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든 링| 제스처 · 도전 과제 · 평가 · 패치 내역 · 코믹스 출시 전 정보 · 육성 관련 정보 · 전작 관련 정보 DLC · 황금 나무의 그림자 | 스핀오프 · 밤의 통치자 |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エルデンリング Shadow of the Erdtree Elden Ring Shadow of the Erdtree | |
<nopad> | |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fafafa> 제작 | 프롬 소프트웨어 |
유통 | 프롬 소프트웨어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장르 | 3인칭 오픈 월드 ARPG |
플랫폼 | PlayStation 4 | Xbox One[1] PlayStation 5[2] | Xbox Series X|S[3] Microsoft Windows |
ESD |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 Steam |
출시 | 2024년 6월 21일 |
한국어 지원 | 자막 지원 |
공식 사이트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공식 론치 트레일러 |
[ruby(約束, ruby=やくそく)]の[ruby(王, ruby=おお)]を[ruby(待, ruby=ま)]つ 약속의 왕을 기다린다 |
2. 시스템 요구 사항
Intel ARC 그래픽카드 대응과 더불어 용량이 20GB 늘었다.
3. 트레일러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
{{{#!folding [ 자막 ] |
스토리 트레일러 |
4. 프롤로그
影の地 |
==# 발매 전 정보 #==
프리뷰 및 미야자키 디렉터와의 인터뷰에서 나온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스토리
- 미켈라는 스토리의 핵심 인물이다. 본편에서 축복의 인도를 따랐듯 미켈라의 행적을 따라가며 그 의도를 알게 되는 방식이다. 한편 플레이어와 마찬가지로 미켈라의 발자취를 좇던 다른 인물들과도 조우하게 된다.
- 영원의 여왕 마리카가 과거 그림자의 땅에 무엇을 했는지, 그리고 왜 미켈라가 마리카의 발자취를 따라갔는지도 스토리의 큰 축이다. 마리카의 과거는 본편의 파쇄전쟁과 유사하게 전달되고 그림자도 중요한 주제이다.
- 가시공 메스메르도 DLC의 중요 인물로 DLC에 왜 기존 틈새의 땅과 황금 나무의 이야기에 등장하지 않고 그림자 속에 사는지가 밝혀진다. 커버 아트에서 메스메르가 앉아있는 왕좌는 모르고트 보스룸에 있던 왕좌와 같은 종류이며 메스메르는 본편에 등장한 다른 데미갓들과 동등한 존재이고 마리카의 아이라고도 불린다.
- 2023년 2월 공개되었던 컨셉 아트 속에 자리하고 있는 나무는 황금 나무의 그림자인 그림자 나무로 장막은 그림자의 땅이 숨겨졌음을 상징한다.
- 과거의 발자취를 쫓는 것이 이야기의 주축이 될 뿐 DLC의 시간축은 엄연히 현재이다. DLC의 이야기는 DLC 안에서 종결되며 본편의 서사와 엔딩에 간섭하지 않는다.
- 컨텐츠
- DLC 지역인 그림자의 땅은 본편 지역과 단절되어 있는 곳이며 피의 군주 모그의 보스룸에 있는 고치를 통해 진입하게 된다. DLC 지역 진입을 위해선 별 부수는 라단도 쓰러트릴 필요가 있다.
- 그림자의 땅은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림그레이브와 비슷하며 본편보다 밀도와 깊이를 중시했다. 본편과 마찬가지로 레거시 던전들과 중소규모의 던전들로 구성되는데 이 던전들은 림그레이브 속 던전보다 더 크고 다양하다.
- DLC 필드 안에서만 유효한 레벨업 요소가 추가된다.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에서 싸움의 기억을 소모하여 공격력을 올리던 시스템과 유사하며 '이 보스는 어려우니 다른 곳을 먼저 탐험해서 강해진 뒤에 다시 도전하자'라는 경험을 고레벨 캐릭터로도 가능케 하는 것이 목적이다. DLC의 난이도는 본편 후반부와 유사하다.
- 10명 이상의 보스가 등장하며 개중에는 말레니아와 같이 DLC 진행을 위해 클리어할 필요는 없는 고난이도 보스도 존재한다.
- 위커맨을 연상케 하는, 불을 뿜는 거대한 적은 그림자의 땅에서 일어났던 전쟁에서 사용된 틈새의 땅에서 거대 골렘 포지션의 병기이다. 사자탈을 닮은 보스는 황금 나무가 있기 전 옛 시대의 문화이며 트레일러에서 플레이어를 잡아먹던 지렁이 형태의 적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기 어려우나 그림자의 땅과 깊은 연관이 있다.
- 새로운 무기종이 8가지 추가되며 DLC 예고 영상에 역수로 쥔 칼, 투척 단검, 격투, 듀얼링 실드 무기군이 등장했으며 인터뷰로 도의 대형 버전인 대태도(오오타치)가 예고되었다. 그외에도 기존 무기종에서도 새로운 무기들이 추가된다.
