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4 17:17:46

능소화


🌻 꽃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colbgcolor=#00a495><colcolor=#fff>ㄱ가락지나물 · 개나리 · 개망초 · 개양귀비 · 거베라 · 게발선인장 · 겨자 · 구근베고니아 · 국화 · 구절초 · 군자란 · 금강초롱꽃 · 금낭화 · 금어초 · 금잔화 · 김일성화 · 꽃며느리밥풀
나팔꽃 · 난초 · 눈풀꽃 · 능소화
달래 · 달리아 · 달맞이꽃 · 닭의장풀 · 데이지 · 델피니움 · 도라지 · 동백꽃 · 들국화
라넌큘러스 · 라벤더 · 라일락 · 라차프륵 · 라플레시아 · 락교 · 로벨리아 · 로즈마리 · 리시안셔스
마거릿 · 만수국 · 망초 · 매발톱 · 매실꽃 · 맨드라미 · 메꽃 · 모란 · 목련 · 목서 · 목화꽃 · 무궁화 · 무화과 · 문주란 · 물망초 · 미나리아재비 · 미선꽃 · 민감초 · 민들레
배초향 · 백일홍 · 백합 · 벚꽃 · 베고니아 · 별꽃 · 별봄맞이꽃 · 복수초 · 봉선화 · 부용 · 붓꽃 · 브로콜리 ·블루벨
사프란 · 산수유 · 상사화 · 샐비어 · 생강나무 · 석곡 · 석산 · 쇠채아재비 · 수국 · 수레국화 · 수련 · 수선화 · 스위트피 · 시계꽃 · 시클라멘
아네모네 · 아델라이데 · 아르메리아 · 아마릴리스 · 아스포델 · 아카시아 · 아티초크 · 안개꽃 · 앵초 · 양귀비 · 양골담초 · 엉겅퀴 · 오히아 레후아 · 에델바이스 · 에리카 · 연꽃 · 영산홍 · 영춘화 · 용담 · 우담바라 · 원추리 · 월계화 · 월하향 · 유채 · 윤노리꽃 · 은방울꽃 · 은방울수선화 · 잇꽃
작약 · 장미 · 재스민 · 접시꽃 · 제라늄 · 제비꽃 · 제충국 · 제피란테스 · 진달래 · 찔레꽃
차바 · 참나리 · 참파 · 채송화 · 천수국 · 철쭉
카네이션 · 카틀레야 · 칸나 · 코스모스 · 크로커스
투구꽃 · 튤립
패랭이꽃 · 팬지 · 페튜니아 · 포인세티아 · 프리지어
함박꽃 · 할미꽃 · 해당화 · 해바라기 · 히아신스}}}}}}}}}
능소화
凌霄花
파일:능소화1.jpg
학명: Campsis grandiflora
분류
식물계(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쌍떡잎식물군(Eudicots)
국화군(Asterids)
꿀풀목(Lamiales)
능소화과(Bignoniaceae)
능소화속(Campsis)
능소화(C. grandiflora)

1. 개요2. 설명3. 위험성4. 미디어 믹스에서5.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한옥과 능소화.jpg

능소화([1])는 갈잎 덩굴성 목본식물로서, 여름에 피는 연한 주황색의 꽃이다.

2. 설명

덩굴 나무로서 줄기 마디에서 생겨나는 흡착 뿌리를 돌담이나 건물의 벽 같은 지지대에 붙여서 그 지지대를 타고 오르며 자란다. 여름에는 나팔처럼 벌어진 연한 주황색의 꽃송이들이 덩굴 가지의 중간에서부터 끝까지 연이어 매달려 보통 그 무게로 인해 아래로 드리운다. 담장 넘어 흐드러지게 피어 있는 꽃들은 화려하지 않지만 우아하고 아련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예로부터 양반집 규수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꽃이 한 번에 피었다가 지는 게 아니라 꽃이 지고 나면 계속해서 또 피고, 또 피고 하기 때문에 개화기간 내내 싱싱하게 핀 꽃을 감상할 수 있다. 생명력이 강하기 때문에 병충해 걱정을 할 필요가 없으며, 햇볕을 좋아하긴 하지만 비교적 음지에서도 잘 자라는 편이다.[2] 봄이 오기 전(2월 경) 적당한 비료와 그 이후 물만 충분히 준다면 여름에 정말로 흐드러지게 핀 능소화를 감상할 수 있다.

다만 능소화가 물을 엄청 좋아하긴 하지만 뿌리에 물이 고이면 괴사할 수 있어서, 습기가 있는 흙이라도 배수가 어느 정도는 되는 곳에 심어야 한다. 또한 개화기간 내내 바닥에 떨어진 꽃 때문에 지저분해 보이기 쉬워서 청소를 자주해야 하는 편이다. 물론 떨어진 꽃을 그대로 놔 두는 것도 나름 멋이 있기 때문에 주변 환경과 어울린다면 굳이 치울 필요는 없다.

