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20년 12월 31일부터 시행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개편을 서술하는 문서이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2020년 7월 31일에 개편을 진행하려고 하였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해 시민공청회가 사실상 어려워져 2020년 12월 31일로 연기되었다.2. 개편 요약
전 노선 준공영제 참여- 무산
- 인천e음버스, 지선순환버스 신설
- 시내버스 노선 변경
2020년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개편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신설 | 간선 | 47 | 58 | 206 | |||||
지선 | 594 | e음11 | e음12 | e음13 | e음15 | e음16 | e음17 | e음21 | ||
e음22 | e음31 | 순환41 | 순환42 | 순환43 | 순환44 | e음45 | 순환52 | |||
e음53 | 순환54 | e음55 | 순환56 | e음61 | e음71 | 순환83 | e음84 | |||
e음85 | e음86 | e음87 | e음88 | |||||||
급행간선 | 급행91 | 급행95 | 급행97 | 급행98 | 급행99 | |||||
변경 | 간선 | 1 | 2-1 | 3-2 | 4 | 5 | 5-1 | 6 | 7 | |
8 | 9 | 11 | 14-1 | 16 | 16-1 | 14-1 | 16 | |||
16-1 | 17-1 | 20 | 21 | 22 | 23 | 24 | 27 | |||
28 | 28-1 | 30 | 33 | 35 | 37 | 38 | 42 | |||
43 | 43-1 | 44 | 45 | 46 | 63 | 67-1 | 70 | |||
72 | 76 | 79 | 81 | 82 | 87 | 93 | 111-2 | |||
202 | 204 | 205 | 223 | 300 | 700-1 | |||||
좌석 | 60-5 | 103-1 | 111 | 303-1 | 320 | |||||
지선 | 506 | 514-1 | 517 | 519 | 526 | 531 | 532 | 538 | ||
551 | 556 | 558 | 564-1 | 565 | 581 | 582 | 583 | |||
584 | 584-1 | 591 | 595 | 538 | 556 | 558 | 560 | |||
562 | 565 | 566 | 579 | 581 | 582 | 583 | 584 | |||
588 | 591 | 592 | 595 | 순환51 | 순환91 | 순환92 | ||||
폐선 | 간선 | 14-1A | 42-2 | 60-2 | 68 | 94 | 721 | 754 | 760 | |
760-1 | 770-1 | |||||||||
지선 | 524 | 552 | 562 | 572 | 597 | 598 | 598-1 | |||
급행간선 | 904-1 | 905 | 908 | 909 | ||||||
좌석 | 780-1 | 780-2 |
3. 추진 방향
굴곡이 심한 장거리 간선버스 위주의 노선들을 단거리 지선버스 위주로 변경하고 기사 복지 향상을 위해 준공영제에 모든 노선이 참여하는 방식을 골자로 하며, 특수 목적인 청라국제도시 BRT를 제외한 한정면허 버스를 전부 다 폐선시키고 준공영제 노선으로 대체시키는 개편이다.[1] 사실 이는 2016년에 시청에서 의도한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청라~부평역 구간에서는 904번과 904-1번이 잘 다니고 있음에도 43번을 신설하고 40번과 46번을 청라~부평역 노선으로 변경하면서 904번은 폐선되고 904-1번은 차량 노후화와 나쁜 선형[2]으로 선호도가 낮아지는 중이다. 81번, 82번은 개통하면서 구간이 비슷한 780번, 780-2번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이들에게 밀린 780번은 폐선되고 780-2번은 파행 운행을 하였다.한정면허 노선과 경합하는 준공영제 노선은 상대적으로 우세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경쟁에서 패배한 한정면허 노선들은 자연스럽게 폐선 될 것이다. 790번은 준공영제로 전환되었으나, 다른 노선들은 전부 폐선 후 차량 전체가 말소되었다. 민영제인 66, 533, 534번과 광역버스 노선들은 이번 개편에서도 민영제로 유지된다.관련 자료
이번 개편으로 지선순환버스와 인천e음버스 여러 노선이 신설되었다. 총 17개의 노선, 66대의 버스가 운행하게 되었다. 순환버스는 인천광역시 지자치내에서 1개 이상의 노선이 계획되었고, 현재 운용되고 있다.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I-MOD가 10월 영종국제도시 지역을 필두로 도입되며, 차차 송도국제도시 등의 지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4. 경과
- 2020년 6월 26일, 인천시의 공식 발표를 통해 7월 13일부터 7월 17일까지 노선 개편에 관한 시민 설명회를 개최한 뒤 12월 31일부터 노선을 개편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개편 발표가 결정되면서 19개 노선이 신설되고 25개 노선이 폐지되는 등 전체 노선의 절반 이상을 개편한다고 나와 있다. 폐선 되는 노선은 대부분 한정면허 노선이다.
