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 |
| |
<colcolor=#005ba6,#59b3ff><colbgcolor=#f0f0f0,#191919> 후보 | <colbgcolor=#fff,#1c1d1f>대권주자 · 경선 (더불어민주당 / 후보 · 국민의힘 / 후보 · 개혁신당 · 진보당 · 정의당(연대회의)) · 최종 후보 |
여론조사 | 후보 확정 전 여론조사 (가상대결) · 후보 확정 후 여론조사 (비정기) · 출구조사 |
변수 | 변수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
결과 | 개표 결과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
지역별 (수도권 · 강원도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제주도 · 재외선거) | |
정당별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개혁신당 · 진보당 · 정의당) | |
기타 | 타임라인 · TV 토론회 |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제1차(2021년) 초대 지도부 선출 | 제2차(2021년) 제20대 대선 경선 | 제3차(2023년) 제2대 지도부 선출 |
제4차(2024년) 제3대 지도부 선출 | 제5차(2025년) 제21대 대선 경선 | 제6차(2025년) 제4대 지도부 선출 |
||<-6><tablewidth=500><bgcolor=#E61E2B><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fff,#1f2023><tablealign=right>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
| |||||||||
{{{#!wiki style="margin: -7px -11px" | 2021년 11월 5일 제20대 대선 경선 | → | 2025년 5월 3일 제21대 대선 경선 | → | 2029년~2030년 제22대 대선 경선 | ||||
2024년 7월 23일 제4차 전당대회 | → | 2025년 5월 3일 제5차 전당대회 | → | 2025년 제6차 전당대회 | }}} | ||||
선출 대상 |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 ||||||||
투표율 | |||||||||
방식 | 1차 경선 | 국민 여론조사[A](100%) 4인으로 압축 | |||||||
2차 경선 | 국민 여론조사[A](50%) 당원 선거인단[B](50%) 과반수 미득표 시 결선투표 | ||||||||
링크 | |||||||||
선거 결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후보 | [[국민의힘| 국민의힘 ]]??? | [[국민의힘| 국민의힘 ]]??? | ||||||
전체 득표 | |||||||||
?표 ?% | ?표 ?% | }}} | |||||||
대통령 후보 당선인 | |||||||||
<nopad> | |||||||||
<nopad>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미정 |
1. 개요
제21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후보 경선에 대해 서술한 문서. 당초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는 한동훈 전 대표 사퇴 후 차기 지도부 구성을 위한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거로 기획되었으나 당대표 선출이 지지부진한 사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으로 대선이 앞당겨져 대선 후보 경선으로 변경되었다.2. 후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후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후보#|]][[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후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21.8px, transparent 21.8px), linear-gradient(315deg, #ffffff 50.5px, transparent 50.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e61e2b> 기호 | 정당 | 이름 | 비고 | |||
A-1 | 국민의힘 | 유정복 | |||||
A-2 | 국민의힘 | 안철수 | |||||
A-3 | 국민의힘 | 김문수 | |||||
A-4 | 국민의힘 | 양향자 | |||||
B-1 | 국민의힘 | 이철우 | |||||
B-2 | 국민의힘 | 나경원 | |||||
B-3 | 국민의힘 | 홍준표 | |||||