- 제작
- 조지 R.R. 마틴은 DLC를 위해 추가 집필을 하지 않았다. 마틴이 구축한 엘든 링의 거대한 서사 중에서 본편에 활용된 이야기는 그 일부일 뿐이며 DLC도 본편에 쓰이지 않은 서사에서 영감을 받았다.
- 엘든 링의 다음 DLC나 후속작은 계획된 게 없으나 나중 일은 모르는 거니 거짓말쟁이라는 소리를 듣지 않게 최소한의 가능성은 열어 두겠다고 농담이 섞인 늬앙스로 답했다.
5. 팁
- 그림자의 땅 필드에선 맵 루팅이나 특정 몬스터 처치 보상으로 '그림자 나무 파편'과 토지신의 제단에서 입수 가능한 '영혼 재'라는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데, 이 두 아이템은 각각 '그림자의 땅 한정'으로 플레이어의 공격력과 감소율 보너스(그림자 나무 파편)과 영마와 영체의 공격력&감소율 보너스(영혼 재)를 제공한다.[4] DLC 지역의 실질적인 레벨 역할을 하며 공식 가이드에서도 소개하듯 바로 레거시 던전에 메인 보스를 도전하기 보단 필드와 미니 던전을 먼저 공략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림자 나무 파편은 필드의 미켈라의 십자, 교회나 필드 곳곳에 있는 목 잘린 마리카 동상에 주로 떨어져 있으며 필드 보스나 가끔 보라색 아이템으로 바닥에 떨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 영혼 재는 상술했듯 토지신의 제단에서 주로 얻을 수 있으며 두 아이템 모두 반짝이는 항아리를 들고 다니는 몹을 잡아도 주는 경우가 있다.
총 50개의 그림자 나무 파편과 25개의 영혼 재가 있으며, 가호는 각각 레벨 20 / 10 까지 올릴 수 있다. 보유 아이템과 가호 레벨은 다음 회차에도 이어지며 아이템도 다시 생성되기에 마저 강화할 수 있지만, 한 회차 내에서 최대로 강화하고 싶으면 빠짐없이 전부 찾아내야 한다. 그렇기에 처음부터 파편 목록을 체크해 수집한 게 아니라면 초회차에 전부 찾기에는 여간 까다로운게 아니기에 다음 회차로 미루는 게 낫다.[5] 최대 레벨일 경우 성배병처럼 다음 회차에서 아이템을 더 먹어도 더이상 강화할 수 없다. - DLC를 빨리 플레이하고 싶어 라단과 모그윈을 속전속결로 해치우고 그림자의 땅으로 건너오는 플레이어는, 다른 건 물라도 주무기 강화, 주력 영체 강화, 부적 주머니 강화는 끝내놓고 오는 게 좋다. 그림자 땅에서는 고레벨 무기/영체 강화용 소재가 드랍되지 않기 때문이다. 고룡암/고룡의 색 잃은 단석처럼 최상위 단석은 고정적으로 몇 개 찾을 수 있지만, 필드 루팅이나 적 드랍 강화 소재는 알터 고원 수준으로 중간 레벨이다. 부적 주머니도 안 나오니 도읍 로데일에서 보스를 잡아 탈리스만을 4개 풀로 장비할 수 있게 해두자.
- 무기를 한가지만 고집하는 것보다는 다양한 속성별, 크기별, 용도별로 몇가지 준비해 놓는 것이 좋다. 본편도 마찬가지였지만 본편보다 더 어려운 DLC 지역인 만큼 적의 약점을 찌를 수 있는 무기를 사용하면 훨씬 수월해진다. 속성이나 상태이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문서를 참조. 또한 대형 무기와 원거리 공격 수단도 마련하는 것이 좋은데 대형 무기는 신조 기사를 제외하면 기사급 몬스터들에게 경직을 주어 쉽게 잡을 수 있고 근력이나 기량 캐릭이라도 활이나 석궁, 유문 무기 시리즈중 하나를 강화해두면 요기조기 쓸만한 상황이 많다.
6. 추가 요소
6.1. 등장인물
6.1.1. 미켈라의 가신단
6.1.2. 그림자의 땅의 인물
- 성녀 트리나
- 용찬의 무녀
- 에이곤
- 대주교 유미르
- 불의 기사 퀼라인
탑의 도시 벨라트, 그림자 알터의 성전교회에서 두 번 침입하는 암령. 처음 처치 시 탈리스만 성전의 표식을, 두 번째로 처치할 시 전회 불의 관통과 기도실의 열쇠를 습득할 수 있다. 기도실은 그림자의 성 서브 루트인 그림자 교구 쪽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퀼라인의 본체가 있다. 축복의 눈동자막을 줄 경우 본인의 영체를, 어둠의 눈동자막을 줄 경우 퀼라인의 대검[6]을 획득할 수 있다.