- 2020년 7월부터 서서히 개편 윤곽이 드러났다. 광역버스와 66번, 마을버스의 준공영제는 무산되었으며, 지선순환버스의 신설과 인천e음버스 신설을 골자로 한 지선버스 개편안이 공개되었다.[3][4] 그 외에 I-MOD의 연계성을 우선으로 두고 개편이 진행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 시민 설명회
- 2020년 9월 28일, 생활밀착형 순환버스 "인천e음버스"의 조기개통을 위한 업무 협약식이 체결되었다.관련 기사 이에 따라 일부 인천e음버스는 11월 중순부터 시범 운행을 실시하였다.
- 2020년 11월자 모 커뮤니티에 따르면 하이버스, 더월드교통이 운행할 인천e음버스 노선을 공영급행으로 양도한다는 기사가 올라왔으며#, 실제로 공영급행이 하이버스, 더월드교통의 운행분까지 도맡아 운영하게 되었다.
- 2020년 11월 27일, 인천e음버스 노선 중 일부(7개 노선)가 조기개통되었다. # 나머지 노선은 개편일인 12월 31일에 개통되었다.
- 2020년 12월 18일, 신설 노선인 47번의 노선이 한국GM 청라연구소를 무정차로 통과하는 대신 북항다목적부두와 모다아울렛을 경유하도록 조정되었다.
-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이 진행되었다.
5. 시민 반응
배차간격과 소요시간이 늘어난 노선이 많으며, 한정면허 대체 노선들이 미비하고, 결정적으로 시민 의견이 거의 반영되지 않아 반응이 좋지 않다.전반적인 반응은 2016년 개편보다도 문제점이 많다는 것이 중론이다. 영종국제도시 주민들은 205번 이원화, 598번 대체 노선 부재를 이유로 크게 반발하고 있으며[5] 남촌동 주민들도 5번을 2016년 개편 이전처럼 선수촌 - 구월도매시장 경유가 아닌, 남동경찰서 - 구월도매시장 경유를 원하였는데, 오히려 더 이용하기 어려워진 호구포로 직통으로 변경되며 불편함을 호소하였다.[6]
배차간격 문제도 심각한 편이다. 대부분의 시내버스는 개편으로 노선거리가 길어지고 차량이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길어지면서 시민들의 대기 시간이 크게 늘어났다. 특히 청라국제도시의 문제가 심각한 편인데, 명색이 국제도시인 인천의 대규모 인구밀집지역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10분 이하의 배차간격으로 다니는 노선은 BRT 7700번을 제외하면 단 하나도 없고, 15분 간격으로 다니는 노선도 17-1번, 43번, 72번, 202번, 701, 702번이 전부이다. 그나마도 평일에 1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토요일이나 공휴일이 되면 거의 대부분의 노선은 30분 간격으로 이용하기도 어려워진다. 검단 지역과 영종국제도시 같은 신규 택지지구 역시 배차간격이 20분 미만인 노선을 찾아보기 어려워지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대체 노선의 배차간격 문제도 심각한 편인데 대표적으로 기존 905번은 배차간격이 8~10분이였지만 급행95번과 급행97번으로 나눠지면서 배차간격이 15~22분으로 늘어나 주민들이 불편이 매우 커졌다.[7]
노선의 부실함도 부정적인 평가가 매우 많다. 시내만을 오가는 데 노선의 굴곡이 심하여 소요시간이 긴 경우가 많고, 심각한 곳은 그마저도 없는 지역도 있다. 여러 지역에서 노선 부실에 대한 주민들의 원성이 들려오는데, 특히 경제자유구역과 서구, 부평구의 원성이 자자한 편이며, 통학생들의 부담이 커졌다는 것이 중론이다. 급행91번은 103-1번의 송도 구간을 대체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인천 1호선만을 따라가는 선형으로 개통되어 주민들의 불만이 큰 상황이다. 부평구에서는 부개동 학생들의 주요 통학 노선이였던 760번, 760-1번을 없애면서 79번과 526번으로 대체하게끔 변경되었지만 79번과 526번 둘 다 기존 760번을 다니던 지역의 일부만을 커버하고, 배차간격이 기존 760번보다 길어지면서 통학생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결국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562번이 6월 26일부터 신설되어 운행을 시작했지만 배차간격이 길어 해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서구 검단 지역의 경우도 문제가 있지만 이 쪽은 김포시의 시내버스가 어느 정도 불편을 해소해 주고 있는지라 민원이 그나마 낮은 편이다. 검단의 내부 노선망 자체는 인천e음버스로 어느 정도 해결이 되었다고 생각이 들수도 있지만, 이 노선들의 배차간격이 매우 길어 검단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해주지 못하고 있다. 서구 구도심 역시 심각한 편으로, 노선망이 부실하여 시내 이동을 할때 한 번 이상 환승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8] 이는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문제점에도 서술되어 있듯, 증차와 노선 신설을 거의 하지 않는 인천광역시의 문제 때문으로 볼 수 있다.
