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09:40:59

계원예술고등학교

계원예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px"
강원예술고등학교 경기예술고등학교 경남예술고등학교 경북예술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
고양예술고등학교 광주예술고등학교 국립국악고등학교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덕원예술고등학교
부산예술고등학교 브니엘예술고등학교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1] 서울예술고등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세종예술고등학교 안양예술고등학교 인천예술고등학교 전남예술고등학교 전주예술고등학교
진도국악고등학교 충남디자인예술고등학교 충남예술고등학교 충북예술고등학교 한국조형예술고등학교
한국창의예술고등학교 [2]
}}}
[1] 학교 비리로 인해 예고 자격을 박탈시키겠다는 논란이 있었으나 당분간은 예고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다.[2] 포항예고, 김천예고 (2019) / 대전예고 (2021) / 울산예고 (2022)는 특목고에서 지정이 해제되었거나 해제 예정이며 이 틀에 없는 학교 중 교명에 '예술'이 붙은 학교는 예술고등학교가 아니라 예술 계열 특성화고등학교로 분류됩니다.
}}}}}} ||

파일:성남시 CI_White.svg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계원예술고등학교 낙생고등학교 늘푸른고등학교 돌마고등학교 보평고등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분당고등학교 분당대진고등학교 분당아람고등학교 분당영덕여자고등학교
분당중앙고등학교 불곡고등학교 서현고등학교 성남외국어고등학교 송림고등학교
수내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운중고등학교 이매고등학교
이우고등학교 태원고등학교 판교고등학교 한솔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계원전경.png
학교 전경
<colbgcolor=#A69265><colcolor=white>
계원예술고등학교
桂園藝術高等學校
KAYWON HIGH SCHOOL OF ARTS
<nopad> 파일:계원예술고등학교교표.png파일:계원예술고등학교교표화이트.png
교훈 창의 + 신념 + 성실
분류 예술고등학교
형태 사립
설립자 전락원[1]
설립 1979년 4월 21일 ([age(1979-04-21)]주년)
개교 1980년 1월 24일 ([age(1980-01-24)]주년)
교장 박선종
교감 장미경
성별 남녀공학
학교법인 계원학원[2]
관할 교육청 경기도성남교육지원청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불정로 100
,(정자동 207),
현황
<colbgcolor=#A69265><colcolor=#fff>
재학생
967명(2024년)
교직원
49명(2024년)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계원예술고등학교
}}}}}}}}}}}} ||

1. 개요2. 학교 연혁3. 교훈 및 상징
3.1. 교표3.2. 설립취지3.3. 교육목표3.4. 교훈
4. 학교 시설
4.1. 본관동4.2. 교실 배치4.3. 미술실기동4.4. 공연예술실기동4.5. 벽강예술관4.6. 파라다이스관
5. 학교 생활
5.1. 학과5.2. 학급 편성
6. 교복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7.2. 철도
8. 출신 인물9. 기타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한 예술고등학교다. 개교기념일은 10월 10일이며, 미술과, 음악과, 무용과, 연극영화과 총 4개 학과가 있다. 미술과, 음악과 3학급, 무용과, 연극영화과 1학급으로 학년당 8학급, 총 24학급이 운영 중이다.

파라다이스 그룹 산하의 학교법인 계원학원 소속이며, 같은 재단인 계원예술중학교와 부지를 공유하고 있다.

2. 학교 연혁

파일:계원예술고등학교교표.png 계원예술고등학교 학교연혁
KAYWON HIGH SCHOOL OF ARTS
날짜 연혁
1979년 4월 21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설립인가, 설립자겸 초대이사장 전락원 선생 취임
1980년 1월 24일 계원예술고등학교 본인가
1980년 2월 19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제2대 이사장 전숙희 선생 취임
1980년 3월 18일 초대교장 김원경 선생 취임
1980년 3월 20일 제 1회 입학식 (미술과 2학급, 음악과 1학급, 무용과 1학급, 연극영화과 2학급)
1987년 3월 1일 음악과 1학급 증설 및 연극영화과 1학급 감축
1990년 10월 12일 제2대 교장 정희경 선생 취임
1992년 3월 1일 제 3대 교장 김돈구 선생 취임
1992년 6월 17일 예술계 특수목적고등학교 지정
1994년 3월 7일 새교사 신축(분당 이전)[3]
1995년 3월 1일 미술과 1학급, 음악과 1학급 증설[4]
1996년 3월 1일 제4대 교장 심치선 선생 취임
1997년 8월 28일 미술실기동 3,4층 증축
1999년 3월 1일 자율학교 지정
2003년 2월 7일 벽강예술관 개관
2004년 3월 1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제3대 이사장 전락원 선생 취임
2004년 11월 26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제4대 이사장 정원식 선생 취임
2005년 3월 2일 제5대 교장 모영기 선생 취임
2005년 10월 25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이사장 직무대행 추호석 선생 선임
2006년 6월 1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제5대 이사장 김영기 선생 취임
2008년 3월 1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제6대 이사장 윤성태 선생 취임
2008년 9월 1일 제6대 교장 김명구 선생 취임
2010년 11월 1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이사장 직무대행 추호석 선생 선임
2011년 6월 17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제7대 이사장 이상구 선생 취임
2013년 1월 1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이사장 직무대행 추호석 선생 선임
2013년 2월 13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제8대 이사장 윤영섭 선생 취임
2016년 9월 1일 제7대 교장 나상진 선생 취임
2017년 2월 28일 파라다이스관 개관
2017년 12월 27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제9대 이사장 김영식 선생 취임
2022년 1월 1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제10대 이사장 김명구 선생 취임
2023년 10월 11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이사장 직무대행 최성욱 선생 선임
2024년 9월 1일 제8대 교장 박선종 선생 취임
2025년 1월 10일 학교법인계원학원 제11대 이사장 최성욱 선생 취임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파일:계원예술고등학교교표.png
교표