6.2. 설정
6.3. 스토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스토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스토리#황금 나무의 그림자|황금 나무의 그림자]][[엘든 링/스토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4. 지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그림자의 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그림자의 땅#|]][[그림자의 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묘지 평원
- 푸른 해안
- 남쪽의 무명 영묘
- 석관의 큰 구멍
- 리아의 손가락 유적
- 톱니산
- 용찬의 대제단
- 톱니산 기슭
- 톱니산 중턱
- 톱니산 정상
- 카로의 숨겨진 묘지
- 한탄의 감옥
- 그림자 알터
- 안개 계곡의 요새
- 모스의 폐허
- 옛 운철의 대장장이 유적
- 보니 마을
- 보니의 감옥
- 징벌 요새
- 그림자의 성
- 그림자의 성 교구
- 라바스의 마술사탑
- 마누스 메테르 대교회
- 미아의 손가락 유적
- 파리의 마을
- 동쪽의 무명 영묘
- 어둠을 비추는 지하묘지
- 라우프의 기슭
- 북쪽의 무명 영묘
- 테울의 대장장이 유적
- 신전도시 폐허
- 전갈 강 지하 묘지
- 라우프의 옛 유적
- 꽃봉오리의 교회
- 나락
- 숲의 동물길
- 나락의 숲
- 미드라의 저택
- 그림자를 우러르는 노대
- 백금의 오두막
- 그림자 나무의 성배
- 무녀의 마을
- 데오의 손가락 유적
- [ 스포일러 ]
- * 에니르 일림
6.5. 무기
- 단검
- 불의 기사 단검
- 맹고슈
- 직검
- 트리나의 보랏빛 검
- 돌칼집의 검
- 라이트 소드
- 다크 소드
- 자검
- 카리아의 마술검
- 곡검
- 영의 검
- 팔스
- 라나의 무도검
- 뿔 전사의 곡검
- 도
- 밤의 칼날
- 연성검
- 쌍날검
- 흑철 쌍날검
- 에우포리에
- 도끼
- 두 갈래 혀 손도끼
- 메스메르 병사의 도끼
- 유문 도끼
- 죽음 기사의 쌍도끼
- 망치
- 꽃바위 망치
- 철퇴
- 불뱀 철퇴
- 창
- 속창
- 혈귀의 포크
- 유문 창
- 채찍
- 이빨 채찍
- 주먹
- 파타
- 독의 손
- 미친 손
- 티에리에의 숨긴 침
- 골렘의 주먹
- 손톱
- 밤의 손톱
- 대검
- 큰 도마뱀 대검
- 고립 감옥의 대검
- 겁벌의 대검
- 특대검
- 불의 기사 대검
- 문리델의 기사검
- 옛 운철 대검
- 라단의 대검(빛)
- 라단의 대검(왕)
- 대자검
- 퀼라인의 대검
- 소드랜스
- 대곡검
- 프레이야의 대검
- 뿔 전사의 대곡검
- 대형 도끼
- 보니의 부엌칼
- 죽음 기사의 긴 자루 도끼
- 수렁의 큰 나대
- 대형 망치
- 흑철 대형 망치
- 유문의 대형 망치
- 특대형 무기
- 혈귀의 팔
- 모루 해머
- 데보니아의 대형 망치
- 큰 영륜초 꽃
- 바라보는 손가락
- 대형 창
- 메스메르 병사의 창
- 역가시 지팡이창
- 혈귀의 성창
- 가시공의 창
- 도끼창
- 영혼의 글레이브
- 꽃봉오리 치도
- 낫
- 흑요의 라미나
- 소형 활
- 뼈 활
- 활
- 안스바흐의 장궁
- 대궁
- 에이곤의 대궁
- 석궁
- 연노
- 산탄 크로스보우
- 대형 석궁
- 라바스의 대포
- 지팡이
- 어머니의 지팡이
- 위대한 저편의 지팡이
- 성인
- 낙엽의 성인
- 불의 기사의 성인
- 나선 나무의 성인
- 횃불
- 나나야의 등불
- 한탄하는 목
- 소형 방패
- 유문 방패
- 밤의 방패
- 중형 방패
- 메스메르 병사의 방패
- 늑대 문양 방패
- 뱀 문양 방패
- 황금 사자 방패
- 대형 방패
- 흑철 대형 방패
- 녹청 대형 방패
- 투척검
- 유문 단검
- 역수검
- 역수검
- 유문 차크람
- 주검사의 차크람
- 격투
- 낙엽 격투
- 단류 발차기술
- 짐승 발톱
- 짐승 발톱
- 붉은곰의 발톱
- 조향병
- 불꽃의 조향병
- 냉기의 조향병
- 미친 불의 조향병
- 벼락의 조향병
- 맹독의 조향병
- 경대검
- 레이디 소드
- 레다의 검
- 렐라나의 쌍검
- 대형 도
- 대도
- 용 사냥꾼의 대도
- 나찰의 대도
- 관통 방패
- 듀얼링 실드
- 카리아의 관통 방패
기존 본편의 무기군들을 포함하여 총 102개의 무기가 신규 추가되었다.