한반도의 남부지역에서 꽃은 6월 말에서 8월까지 무성하게 피지만, 꽃 자체는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중부지역에서는 기온에 따라 좀 더 빨리 진다. 기온이 내려가는 9월부터는 생기를 잃어버리고 잎이 떨어지며 결국 앙상한 줄기만 남는다. 꽃은 그 다음해 새로운 줄기에서 금방 자라 나오기 때문에, 줄기만 남아 있는 이때에 가지치기를 적극적으로 해서 원하는 방향을 잡아 주는 것이 좋다. 여러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가지들을 겨울에 보게 좋게 잘라야 그 다음해에 꽃과 줄기도 보기 좋게 모양이 잡힌다.

덩굴 나무이긴 하지만 수명이 매우 긴 식물로서 관리만 잘 한다면 몇 백년을 넘게 자라는 것을 볼 수 있다.[3]

옛 선비들은 능소화 꽃이 질 때 송이째 품위 있게 떨어지는 것을 보고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겼다고 한다. 그래서 '양반꽃'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능소화는 조선시대의 과거시험 장원급제자에게 임금이 관모에 꽂아주는 어사화로 쓰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까닭에 평민들은 능소화를 함부로 키우지 못했다고 한다.[4]

꽃말은 명예와 영광, 그리움, 기다림이다.

같은 속의 다른 종으로 능소화보다 꽃이 조금 작고 색은 더 붉은 미국능소화(Campsis radicans Seen)가 있다. 미국능소화는 추위에 좀 더 강하지만, 꽃모양이 트럼펫 모양으로 길쭉한데다가 꽃이 특정 줄기의 끝에 모여 전체적으로는 띄엄띄엄 피기 때문에 그리 예쁘지는 않다. 그래서 능소화와 미국능소화의 교잡종으로 개량된 마담갈렌 능소화(나팔능소화)가 있긴 한데, 꽃모양은 덜 길쭉하나 미국능소화와 마찬가지로 꽃이 특정 줄기의 끝에 모여 핀다. 구분을 쉽게 하는 방법은, 미국능소화는 꽃받침까지 붉고, 마담갈렌 능소화는 꽃받침이 주황~노랑색이며, 능소화는 꽃받침이 연두색이다.

파일:능소화 구분.jpg

능소화의 원산지는 중국이나, 정작 중국에서는 자국 원산인 주황색 능소화(凌霄花) 보다는 북미 원산인 붉은 색 미국능소화(또는 마담갈렌 능소화)를 더 선호한다. 중국인들이 붉은 색을 워낙 좋아하기 때문에 벌어진 일.

한국에서 '노란능소화'라고 유통되는 '테코마 스탄스'(Tecoma stans)는 사실 능소화속(Campsis)에 속하는 식물이 아니다.[5] 노란능소화는 능소화와는 다르게 덩굴 식물이 아니라서 혼자서 직립할 수 있다.

3. 위험성

꿀에 독성이 있다. 갓 채취된 꿀은 괜찮은데 48시간 이후부터 독성이 생긴다고 한다. 오래된 꿀을 먹거나 장시간 피부 노출이 되는 건 피해야 한다.

꽃가루가 눈에 들어가면 실명할 수도 있다는 소문이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한다. 산림청 연구에 따르면 능소화 꽃가루는 갈고리 모양이 아닌 그물망 모양이라 눈에 닿아도 실명시킬만큼 위험하지는 않고, 게다가 능소화는 풍매화가 아닌 충매화이기 때문에 화분이 바람에 날릴 가능성도 적다고 한다.#

4. 미디어 믹스에서

5. 여담


[1] 凌은 '(넘어서) 오르다'는 뜻이고, 霄는 '하늘'이라는 뜻으로, 합쳐서 '하늘로 올라가는 꽃'을 의미한다. (여기서 凌은 업신여기다는 뜻으로 쓰인 게 아니다.) 예를 들어 凌雲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구름을 업신여기다는 뜻이 아니라 구름 위로 올라서다는 뜻으로 쓰인다.)[2] 심지어 가뭄도 잘 견딘다. 물을 안 주면 꽃이 그만큼 안 필 뿐이지, 웬만한 가뭄에도 생존에는 문제 없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3] 일본 교쿠센엔(玉泉園/옥천원)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서 가져온 수령 400년 된 능소화가 아직도 건재하다고 한다.[4] 이 이야기는 여러 매체를 통해 확인되나 정확한 말의 출처는 불명이다. 조선 시대 문집을 보면 능소화 꽃을 보고 신기하게 생각하는 글들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양반들만 키우던 꽃이 아니라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나 간혹 보이는 그런 꽃일 가능성이 더 높다.[5] 테코마 스탄스는 능소화과(Bignoniaceae)이긴 하지만 능소화속(Campsis)이 아닌 테코마속(Tecoma)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