6. 논란
- 순환31번 관교동 구간 미경유 논란
- 905번 폐선 논란
7. 결과
7.1. 긍정적인 평가
- 교통 사각지대 노선 신설
- 지선순환버스 재신설
7.2. 문제점 및 비판
긍정적인 평가와 달리 후술할 문제점들 때문에 2016년 당시의 개편으로 인한 각종 폐해가 그대로 반복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결국 해결되지 않은 굴곡 노선
기존에 알려졌던 내용과 같이 장거리, 굴곡 노선을 조정하여 배차간격 단축, 기사 복지 향상으로 서비스 향상을 바라는 시민들이 많았지만, 공개 된 개편안 노선들을 보면 오히려 더 심각해진 노선이 많다. 심해진 굴곡으로 평균 이동시간이 더 늘어났으며, 당연히 시민들 반응은 좋지 않다. 결국 이는 버스 노선 신설을 하지 않는 인천광역시의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일부 장거리 노선이 단축되거나 분리되고[10] 굴곡 역시 위에 생활밀착형 순환버스들의 존재로 완화되기는 하였으나 오히려 굴곡이 더욱 심해진 노선이 있고 장거리 노선들 역시 조금씩 단축하고 많은 구간이 잘려나갔음에도 운행거리에 큰 변화가 없는 700-1번이나 오히려 노선 연장으로 운행거리가 더 늘어난 591번같은 경우도 있으며, 33번처럼 차고지 기점화를 위해 무리하게 연장하여 굴곡이 더 심해진 노선도 있다. 또한 여전히 16-1번이나 204번처럼 80km가 넘는 노선도 존재하는 등.. 전반적으로 어정쩡하게 개편했다는 느낌이 강하다.
- 시민 의견이 거의 반영되지 않은 노선 변경
이번 개편 전 시민 의견을 듣는다고 시 홈페이지에 게시판까지 설치하는 등 나름 노력을 기울이기는 했지만, 실질적으로 시민 의견이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대표적인 예로 송도의 경우 103-1번의 현행유지를 강력히 항의했지만 급행91번이 103-1번 경로를 이어받게 하는 걸로 합의를 보며 끝나는가 싶었지만, 급행91번이 다시금 인천 1호선을 따라가는 경로로 변경되며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서운동 일반산업단지나 부평구에서도 노선 변경에 불편을 호소하는 의견이 많았지만 별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2016년 개편 전으로 돌아가는 30번의 경우도 논란이 많은 편이다. 30번은 서창동에서 만수동, 부평역으로 이동할 때 서창동 주민들이 많이 찾는 노선이었으나, 개편안이 공개되자 게시판에 30번 단축 반대, 대체 노선 투입 등의 게시글이 많이 올라왔으나 결국 서창동 구간이 단축시켰되었다.[11] 물론 기존 30번 연선 주민들의 요구 사항도 있었던 만큼 무조건 잘못된 선택이라고 보기에는 어렵겠지만 제대로 된 대체노선이 없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결국 이는 시민들의 의견과는 관계 없이 시의 관점만으로 노선 변경을 강행했다고 볼 수 있다.