6.6. 방어구
- 빛의 관신으로 귀환한 미켈라의머리를 장식했던 빛의 관.지금은 이미 거의 사라져간다.지력, 신앙, 신비를 조금 높이며미켈라의 빛의 위력도 높인다.그것은 이루지 못한 미켈라의 세기,그 상냥한 섭리의 시작이 된 고리였을까.
- 트리나의 한 송이 꽃덧없이 시든 트리나가마지막으로 남긴 한 송이 수련꽃.FP의 최대치를 약간 높인다.짙은 보라색의 꽃은, 독을 전혀 품지 않고그저 상냥하게 피어있다.
- 신수의 머리사자무에 사용되는 신수의 머리 부분.제일 뛰어난 용맹한 자가 뒤집어쓴다는 제구.이제는, 노파의 기도에 응답하지 않는다.신내림으로 인해 폭풍의 위력이 높아지고근력과 기량도 높아지나,물방울의 성배병의 회복량이 감소한다.또한, 이성 내성도 낮아진다.
- 도가니의 망치 투구도가니의 기사 최고참으로 알려진기사 데보니아의 투구.원초의 황금 나무, 생명의 도가니의 힘을 품어도가니의 모습 기도를 강화한다.데보니아는 도가니의 기원을 좇아혼자 황금 나무에서 여행을 떠났다고 한다.
- 랄바의 모피큰 붉은곰 랄바의 모피.그것을 머리에서부터 뒤집어쓴 것.속칭 웅찬이라 불리는 기도를 강화한다.스스로 사투 끝에 손에 넣은 가죽만이전사를 야생의 곰으로 만든다.
- 레다의 갑옷침의 기사 레다의 흉갑.구르기, 백스텝 후 공격과대시 공격을 약간 강화한다.황금 교차수가 수놓아진백약색 망토, 서코트는명예로운 침의 기사의 증표이다.미켈라는 우리를 침으로 만들어내었다.모든 것을 진정시키고 물리치기 위해.
- 고립 감옥 세트
- 고립 감옥의 투구
- 고립 감옥의 갑옷
- 고립 감옥의 장갑
- 고립 감옥의 각반
- 나찰 세트
- 나찰의 투구튄 피에 물든 나찰의 투구.흉흉한 검기가 흘러나오는 것처럼낡은 천 가장자리가 어른거린다.적에게 입히는 대미지를 높이나자신이 받는 대미지도 높아진다.사람을 베고 먹는다.이를 게을리하지 않고 계속한 자만이무아의 나찰이 된다.
- 나찰의 흉갑튄 피에 물든 나찰의 흉갑.흉흉한 검기가 흘러나오는 것처럼낡은 천 가장자리가 어른거린다.적에게 입히는 대미지를 높이나자신이 받는 대미지도 높아진다.사람을 베고 먹는다.이를 게을리하지 않고 계속한 자만이무아의 나찰이 된다.
- 나찰의 장갑튄 피에 물든 나찰의 장갑.흉흉한 검기가 흘러나오는 것처럼낡은 천 가장자리가 어른거린다.적에게 입히는 대미지를 높이나자신이 받는 대미지도 높아진다.사람을 베고 먹는다.이를 게을리하지 않고 계속한 자만이무아의 나찰이 된다.
- 나찰의 각반튄 피에 물든 나찰의 각반.흉흉한 검기가 흘러나오는 것처럼낡은 천 가장자리가 어른거린다.적에게 입히는 대미지를 높이나자신이 받는 대미지도 높아진다.사람을 베고 먹는다.이를 게을리하지 않고 계속한 자만이무아의 나찰이 된다.
- 대사제 세트
- 대사제의 모자대사제 유미르의 모자.머리 위의 원은 위대한 뜻,그 암흑의 심연을 나타내며지력과 신비를 높인다.남자는 렐라나의 마술 교수였으나달을 향한 충성을 버렸다.그것은 그저 우리와 가까이 있었을 뿐이다.
- 대사제의 긴 옷대사제 유미르의 긴 옷.그 안쪽에 수많은 꿈틀거림을 숨기는 옷.보랏빛 천에 금 자수가 놓였고그 옷깃 장식은 꽃과 같이 반짝인다.
- 대사제의 긴 장갑대사제 유미르의 긴 장갑.부드럽고 바느질 상태도 좋다.
- 대사제의 속바지
- 녹청 세트
- 녹청 투구
- 녹청 갑옷녹청이라고 불리는특수한 금속으로 만든 흉갑.녹청은 외부의 신이 보낸 것이라고 하며부식되어있기에 묵직하고부드러운 강함을 지녔다.
- 녹청 장갑
- 녹청 각반
- 프레이야 세트
- 프레이야의 투구
- 프레이야의 갑옷장군 라단의 근위기사적기사 프레이야의 황금 흉갑.검은 양털 망토를 둘렀다.본디 검투사였던 그녀는그 용감함을 젊은 라단이 높이 사근위기사로 들였다고 한다.
- 프레이야의 장갑
- 프레이야의 정강이받이
- 뿔인간 세트
- 털벌레 가면
- 엮은 밧줄 로브
- 밧줄 팔띠
- 꾀죄죄한 속옷낡은 천으로 고간을 가릴 뿐인꾀죄죄한 속옷.