B-4 | 국민의힘 | 한동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21.8px, transparent 21.8px), linear-gradient(315deg, #ffffff 50.5px, transparent 50.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승리캠프 | 나경원 캠프 | 미래발전포럼 | 양향자 캠프 |
일하는 대통령 캠프 | 기적캠프 | 국민먼저 캠프 | 무대홍 캠프 | |
3. 일정
||<-3><tablealign=center><bgcolor=#e61e2b><colcolor=#fff><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e61e2b><tablewidth=600px> ||
<colbgcolor=#e61e2b>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거 일정 | ||
1차 경선 | <colbgcolor=#f5f5f5,#2d2f34> 4월 14일 | 경선후보자 등록 시작 |
4월 15일 | 경선후보자 등록 종료 (11인 등록) | |
4월 16일 | 서류심사 통과자 발표 (1차 경선후보 8인 확정) | |
4월 17일 | 1차 경선 미디어데이 (조별리그 배정) | |
4월 18일 | 후보자 비전대회 | |
4월 19일 | 1차 경선 A조 토론회 | |
4월 20일 | 1차 경선 B조 토론회 | |
4월 22일 | 1차 컷오프[4] (2차 경선 진출자 4인 압축) | |
2차 경선 | 4월 23일 | 2차 경선 미디어데이 |
4월 24일 | 1대1 주도권 토론회 | |
4월 25일 | ||
4월 26일 | 4자 토론회 | |
4월 29일 | 2차 컷오프[5] (결선투표 진출자 2인 압축) | |
<nopad> 3차 경선 | 4월 30일 | 본경선 토론회 |
5월 3일 |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 (제21대 대통령 후보 지명) |
4. 경선 과정
4.1. 1차 경선
4.1.1. 후보자
| '''{{{#fff 1차 경선 진출자 발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6em; margin-top: -10px" | |
진출 방식 | |||
등록한 경선후보자 중 서류심사 후 부적격자 컷오프 | |||
후보자 | |||
김문수 (金文洙) | 나경원 (羅景垣) | 안철수 (安哲秀) | 양향자 (梁香子) |
유정복 (劉正福) | 이철우 (李喆雨) | 한동훈 (韓東勳) | 홍준표 (洪準杓) |
4.1.2. 토론회
| '''{{{#fff 1차 경선 미디어데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6em; margin-top: -10px" |
토론회 조별리그 주제별 후보자 | |
<colbgcolor=#f5f5f5,#2d2f34> A조 | <colbgcolor=#fff,#1c1d1f>주제: 청년미래 유정복, 안철수, 김문수, 양향자 |
B조 | 주제: 사회통합 이철우, 나경원, 홍준표, 한동훈 |
| '''{{{#fff 1차 경선 후보자 비전대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6em; margin-top: -10px" |
| '''{{{#fff 1차 경선 A조 후보자 토론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6em; margin-top: -10px" |
| '''{{{#fff 1차 경선 B조 후보자 토론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6em; margin-top: -10px" |
4.1.3. 결과
| '''{{{#fff 1차 경선 결과 발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margin-top: -10px" |
진출 방식 | |||
국민 여론조사[A] 100% (4월 21일~4월 22일) | |||
후보자 | |||
○○○ (○○○) | ○○○ (○○○) | ○○○ (○○○) | ○○○ (○○○) |
4.2. 2차 경선
4.2.1. 후보자
<rowcolor=#fff> 후보자 | |||
○○○ (○○○) | ○○○ (○○○) | ○○○ (○○○) | ○○○ (○○○) |
4.2.2. 토론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4.2.3. 결과
| '''{{{#fff 2차 경선 결과 발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margin-top: -10px" |
방식 | |||
당원 투표 50% (4월 26일~4월 27일) | |||
<rowcolor=#fff> 후보자 | 득표 수·율 | 순위 | |
<rowcolor=#fff> 득표수 | 득표율 | ||
<rowcolor=#000000,#dddddd> ○○○ | -표 | -% | -위 |
○○○ | -표 | -% | -위 |
○○○ | -표 | -% | -위 |
○○○ | -표 | -% | -위 |
