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3:39:25

고블린/창작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블린
1. 개요2. 일반적인 특징3. 개별 문서4. 판타지 마스터즈의 종족명 및 카드 소재5. 신격의 바하무트의 고블린6. 그랑블루 판타지 세계관의 고블린7. 피터 그릴과 현자의 시간의 고블린8. 에우슈리의 고블린9. 영화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의 고블린10. 관련 문서

1. 개요

창작물에 등장하는 고블린들을 정리한 문서.

2. 일반적인 특징

3. 개별 문서

4. 판타지 마스터즈의 종족명 및 카드 소재

5. 신격의 바하무트의 고블린

그냥 동네 바보들. 고블린 슬레이어 루시우스, 고블린 킬러 티나, 고블린 헌터 피나에게 쓸리는 불쌍한 종족. 심지어 같은 고블린인 미니 고블린메이지에게도 털린다. 심지어 미니 고블린메이지는 피나와 친구다. 고블린 킹이나 엠페러도 등장했지만 이놈들도 플레이어인 기사와 티나, 피나, 미니 고블린메이지에게 썰렸다. 루시우스, 티나, 피나 중 제일 두려워하는 존재는 티나인 것으로 보이는데, 떼 쓰는 어린 고블린에게 엄마 고블린이 말 안 들으면 티나가 잡아먹으러 온다고 겁준다. 이렇기는 해도 쥐들의 왕국을 멸망시킬 정도의 힘은 가졌다.

6. 그랑블루 판타지 세계관의 고블린

신격의 바하무트와 같은 회사의 같은 게임이라서 세계관 일부가 연동돼있다. 고블린 남성체는 위에서 나온대로 탐욕스럽고 못생긴 그대로 표현되지만 고블린 여성체는 귀여운 미소녀로 표현된다. 거기에 한술 더 떠서 대놓고 고블린처럼 행동하는데 아무도 고블린이라곤 생각 안한다.

다만 신격의 바하무트 4컷 만화에서 미니고브와 다른 고블린 여성체가 등장했는데 남성체처럼 못생긴 모습이었다. 그래서 미니고브가 특별한 존재라 인간처럼 생긴 것이라 생각되었지만, 이후 게임 본편의 스토리에서 하이 고블린 메이지와 고블린 프린세스라는 고블린 여성체들이 키 작은 녹색 머리 엘프라 할 만한 모습으로 등장하면서 뭐가 뭔지 알 수 없게 되어 버렸다. 딱히 미니고브만이 특별한 존재인 건 아닌 듯 하고, 아무래도 고블린 여성체는 개체별로 외모의 편차가 큰 것 같다.

고블린 남성체와 고블린 여성체 모두에 공통되는 특징이 하나 있다면 피부색이 다양한 편이어서, 우리가 흔히 고블린 하면 떠올리는 녹색 피부 외에도 갈색 피부나 연주황색 피부 같은 평범한 피부색을 가진 경우도 있다는 것. 게임의 스토리에서 등장하는 고블린 여성체들의 경우 보통 녹색 피부가 아니고, 고블린 남성체의 경우에도 잡몹들은 녹색 피부인 경우가 많지만 고블린 킹 같은 상위 개체의 경우는 녹색 피부가 아니다.

7. 피터 그릴과 현자의 시간의 고블린

오우거와 오크도 미소녀로 등장하는 만화지만 고블린은 일반적인 고블린 모습으로 등장한다.[5] 쓸데없이 거유라 징그러울 지경. 수십년에 한번씩 암컷 고블린들이 대량 발생해 남자를 습격해 강간하기 때문에 대재해로 불린다.

8. 에우슈리의 고블린

기존의 고블린과 같은 부분도 있지만, 다른 부분이 많고 여러가지 의미로 강렬하다. 대부분의 매체에서 고블린이 초반 경험치용으로 묘사되는 것과 달리, 디르=리피나의 고블린은 오히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오크에 가깝다.