- 안스바흐 세트
- 늙은 현자의 가면
- 안스바흐의 옷
- 안스바흐의 팔띠
- 안스바흐의 부츠
- 티에리에 세트
- 티에리에의 가면
- 티에리에의 옷
- 티에리에의 긴 장갑
- 티에리에의 바지
- 렐라나 세트
- 렐라나의 투구쌍월의 기사 렐라나의 투구.은철로 만들어진 정교한 방어구.카리아 왕가의 수장이었던 레날라는가문을 버리고 메스메르를 쫓아간 동생에게윤기나는 긴 검은 머리카락을 보냈다고 한다.
- 렐라나의 갑옷쌍월의 기사 렐라나의 흉갑.은철로 만들어진 정교한 방어구.카리아의 상징인 청금석색을 두른그 빛은 아직 완전히 더러워지지 않았다.
- 렐라나의 장갑
- 렐라나의 각반쌍월의 기사 렐라나의 각반.은철로 만들어진 정교한 방어구.
- 가이우스 세트
- 가이우스의 투구노장 가이우스의 흑철 투구.떨어진 씨앗을 본떴다는 갑옷의 일부.가이우스는 백왕에게서 중력 기술을 배웠고라단과 가이아의 사형이었다고 한다.
- 가이우스의 갑옷노장 가이우스의 흑철 갑옷.떨어진 씨앗을 본떴다는 갑옷의 일부.가이우스는 백왕에게서 중력 기술을 배웠고라단과 가이아의 사형이었다고 한다.
- 가이우스의 장갑
- 가이우스의 각반
- 메스메르 세트
- 메스메르의 투구가시공 메스메르의 검은 투구.얽힌 두 마리 날개 달린 뱀을 얹었다.메스메르의 불의 기도와불의 기사의 전투 기술을 약간 강화한다.날개 달린 뱀들은 늘 메스메르의 벗이었다.사악한 뱀을 눈동자 안쪽에 봉인하고고뇌했던 오랜 시간에도,어머니의 축복을 부수고 자신의 숙명을 받아들여끔찍한 모습이 된 후에도.
- 메스메르의 갑옷가시공 메스메르의 검은 흉갑.문장이 수놓인 붉은 망토를 둘렀다.어머니의 소원, 숙청의 성전을 위하여메스메르는 자신을 공포의 상징으로 만들었다.한탄도 저주도, 오직 나만을 책망하라.
- 메스메르의 장갑
- 메스메르의 각반가시공 메스메르의 검은 각반.어머니의 소원, 숙청의 성전을 위하여메스메르는 자신을 공포의 상징으로 만들었다.한탄도 저주도, 오직 나만을 책망하라.
- 젊은 사자 세트
- 젊은 사자의 투구젊은 라단의 황금 투구.영웅의 적발을 자랑스러워하는 사자의 장비.미켈라의 칼날 말레니아는에오니아에서 부패의 꽃을 피운 그때라단의 귓가에 속삭였다고 한다.미켈라가 약속의 왕을 기다린다.
- 젊은 사자의 갑옷젊은 라단의 황금 흉갑.영웅의 붉은색을 두른 사자의 장비.미켈라의 칼날 말레니아는에오니아에서 부패의 꽃을 피운 그때라단의 귓가에 속삭였다고 한다.미켈라가 약속의 왕을 기다린다.
- 젊은 사자의 장갑젊은 라단의 황금 장갑.미켈라의 칼날 말레니아는에오니아에서 부패의 꽃을 피운 그때라단의 귓가에 속삭였다고 한다.미켈라가 약속의 왕을 기다린다.
- 젊은 사자의 각반젊은 라단의 황금 각반.용맹한 사자의 장비.미켈라의 칼날 말레니아는에오니아에서 부패의 꽃을 피운 그때라단의 귓가에 속삭였다고 한다.미켈라가 약속의 왕을 기다린다.
