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6-23 20:16:30

귀인 윤씨(광해군)

조선의 후궁
[[틀:조선의 후궁(중종 ~ 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정식 후궁 첩지가 있거나 문서가 등재된 사람만 기재
}}}}}}}}}


<colbgcolor=#89236A><colcolor=#ffd400>
조선 광해군의 후궁
귀인 윤씨 | 貴人 尹氏
출생 1602년[출처]
사망 1623년 4월 13일(음력 3월 14일)
(향년 21세)
조선 한성부 군기시 앞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일대)
묘소 미상
재위기간 조선 숙의
1617년 9월 17일 ~ 1618년 8월 27일
조선 소의
1618년 8월 27일 ~ 1622년 이전
조선 귀인
1622년 이전 ~ 1623년 4월 1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9236A><colcolor=#ffd400> 본관 파평 윤씨
영신(永新)[출처]
부모 부친 - 윤홍업(尹弘業)
모친 - 창원 유씨
배우자 광해군
자녀 슬하 1녀
딸 - 박징원(朴澂遠)의 처(1619 ~ 1664)
봉작 숙의(淑儀) → 소의(昭儀) → 귀인(貴人)
}}}}}}}}} ||

1. 개요2. 가계3. 생애4. 여담

[clearfix]

1. 개요

조선 광해군간택 후궁.

광해군의 총애를 받아서 유일한 서출 자식을 낳았으나 인조반정이 일어나는 바람에 처형되었다.[3]

2. 가계

아버지는 능성 현령을 지낸 윤홍업(尹弘業)이며, 어머니는 창원 유씨 유필영(兪必英)의 딸이다.

가계를 살펴보면 꽤 명문가 집안인데, 윤홍업의 할머니 조씨는 중종의 딸 효정옹주의 시누이이고 이모 강씨는 효정옹주의 맏며느리이며, 동생 윤홍달은 윤두수의 조카인 윤환의 사위이다.

귀인 윤씨의 여동생은 광해군문성군부인 류씨의 조카인 류영립(柳英立)에게 시집갔고, 오빠 윤현(尹玹)의 아내는 인조의 동생인 능원대군의 처외사촌이다.

3. 생애

1617년(광해군 9년) 후궁 간택에서 홍매의 딸과 함께 선발되어 숙의(淑儀)에 봉작되었고, 이듬해 소의(昭儀)로 품계가 올랐다. 이후 귀인(貴人)으로 한 단계 더 승격되었다.[A][5]

1619년(광해군 11년) 4월 8일 산실(産室)을 설치하라는 기록이 있어 이때 임신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해 6월 23일에 옹주를 낳았다.[6]

그러나 1623년(인조 1년) 3월 13일 인조반정이 일어나면서 귀인 윤씨는 음행(淫行)을 저질렀다는 이유로 군문(軍門) 밖에서 사형에 처해졌다.[7]

4. 여담


[출처] 서치상. (2020). 광해·인조 연간의 해인사 수다라장과 법보전 상량문 연구. 건축역사연구, 29(1), 65-76.[출처] 출처[3] 광해군의 후궁들 중 자식을 낳은 경우도 그 자식이 성년까지 성장한 경우도 전부 귀인 윤씨의 뿐이고 광해군의 후손들은 전부 이 이 낳은 후손들이다.[A] 서치상. (2020). 광해·인조 연간의 해인사 수다라장과 법보전 상량문 연구. 건축역사연구, 29(1), 65-76.[5] 정확한 진급 시기는 미상이나 1622년(광해군 14년)에 귀인으로 칭하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최소한 그 이전에 귀인에 봉작된 것으로 보인다.[6] 현재 경상북도 울진군 나곡리에 있는 광해군 왕녀 태실비로 확인 가능하다.[7] 다만, 《계해정사록》에서는 4월 9일에 처형하였다고 썼고, 《연려실기술》에서는 사약을 받았다고 썼다.[8] 인조실록 44권, 인조 21년 4월 18일 신사 1번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