영화 포스터 패러디 버전[6] 그런데 정작 이 말을 하게 만든 장본인은 시즌 1에 나온 이상민이다...[7] 실제로는 이은결을 직접 캐스팅하러 갔다가, 본인이 거절하는 바람에 무산됐다고 한다. 이은결/더 지니어스 항목 참조.[8] 시즌 3에선 11회전 탈락자의 가넷만 추가 상금으로 돌려줬다.[9] 이 부분은 미리 공개되지 않고 11회전에서 플레이어들의 가넷을 회수할때 공개되었다.[10] 단, 6화 한정으로 2번의 가넷 양도가 허용됐다.[11] 게임의 법칙에서 4게임, 룰 브레이커에서 2게임, 블랙 가넷에서 5게임씩 차용됐다.[12] 만약 공동 탈락후보라면, 가넷이 많은 플레이어가 먼저 하나를 제외하고, 그 다음 플레이어가 2개를 제외, 마지막에 첫 플레이어가 하나를 추가로 제외하는 방식이다. 5회 참조.[13] 아마 2명이서 혼자 본인 말과 게스트 말을 모두 움직이며 진행하거나 10회전 데스매치로 강제 지정하는 방안을 취했을 듯. 또는 11회에 게스트가 나와서 게스트랑 같이 플레이 할 수도 있다.[14] 가상 플레이어는 가위바위보 표식이 모두에게 공개된다.[15] 초반에 채택될 수록 본인의 편이 얼마나 있느냐가 중요해지고 후반에 채택될 수록 순수 심리전/베팅 싸움에 가까워진다[16] 콰트로의 변경된 룰의 경우 너무 운에 영향을 크게 받게 바뀌어서 나쁜 평을 들었다.[17] 시즌 2에서 시즌 1 게임 재사용이나 리메이크를 제외하면 남는 게임이 콰트로, 해달별, 암전게임, 레이저 장기, 흑과 백, 진실탐지기다, 또한 레이저 장기와 진실탐지기도 뭔가 나사가 빠진 게임들이라, 리메이크를 거칠수 있는 게임이 사실상 흑과 백뿐이다.[18] 같은그림찾기는 실제 경기에서 운의 차이가 크게 작용했으나, 그런 경우의 발생 가능성보다 기억의 미로에서 배치 운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19] 그래서 사전 우승확률에서는 두 플레이어가 압도적 1,2등으로 꼽혔다.[20] 임요환과 김경훈을 데스매치로 보내기 위해 모인 사람들이 서로 배신하지 말자는 얘기에서 나온 말로, '자신을 왕따시키는 걸 모두 같이 밀고 나가자'란 장동민의 말에 박수친 것. 임트롤은 뭐가 달라도 다르다[21] '종합'은 모든 케이블 프로 포함 순위, '예능'은 케이블 예능만 포함한 순위[22] 모든 시즌을 통틀어 최초로 2%대 시청률을 달성했다.[23] 순간 최고시청률 3.2%를 기록했다.[24] 순간 최고시청률이 4%를 넘었다.[25] 최정문이 밝힌 TMI로는 당시 출연자들이 가넷 주머니에 가넷 외에도 촬영에 필요한 물건들을 챙겨서 다녔다고 하며 자신의 경우에는 필기구와 메이크업 수정용 화장품 몇개 챙겨서 다녔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