6.7. 탈리스만
- 붉은 호박의 탈리스만 +3
- 붉은 종자의 탈리스만 +1
- 왕의 수여 탈리스만
- 푸른 호박의 탈리스만 +3
- 푸른 종자의 탈리스만 +1
- 은혜의 푸른 물방울의 탈리스만
- 녹색 호박의 탈리스만 +3
- 쌍두 녹색 거북 탈리스만
- 외부의 신의 전승
- 마력 용 표식의 탈리스만 +3
- 염룡 표식의 탈리스만 +3
- 뇌룡 표식의 탈리스만 +3
- 금빛 땋은 머리카락
- 진주룡 표식의 탈리스만 +3
- 면역의 뿔 장식 +2
- 강건의 뿔 장식 +2
- 이성의 뿔 장식 +2
- 얼룩색 목걸이 +2
- 병의 탈리스만
- 양손검의 탈리스만
- 진주 방패의 탈리스만
- 되받아치는 교차수
- 꿰뚫는 교차수
- 먼 튼튼한 화살의 탈리스만
- 조준하는 활의 탈리스만
- 사랑스러운 별가루
- 렐라나의 카메오
- 깨진 돌의 탈리스만
- 단조술의 탈리스만
- 미친 듯이 날뛰는 신수
- 폭룡의 탈리스만
- 도가니 날개의 탈리스만
- 모든 도가니의 탈리스만
- 녹청 원반
- 노인의 환희
- 트리나의 미소
- 자비의 칼날
- 성전의 휘장
- 마른 꽃다발
6.8. 주문
6.8.1. 마술
- 카리아 왕가의 마술
- 마술의 삼휘검
- 미리암의 소실
- 렐라나의 쌍월
- 중력 마술
- 인력탄
- 바위 칼날
- 죽음 마술
- 영의 빛고리
- 수렁의 덩어리
- 수렁의 소용돌이
- 손가락 마술
- 휘석의 발톱
- 휘석의 많은 발톱
- 덧없는 소우주
- 수호 손가락
- 그림자 나무 마술
- 거절의 가시
- 가시 두르기
6.8.2. 기도
- 옛 황금 나무 기도
- 저편에서 온 분노
- 저편에서 온 회복
- 작은 황금 나무
- 도가니의 모습/침
- 도가니의 모습/꽃
- 그림자 나무 기도
- 그림자의 땅
- 미켈라의 기도
- 겹쳐지는 빛고리
- 미켈라의 빛
- 도읍 고룡신앙 기도
- 기사의 뇌창
- 하전
- 플로삭스의 용뢰
- 메스메르의 불 기도
- 불뱀
- 불의 비
- 메스메르의 불덩이
- 웅찬 기도
- 루가리아의 포효
- 혈맹 기도
- 안스바흐의 미친 칼날
- 부패 기도
- 곤충 실 창
- 부패의 나비
- 미친 불 기도
- 미드라의 미친 불
- 용찬 기도
- 영혼 불꽃 브레스
- 베일의 포학
- 베일의 염뢰
- 탑의 기도
- 황금의 호
- 황금의 큰 호
- 스피라
- 수호령
- 신조의 깃털
- 신수 회오리바람
6.9. 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적#|]][[엘든 링/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9.1. 보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보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보스#|]][[엘든 링/보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10. 아이템
- 그림자 나무 파편
- 영혼 재의 파편
- 끈 장사꾼의 방울
- 버섯 장사꾼의 방울 [1]
- 버섯 장사꾼의 방울 [2]
- 곰팡이 장사꾼의 방울
- 풀 장사꾼의 방울
- 기름 장사꾼의 방울
- 마술기사의 방울
- 에이곤의 방울
- 무아의 방울
- 유미르의 방울
- 큰 항아리 도공의 제작서 [1]~[14]
- 수집벌레의 제작서 [1]~[7]
- 군종사제의 제작서 [1]~[4]
- 트리나 신도의 제작서 [1]~[3]
- 미친 장인의 제작서 [1]~[3]
- 고룡 기사의 제작서 [1]~[2]
- 불 기사의 제작서 [1]~[2]
- 에이곤의 제작서 [1]~[2]
- 손가락 추종자의 제작서 [1]~[2]
- 무덤지기의 제작서 [1]~[2]
- 고고학자의 제작서 [1]~[2]
- 티비아의 제작서
- 종기사의 제작서
- 축복의 눈동자막
- 어둠의 눈동자막
- 백은 뿔 화폐
- 황금 뿔 화폐
- 샘솟는 붉은 마른 물방울
- 튕기는 굳은 물방울
- 붉은 흡수의 물방울
- 푸른 흡수의 물방울
- 녹색 숨겨진 물방울
- 은방울꽃 결정 물방울
- 흡혈의 깨진 물방울
- 기름진 물방울
- 말하는 머리: 한탄
6.11. 뼛가루
- 인간파리의 뼛가루
- 전갈거미의 뼛가루
- 손가락벌레의 뼛가루
- 큰 입 임프의 뼛가루
- 묘지기 새의 뼛가루
- 뿔 전사의 뼛가루
- 혈귀 주술사의 뼛가루
- 고문관의 뼛가루
- 메스메르 병사의 뼛가루
- 흑기사 부단장 휴
- 흑기사 단장 안드레아스
- 불의 기사 힐드
- 불의 기사 퀼라인
- 주검사 밀라
- 아인 검사 요시
- 밤의 검사 욜란
- 욜란과 안나
- 고룡 플로삭스
- 신조 전사 오르니스
- 단조골렘 테울
6.12. 전회
- 용맹한 사자 베기
- 회전 중력 찌르기
- 관통 투척
- 산탄 투척
- 사각에서의 일격
- 속참
- 짐승 발톱 공격
- 대상단
- 편익의 자세
- 로얄 카리아
- 불의 창
- 불의 관통
- 순뢰
- 도가니의 모습/날개
- 독꽃은 두 번 찌른다
- 영혼 불꽃 부르기
- 신수 서리 밟기
- 비통한 외침
- 발경
- 낙엽 선풍각
- 둘러싼 불꽃의 향기
- 늘어선 불꽃의 향기
- 에이곤의 용 사냥
- 방패 공격
6.13. 제스처
- 미켈라의 고리
- 어머니여 : 보니의 마을 한켠 머리가 참수된 석상 앞에 놓여있다. 보니의 마을에서 하던 일과 석상이 누굴 지키려던 듯한 자세, 이 제스처 때문에 팬덤에선 영원의 여왕 마리카의 어머니로 추정하고 있다.