방식 | |||
국민 여론조사[A] 50% (4월 26일~4월 27일) | |||
<rowcolor=#fff> 후보자 | 득표 수·율 | 순위 | |
<rowcolor=#fff> 득표수 | 득표율 | ||
<rowcolor=#000000,#dddddd> ○○○ | -표 | -% | -위 |
○○○ | -표 | -% | -위 |
○○○ | -표 | -% | -위 |
○○○ | -표 | -% | -위 |
<rowcolor=#fff> ○○○ - (-%) | ○○○ - (-%) | ○○○ - (-%) | ○○○ - (-%) |
과반 이상의 득표를 한 후보자가 없을 시, 최다 득표자 2명을 추린 후 최종경선을 실시 |
4.3. 최종경선
4.3.1. 후보자
<rowcolor=#fff> 후보자 | |
○○○ (○○○) | ○○○ (○○○) |
4.3.2. 토론회
| '''{{{#fff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최종 경선 토론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margin-top: -10px" |
5. 결과
| '''{{{#fff 본경선 결과 발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margin-top: -10px" |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 | |||
<rowcolor=#373a3c,#dddddd>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 | ? | 2위 |
| ?% | 낙선 | |
| ???(???) | ? | 1위 |
| ?% | 당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rowcolor=#373a3c,#dddddd> 투표 수 | ? | ||
<rowcolor=#373a3c,#dddddd> 무효표 수 | ? |
5.1. 투표율
일자·시간별 당원 선거인단 투표율 | ||
선거인 수: ?명 | ||
?월 ?일 (모바일 K-Voting) | ||
<rowcolor=#373a3c,#ddd> 시간 | 투표자 수 | 누적 투표율 |
<colbgcolor=#f5f5f5,#2d2f34> 10시 | ? | ?% |
11시 | ? | ?% |
12시 | ? | ?% |
13시 | ? | ?% |
14시 | ? | ?% |
15시 | ? | ?% |
16시 | ? | ?% |
17시 | ? | ?% |
?월 ?일 (모바일 K-Voting) | ||
<rowcolor=#373a3c,#ddd> 시간 | 투표자 수 | 누적 투표율 |
10시 | ? | ?% |
11시 | ? | ?% |
12시 | ? | ?% |
13시 | ? | ?% |
14시 | ? | ?% |
15시 | ? | ?% |
16시 | ? | ?% |
17시 | ? | ?% |
?월 ?일 (ARS 투표) | ||
14시[8] | ? | ?% |
17시[9] | ? | ?% |
?월 ?일 (ARS 투표) | ||
15시[10] | ? | ?% |
17시 (최종)[11] | ? | ?% |
시도당별 당원 선거인단 투표율[12] | ||
<rowcolor=#373a3c,#ddd> 구분 | 투표 수 | 투표율 |
대의원 | ? / ? | ?% |
서울 | ? / ? | ?% |
부산 | ? / ? | ?% |
대구 | ? / ? | ?% |
인천 | ? / ? | ?% |
광주 | ? / ? | ?% |
대전 | ? / ? | ?% |
울산 | ? / ? | ?% |
세종 | ? / ? | ?% |
경기 | ? / ? | ?% |
강원 | ? / ? | ?% |
충북 | ? / ? | ?% |
충남 | ? / ? | ?% |
전북 | ? / ? | ?% |
전남 | ? / ? | ?% |
경북 | ? / ? | ?% |
경남 | ? / ? | ?% |
제주 | ? / ? | ?% |
재외국민 | ? / ? | ?% |
5.2. 세부 결과
6. 총평
7. 여담
- 후보자 컷오프 인원이 2022년 대선 경선 때와 달라졌다. 1차 12인, 2차 8인, 최종 4인이었던 기존 인원이 1차 8인, 2차 4인으로 바뀌었다. 최종 경선이 2차 경선에서 과반수가 없을 때만 본 경선에 도입하는 결선 투표의 형태를 갖추었다.
- 경선 흥행을 위한 여러 오락 요소가 도입될 예정이다. # #
- 1차 경선의 A·B조로 나뉘는 조 선정은 단순히 뽑기 방식이 아닌 의자 뺏기를 통하여 예비 후보들이 직접 조를 택하는 식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토론 상대를 운에 맡기는 것이 아닌 각자가 원하는 주제에 맞춰 원하는 상대를 고를 수 있도록 해 시청자들이 재미를 더 느낄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13] 유력한 후보자가 다수 속한 죽음의 조가 나타날 수도 있다.[14] 후보자의 MBTI 소개와 밸런스 게임 등의 순서도 도입할 예정이다. 출마의 변을 주어진 1분에 가장 가깝게 마치는 후보에게는 토론회에서 우대 혜택도 주어진다.