- 급행간선버스 노선 대체 투입 미흡
기존에 운행하던 급행간선버스들은 급행95번, 급행98번, 급행99번의 번호로 바뀌어 운행되며 배차간격, 인가대수만 조정되어 현행유지로 운행하게 된다. 그리고 30번의 일부 구간에 기존 905번의 계양역 구간이 합쳐져 급행97번으로 운행하게 되었고, 송도-청라간 급행노선은 급행91번으로 신설되었다. 그러나, 차량을 새로 들여오는것이 아닌 기존 간선버스 차량을 감차하여 신설했기 때문에 인가대수가 감소하여 배차간격이 증가하였다. 특히 905번은 급행95번과 급행97번의 두 노선으로 쪼개지는데, 이 영향으로 배차간격이 크게 증가하여 기존 905번 이용 시민들의 불편의 목소리가 크다.
- 신설되는 인천e음버스의 긴 배차간격
기존에 교통이 비교적 소외했던 서구, 남동구, 중구(영종) 등의 지역에 인천e음버스가 신설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교통 소외지역을 연결한다는 취지 자체는 평이 좋은 편이나, 생활밀착형 순환버스의 신설로 인하여 소외지역 교통이 대체됨에 따라 소외지역에 들어가던 일부 간선, 지선버스들의 노선이 변경되어 결과적으로 기존 시내버스가 다니던 지역의 배차간격이 길어지는 결과를 가지고 왔다. 교통 소외지역을 이어주는 인천e음버스의 취지는 좋으나, 매우 긴 배차간격으로 효용성에 의문이 제기 되고 있다. 인천e음버스의 배차간격은 지역에 따라 16~70분으로 편차가 매우 심하며 다른 버스들보다 배차간격이 더 긴 편이다. 이 때문에 지역 주민들은 인천e음버스를 이용하지 않고 도보 이동을 하여 다른 시내버스를 이용하거나 자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 차량부족으로 늘어난 배차간격
이전보다 늘어난 배차간격도 문제이다. 기존에는 535-1번과 같은 오지로 들어가는 노선이 아닌 이상 환승 제한시간 30분을 넘는 경우는 거의 없었으나, 하지만 이번 개편으로 인하여 이용객이 적은 노선들은 30분을 넘는 노선이 많아졌다. 3-2번, 76번과 같이 배차간격이 줄어든 노선도 있지만 2-1번, 42번, 591번과 같이 노선 길이는 늘어났지만 차량 증차를 하지 않아 배차간격이 늘어난 노선이 많다. 기존에 잘 오는 축에 속했던 2번, 8번, 45번등의 노선들은 감차되어 배차가 6~9분으로 늘어나면서 시민들의 불편이 더 커지게 되었다. 개편 설명회 영상을 참고하자면, 기존 평균 배차간격은 18~19분이였으며, 이번 개편으로 평균 배차가 16~17분으로 기존 대비 10.8%가 단축 되었다고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존에 잘 오던, 사람들이 많이 타는 노선들은 감차하여 배차간격이 늘어나고 원래 배차간격이 길었던 노선들의 배차간격만 1~2분정도 줄어들어 시민 불편만 커졌다. 저기서 말하는 평균 배차는 말 그대로 225개에 달하는 버스 노선 전체를 통틀어서 말하는 것으로, 배차간격이 길었던 노선들의 배차간격을 단축시켰으니 평균 배차 자체는 줄어든 것이 맞다. 그러나 원래 자주 오던 노선들의 배차간격을 조금씩 늘렸기 때문에 체감 배차간격은 더 늘어나서 불편함이 커졌다. 특히 2번의 경우 한때 인천의 88번이라는 명성으로 이름을 떨쳤지만 현재는 7~9분 정도의 배차간격으로 그나마 좀 오는, 주말에는 15분 이상 벌어져서 더 이상 예전의 명성을 내세울 수 없게 되었다.