- 겨루기 소망
- 두 손가락
- 당신과 함께
7. 사운드트랙
번호 | 곡명 | 길이 | 작곡 | 비고 |
01 | Gravesite Plain | 3:52 | 키타무라 유카 | 묘지 평원 테마 |
02 | Gravesite Plain at Night | 4:13 | 키타무라 유카 | |
03 | Belurat, Tower Settlement | 2:47 | 미야자와 쇼이 | 탑의 도시 벨라트 테마 |
04 | Ruined Forge | 2:14 | 토미사와 타이 | 대장장이 유적 공용 테마 |
05 | Gaol | 2:07 | 토미사와 타이 | 감옥 공용 테마 |
06 | Catacombs of the Shadow Realm | 2:15 | 타니자키 소마 | 지하 묘지 공용 테마 |
07 | Castle Ensis | 2:20 | 타니자키 소마 | 엔시스 성 테마 |
08 | Scadu Altus | 3:50 | 토미사와 타이 | 그림자 알터 테마 |
09 | Scadu Altus at Night | 2:50 | 토미사와 타이 | |
10 | Shadow Keep | 2:16 | 토미사와 타이 | 그림자의 성 테마 |
11 | The Fringe | 2:24 | 토미사와 타이 | 라우프의 기슭, 푸른 해안, 카로의 숨겨진 묘지 공용 테마 |
12 | Stone Coffin Fissure | 2:50 | 사이토 츠카사 | 석관의 큰 구멍 테마 |
13 | Finger Ruins | 2:19 | 미야자와 쇼이 | 손가락 유적 테마 |
14 | Abyssal Woods | 2:59 | 키타무라 유카 | 나락의 숲 테마 |
15 | Midra's Manse | 2:36 | 미야자와 쇼이 | 미드라의 저택 테마 |
16 | Jagged Peak | 2:10 | 토미사와 타이 | 톱니산 테마 |
17 | Ancient Ruins of Rauh | 2:37 | 타니자키 소마 | 라우프의 옛 유적 테마 |
18 | Ancient Ruins of Rauh at Night | 2:30 | 타니자키 소마 | |
19 | Enir-Ilim | 3:07 | 미야자와 쇼이 | 에니르 일름 테마 |
20 | Shaman Village | 2:08 | 사이토 츠카사 | 무녀의 마을 테마 |
21 | Dangerous Captive | 1:43 | 토미사와 타이 | 감옥 던전 보스 테마 |
22 | Death Knight | 3:17 | 토미사와 타이 | 죽음의 기사 테마 |
23 | Elder Inquisitor | 4:23 | 토미사와 타이 | 고문 노인 아오리 테마 |
24 | Divine Beast Dancing Lion | 3:53 | 미야자와 쇼이 | 신수 사자무 테마 |
25 | The Twin Moon Knight | 4:12 | 토미사와 타이 | 쌍월의 기사 레랄나 테마 |
26 | The Scadutree Avatar | 5:31 | 토미사와 타이 | 그림자 나무의 화신 테마 |
27 | The Putrescent Knight | 3:57 | 사이토 츠카사 | 수렁의 기사 테마 |
28 | The Saint of the Bud | 3:59 | 사이토 츠카사 | 꽃봉오리의 성녀 로미나 테마 |
29 | The Enchantment Breaks | 1:39 | 타니자키 소마 | 이벤트 테마 |
30 | Those United in Common Cause | 4:13 | 타니자키 소마 | 정화의 방 전투 테마 |
31 | The Lord of Frenzied Flame | 6:13 | 미야자와 쇼이 | 미친 불의 왕 미드라 테마 |
32 | Bayle the Dread | 3:45 | 토미사와 타이 | 폭룡 베일 테마 |
33 | The Mother of Fingers | 4:17 | 미야자와 쇼이 | 손가락의 어머니 메티르 테마 |
34 | Messmer, the Impaler | 5:05 | 사이토 츠카사 | 가시공 메스메르 테마 |
35 | The Promised Consort | 6:32 | 미야자와 쇼이 | 최종보스 테마 |
36 | St. Trina | 3:20 | 키타무라 유카 | 성녀 트리나 테마 |
8. 평가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5/elden-ring-shadow-of-the-erdtree|
94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5/elden-ring-shadow-of-the-erdtree/user-reviews|
8.1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elden-ring-shadow-of-the-erdtree|
리뷰 부족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elden-ring-shadow-of-the-erdtree/user-reviews|
8.1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elden-ring-shadow-of-the-erdtree| 95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elden-ring-shadow-of-the-erdtree/user-reviews| 8.1 |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elden-ring-shadow-of-the-erdtree| 리뷰 부족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elden-ring-shadow-of-the-erdtree/user-reviews| 8.0 | |
[[https://www.metacritic.com/game/pc/elden-ring-shadow-of-the-erdtree| 92 | [[https://www.metacritic.com/game/pc/elden-ring-shadow-of-the-erdtree/user-reviews| 7.8 |
기준일: 2024-12-12 | |||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 | 평론가 평점 94 / 100 | 평론가 추천도 99% | 유저 평점 90 / 100 |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
기준일:
2024-11-22
2024-11-22
<rowcolor=#fff> 종합 평가 | 최근 평가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778580/#app_reviews_hash| 대체로 긍정적 (7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778580/#app_reviews_hash| 대체로 긍정적 (7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
메타크리틱 95, 오픈크리틱 94점을 받아내면서 지금까지 발매된 모든 프롬 소프트웨어의 DLC들 중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분류만 DLC일 뿐 사실상 확장팩이라 봐야 할 수준의 방대한 지역과 보스를 포함한 컨텐츠 볼륨, 다양하고 매력적인 설정을 지닌 새로운 등장인물과 보스들, 밀도를 중시한 수직적 구성의 레벨 디자인과 각종 숨겨진 요소 등 2년 이상이 소요된 프롬 소프트웨어의 DLC에 걸맞은 퀄리티를 보여준다.