- 2차 경선에서는 각 후보자들은 자신이 토론하고 싶은 상대 후보자를 정하게 된다. 후보를 정하는 방식은 과거 TV 프로그램 주먹이 운다[15], 후보자 간의 '칭찬 릴레이', 공식 토론 전 '악플 읽기'와 같은 순서도 예정돼 있다. 인공지능이 꼽은 후보자를 겨냥한 '최악의 악플'에 대한 후보자의 답변을 듣는다.
- 최종 경선에서는 양자 구도 토론회를 방청객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다. 방청객은 각 후보의 정책과 공약에 대해 직접 질문할 수 있으며, 답변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점수를 깎는 '언더커버 평가'도 한다. 이 과정에서 심박수 장치를 활용해 후보의 긴장감을 수치로 실시간으로 보여줄 예정이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61e2b><colcolor=#FFF> 역사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다른 정당과의 관계 | |||
전당대회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
선거 | 지지 기반 | ||
20대 대선 | 경선 · 선거대책본부 · 국민캠프 ·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 정권교체동행위원회 · 결과 | ||
8회 지선 | 선거대책위원회 ·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 · 결과 | ||
22대 총선 | 공천 갈등 · 중앙선거대책위원회 · 결과 | ||
21대 대선 | 경선 · 결과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행보 관련) | ||
관련 단체 | 여의도연구원 · 청년의힘 | ||
미래통합당 · 국민의당 · 시대전환 · 국민의미래 | |||
기타 | 보수주의 · 국제민주연합 · 국민의힘 마이너 갤러리 · 나는 국대다 (1회 · 시즌2 · 2회) · 국민의힘 해산 청원 · 국민의힘 중앙당사 · 국민의힘 18룡 | ||
관련 틀 |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상임고문단 · 계파 분류 · 21대 국회의원 · 22대 국회의원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5BA6,#FFC224> 정당 | 상황 | 후보 |
더불어민주당 | <colbgcolor=#f8f8f8,#222427>경선 진행 중 2025년 4월 27일 경선 | ||
국민의힘 | 경선 진행 중 2025년 5월 3일 경선 | ||
조국혁신당 | 무공천 결정 야권 유력 후보 지지 | ||
개혁신당 | 예비후보 등록 2025년 3월 18일 경선 | 이준석 | |
진보당 | 경선 진행 중 2025년 4월 19일 경선 | ||
기본소득당 | 자격심사 실시 중 4월 21일 2차 심사 결과 발표 | ||
사회민주당 | 무공천 결정 범민주진보 후보 지지 | ||
노동당 | 정의당 경선 참여 | ||
녹색당 | |||
자유통일당 | 경선 일정 미확정 | ||
정의당 | 경선 진행 중 2025년 4월 30일 경선 | ||
◀ 제20대 제22대 ▶ | }}}}}}}}}}}} |
[A] 국민의힘 지지층 및 무당층을 대상으로 한 역선택 방지 조항 포함.[A] [B] 2024년 4월 기준 1년 이내에 당비를 납부한 기록이 있는 당원. 선거인단 현장투표는 실시하지 않음.[4] 득표수와 순위는 공개하지 않는다.[5] 결선투표제 당규에 따라 50% 이상 득표하는 후보가 나오지 않는 경우에 한해, 1·2위 후보 간 최종 경선을 진행한다.[A] [A] [8] [9] [10] [11] [12] [13] 정작 장소에 도착한 순서대로 차례차례 선택권을 주었기에,긴장감은 없었다.[14] 물론 해당 조는 토론회 조 배정일 뿐이지 컷오프 과정에서 조별 O명 같은 시스템은 없다.[15] 예시를 들자면 "○○○ 후보가 “야 너 나와!”라고 특정 후보를 지목한 뒤 토론을 벌이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