- 특정 지역 노선 부족 현상
2020년 개편으로 721번이 사라짐에 따라 기존 721번이 운행하던 구간에 소재하던 학교들의 교통편이 다소 열악해진 점이 있다. 특히 721번이 지나다니던 만수북중학교 ~ 만수주공4단지 구간 같은 경우, 지선버스인 538번만 다니게 되면서 대체할 수 있는 간선버스 노선이 완전히 사라졌다. 청라국제도시의 경우 상술했듯 일부 노선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노선의 배차간격이 최소 15분 이상이며, 9300번의 경우 주말에는 최대 3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또한 이번 개편으로 721번, 754번, 770-1번 등의 한정면허 버스들을 전부 다 폐선시키면서 이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다. 한정면허가 다니지 않게 된 구간들은 기존 간선버스들과 지선버스들이 연장을 해서 다니게 되게끔 변경되었지만 완벽한 대체 노선 역할을 하지 못해 시민들의 불만이 큰 상태이다.[12]
- 여전히 열악한 기사 처우
초기 개편 추진 방안은 기사들의 복지향상을 위해 전 노선이 준공영제에 참여하려고 할 예정이였으나, 이후 발표된 내용은 현 준공영제 추가 편입 없이 광역버스, 66번, 533번, 534번등은 현 방식인 민영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민영제 노선의 기사 처우는 여전히 열악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원래는 전 노선 준공영제 편입을 계획했었으나 아직 불안정한 인천광역시 재정으로 무리하게 전 노선 준공영제를 실시하려다가 철회하면서 개편이 틀어지게 된 것이다. 민영제만큼은 아니지만 준공영제 기사의 경우도 처우가 좋지 않은데, 운행시간 자체는 조금 더 널널해졌지만 위에서 서술했듯 여전히 80km가 넘는 장거리 노선이 산재하며 이번 개편으로 마련된 임시차고지에 화장실, 휴게실 등이 없어 용변 해결과 제대로 된 휴식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7.2.1. 어째서 이렇게 되었는가?
결국 2016년 때와 비교해서 나아진 면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는 인천광역시가 2016년 개편을 반면교사가 아닌 귀감으로 삼으며 더욱 문제가 많아졌다는 평이 대부분이다.사실 2020년 개편 때 인천광역시가 모든 버스의 준공영제를 무리하게 추진하다가 이것이 무산되고, 그 와중에도 준공영제 추진의 잔재를 남기는 어정쩡한 개편을 한 탓에 이렇게 이도저도 아닌 결과가 나온 것이다. 준공영제가 장점만 있는 완벽한 체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준공영제를 추진했다가 무산된 것이 이번 개편의 실패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한정면허 버스를 모두 폐선한 것도 문제인데, 수익이 떨어진다는 이유만으로 시민들에게 필요한 노선이라도 전부 폐선한 것이다. 비유하자면 방송사가 재방송 시청률이나 VOD 시청률 내지는 DVD 판매량이 좋게 나온 드라마도 본방송 시청률이 떨어진다는 이유만으로 조기종영시키는 케이스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1] 이로 인해 한정면허 노선들의 신차 출고가 2019년 상반기 이후로 중단되었고 말소되거나 타 회사 중고 차량으로 대차된 노선도 존재한다. 이미 780번, 903번, 904번, 907번이 개편 전에 폐선되었고 780-2번도 적자로 인해 폐선이 논의되었다는 카더라가 있었다.[2] 가정지구 7/8블럭 경유로 인해 소요시간이 꽤 늘어났다.[3] 총 17개 노선, 66대 운행.[4] 기존 지선버스들은 변화가 거의 없다. 신설되는 노선도 594번 하나 뿐.[5] #[6] 남촌동의 경우 상권이 동네에 있지 않고 옆동네 구월동이나 논현동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뜬금없이 514-1번의 남촌농산물도매시장 경유/27번의 남촌동 미경유, e음 45번의 남촌동 중심 미경유, 급행95번의 배차간격 증가 등 악조건이 더해지기만 하였다.[7] 다만 급행98번과 99번의 경우는 기존 908, 909번보다 공식 배차간격은 증가했으나, 적자로 파행 운행을 하여 배차간격이 30분 이상 벌어지는 경우가 많았기에 실질적으로는 오히려 단축되었다.[8] 동인천역 방면으로는 7번, 구월동 방면으로는 42번이 있지만 배차간격이 길어서 완벽한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9] 노선 개편 결과 페이지에서도 순환51번이 존치노선으로 안내되고 있다.[10] 30번, 46번, 700-1번, 592번이 이에 해당된다.[11] 서창동 주민들이 30번 단축을 반대한 이유는 송내역 우회루트의 존재와 만수동 - 서창동간 직통노선의 의의도 있었겠지만 중, 고등학생들의 통학 수요가 많아 반대 의견이 많았다. 특히 서창동 학생들은 대부분 만수동으로 학교를 나가기 때문에 이 문제가 더욱 두드러졌다. 대체 노선인 33번은 만수3지구로 돌아간다는 문제가 있다.[12] 721번은 37번, 526번으로 2분할 대체하고 754번은 27번과 순환56번으로 대체하며 760번은 67-1번과 14-1번이 대체한다. 770-1번은 2-1번, 14번과 584번, 급행95번으로 대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