3.2. 설립취지

계원예술고등학교 설립취지
인간은 문화와 문명을 창조하여 위대한 역사를 만든다.
그래서 학교 법인 계원학원에서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인격도야와 창조정신을 길러 민족문화창달에 기여하며,
나아가 세계인류 문화 발전에 공헌할 성실하고 유능한 예술인을 조기 육성하기 위해 계원예술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3.3. 교육목표

계원예술고등학교 설립취지
1.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예술인을 육성한다.
2. 폭넓은 교양교육을 바탕으로 개인의 잠재력을 계발함으로써 창의적인 전문 예술인을 육성한다.
3. 외국어 교육에 역점을 둠으로써 세계화 시대를 이끌어 갈 글로벌 예술인을 육성한다.
4. 민족 문화에 대한 긍지를 바탕으로 세계 문화에 이바지하는 예술인을 육성한다.

3.4. 교훈

계원예술고등학교의 교훈
창의 + 신념 + 성실

4. 학교 시설

4.1. 본관동


참고로 본관에서 교실이 있는 복도에는 화장실이 하나 있는데, 2층의 경우 남자 화장실이 없다. 미술실기동 2층에도 없다. 때문에 1층으로 내려가거나 3층으로 올라가는 편이 빠른데 본관과 미술 실기동의 1층에 있는 화장실들은 공식적으로는 교사용 화장실이다.

2022년 이후로 본관 지하가 무용과 실기실로 쓰이게 되었다.

본관에 엘리베이터가 없다. 내진설계가 되어있지 않아 엘리베이터 설치 허가를 받을 수 없다.

4.2. 교실 배치

아래의 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교실이 학년이나 학과에 딱딱 맞춰서 배치되어 있지는 않다. 모든 층을 여러 학과 혹은 여러 학년이 공유하도록 배치되어있다. 그러나 이건 미술과 반들은 실기동과 구름다리로 연결되어있는 쪽에, 무용과와 연극영화과는 연결된 공연예술동 쪽에 배치해서 학생들이 이동수업을 할 때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예외적으로 5층에는 음악과 교실만 6학급 있다.
5층 음악과 2학년 음악과 1학년
2 - 4 2 - 5 2 - 6 1 - 4 1 - 5 1 - 6
4층 미술과 1학년 음악과 3학년
1 - 1 1 - 2 1 - 3 3 - 4 3 - 5 3 - 6
3층 미술과 3학년 무용과
3 - 1 3 - 2 3 - 3 1 - 7 2 - 7 3 - 7
2층 미술과 2학년 연극영화과
2 - 1 2 - 2 2 - 3 1 - 8 3 - 8 2 - 8

4.3. 미술실기동


2, 3, 4층은 본관동과 연결되어 있다.

4.4. 공연예술실기동

4.5. 벽강예술관

4.6. 파라다이스관

2016년 12월 28일에 준공식을 올렸다. 부족한 시설 보강을 위해 운동장 위에 새로운 층을 쌓고 위를 모래로 덮어 운동장으로 사용, 지하를 쓰는 방식이다. 교직원 주차장, 실용음악연구실과 연습실, 무용연구실과 연습실이 있으며 중학교에만 있던 체육관이 생겼다.

5. 학교 생활

5.1. 학과

5.2. 학급 편성

6. 교복

tvN 드라마 도깨비에서 김고은이 입은 교복이기도 하여 화제가 되었다.[6]
파일:도깨비교복.jpg

최근에는 폴아웃 4라는 게임의 모드로도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본교 앞 정차 (분당도서관. 계원예고. 계원예술학교)
본교 도보 4분 거리 정차(KT. 주택전시관)
본교 도보 5분 거리 정차(이마트앞)
본교 도보 5분 거리 정차(정자3동주민센터, , 앞에 나열한 버스 제외)

7.2. 철도

8.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미술과

음악과

무용과

연극영화과

9. 기타

10. 둘러보기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예술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부천시
경기예술고등학교
성남시
계원예술고등학교
고양시
고양예술고등학교
안양시
안양예술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학교법인 계원학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colbgcolor=black> 중학교 계원예술중학교
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
대학교 계원예술대학교
}}} ||

[1] 파라다이스 그룹의 창업주다.[2] 계원예술중학교, 계원예술대학교와 같은 파라다이스 그룹의 학교법인이다.[3] 계원예술고등학교가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면서, 기존의 계원예술고등학교 교사는 계원예술대학교가 단독으로 사용하게 되었다(경기도 의왕시). 12기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로 이전하기 전 마지막 졸업기수이다.[4] 미술과 3학급, 음악과 3학급, 무용과 1학급, 연극영화과 1학급. 체제가 이 때 정착되었다.[5] 쥐가 나온다[6] 김고은은 실제로 촬영장소인 이 학교가 본인의 모교이다.[7] 코리아 넘버원 케이원이라는 의도가 담겨있다고. 교장이 직접 말했다.[8] 예전 이름은 분당정보산업고등학교.[9] 탄천이 가로막고 있어 멀리 있을 거 같지만, 의외로 분당경영고등학교에서 가깝다. (도보로 약 10분 정도 걸린다)[10] 왜냐 하면 모재단인 파라다이스 그룹 자체가 개신교 재단이고, 창업주 전락원 회장 역시 장로회 목사의 아들로 생전에 자신의 아버지가 설립한 교회인, 서울구치소 인근의 덕장교회(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교단)를 다니는 독실한 신자였기 때문이다.[11] 연극영화과가 제일 적극적이고, 미술과는 참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