명색의 례희 ~조용히 사라지는 푸른산호의 숲~》에서 고블린 계열은 게임 시작 직후부터 엔딩을 볼 때까지 다양한 활약을 해주는 매우 중요한 종족이다. 대부분의 매체에서 묘사되는 경험치용 몬스터처럼 보이는 정찰병이나, 그 발전형인 암살자 부대도 있는가 하면, 인해전술로 대표되는 보병 부대를 거쳐서 엘리트 중의 엘리트로 묘사되는 대장군 부대도 있다. 이 정도면 인간과 거의 다를 바 없다.

이에 비해 디르=리피나의 오크는 돼지+도깨비라는 설명에 아주 충실하게 제작되어 비주얼적으로 정말 처참한 수준이다. 오크는 부대편제에서 대체로 숫자가 적으며 부대 보충 시 드는 비용이 비싼 걸로 봐서는 종족 자체의 개체수가 고블린에 비해 적은 것으로 추정되며, 고블린 보병부대의 구성원보다 약한 구성원으로 편제된 부대는 없는 걸로 봐서는 평균적인 능력은 그래도 고블린보다 나은 것 같으나, 어떠한 편제에서도 고블린의 그것에 비해 효율은 물론이고 성능에서도 나은 점을 보여주지 못한다. 다만 이건 오크가 약하다기보다는 고블린이 너무 세다고 봐야 할 것이다. 심지어 대장군까지 올라온 고블린은 오크나 엘프는 물론, 마족 최강으로 묘사되는 비천마족[6]과도 맞먹는 모습을 보인다.

스토리에 관여되는 측근 중에도 고블린 대장군이 있고, 인간이나 천사 영웅들과도 일기토를 겨루는 등 "이게 도대체 어딜봐서 고블린이야!" 하는 수준의 묘사가 다수 등장한다. 다만 지방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명색의 례희 ~조용히 사라지는 푸른산호의 숲~》 외의 게임에서 고블린이 이 정도까지 활약하는 게임은 찾아볼 수 없다. 또, 이후 히트를 친 《히메가리 던전 마이스터》에서는 오크 유닛은 등장했지만 고블린은 아예 등장조차 못했다. 또, 《명색의 례희》에서 사용된 고블린의 디자인이 오크에게 사용되었다. 다만 히메가리의 경우는 세계관이 다르기 때문일 수도 있다.

9. 영화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의 고블린

소설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을 각색한 영화에서는 두꺼비 비슷한 모습으로 등장하며 토마토 소스와 식초, 소금이 약점이라고 한다. 특히 토마토 소스는 고블린들을 녹여버린다고.

10. 관련 문서



[1] 하지만 상품이 정상적인게 아닐 때도 많다. 한눈에 봐도 팔리지 않을 게 뻔하거나 팔아서는 안될 걸 능수능란한 말빨로 높은 값에 후려쳐 팔거나, 겉만 잘 꾸며서 하자를 숨기고는 팔아치운 후 벌어지는 문제에서 냉큼 발을 빼버리기 때문. 그래서 고블린은 유독 악덕상인과 사기꾼의 이미지가 강한 편이다.[2] 갈 데까지 가는 경우 아톰펑크 특유의 핵연료나 그걸 모티브로 삼은 가공의 자원을 활용하기도 한다.[3] 이 특성만 믿고 생초보 모험가들이 지나치게 방심하다 얼타는 사이에 고블린들에게 당한다는 묘사가 종종 나올 때도 있다.[4] 간혹 지상이 아니라 지하의 동굴에 사는 탓에 드워프, 노움 등 영역이 겹치는 타 종족과 갈등을 빚기도 한다. 하수도 등 인간이 만들어놓은 '불결한' 공간에 몰래 거주하기도.[5] 다만 여왕 친위대인 지옥의 3총사는 일반적인 미소녀 외형을 가지고 있다.[6] 날개가 달려 하늘을 날 수 있으며, 선천적으로 강력한 힘과 마력을 가지는 마족.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이제까지의 게임에서 등장한 비천마족은 모두 여성이다. 무기는 하늘을 날기 때문인지 주로 사거리가 대단히 긴 연접검을 사용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