그러나 스팀 유저평가는 출시 직후에는 '복합적(60%)'까지 떨어졌는데, 이후 프롬의 긴급 초기 패치[7] 이후 평가가 조금 회복되어 '대체로 긍정적(70%)'을 기록중이다. 본편도 그랬듯이 DLC 역시 평론가와 유저간 평가에 차이가 좀 있는 편인데, 유저 평가가 상대적으로 박한 이유는 후술한 혹평 부분을 참고.
더 게임 어워드 2024에서 최초로 DLC 작품을 올해의 게임 후보로 포함시키게 되면서[8] 본작이 게임 디렉팅상, 미술상, 롤플레잉 게임상 그리고 더 게임 어워드 2022에서 올해의 게임 후보 및 수상을 받은 본편과 함께 올해의 게임 후보에 노미네이트 되었으나 결국 어느쪽에서도 수상은 받지 못했다.
8.1. 호평
- 풍부한 볼륨과 보스전 연출
전체적으로 DLC라는 범위를 넘어선 풍부한 볼륨, 더욱 강화된 보스전 연출, 뛰어난 맵 품질과 다양한 무기 종류 추가 등 여러 부분을 크게 호평했으며, 96점을 받은 본편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본편의 명성을 잇는 명작이라고 평가를 내렸다.
본편 이상으로 밀도가 높은 맵과 풍부한 볼륨에 대해서 호평을 받았다. 프롬 소프트웨어는 이전 인터뷰에서 림그레이브보다 조금 더 큰 사이즈로 제작했다고 공언하였지만, 실제로는 림그레이브보다 훨씬 더 크다. 그림자의 땅의 경우 레벨 디자인이 수직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채용하였기 때문에 탑뷰 월드맵 시점으로 봤을 때 동일 면적이어도 실제 3차원적으로는 위아래로 잡아늘여져 있다.
단순히 평면적인 넓이만을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매우 밀도높고 입체적인 디자인이며 수직적 요소의 강조를 통해 다채로운 탐험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지역간의 연결이 본편에 비해 복잡하고 "이게 여기로 이렇게 이어지네?" 싶은 곳이 많아서, 다크 소울 1편 초중반의 유기적인 맵을 오픈월드로 늘려놓은 것 같다는 감상도 나온다. 대신 지도의 의미가 없어졌다는 문제점도 생겼는데 이는 혹평 문단을 참고.
- 세심한 몬스터 배치와 숨겨진 루트
DLC에 등장하는 레거시 던전들은 던전의 규모를 넓히기 위해서인지 스톰빌 성이나 도읍 로데일처럼 중간 보스가 중간에 있지 않고, 초반부나 후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9] 중간 보스의 재배치로 인해 레거시 던전 하나하나의 크기가 매우 넓직하며, 동시에 레벨 디자인의 복잡성과 깊이를 증가시키려고 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그림자 성의 특정 레벨은 다크소울 3의 대서고의 극 강화판이라고 여겨질 정도로 복잡하게 짜여 있다. 숨겨진 루트도 상당히 많고 다크 소울 시리즈를 방불케할 정도로 여러 숏컷이 존재하다보니 탐색의 재미는 본편 그 이상이라는 평이다.
- 다수의 새로운 오리지널 몬스터의 등장
던전과 몬스터 또한 본편에서 지나치게 재탕이 많았다는 비판을 수용했는지 이번 DLC에서는 오리지널 던전이나 몬스터가 다수 등장하며, 디자인 또한 수려하여 호평을 받았다.[10] 미니 던전의 경우 동굴, 갱도, 지하묘지, 영웅묘지로 구성되어 있던 본편과 달리 대장장이 유적이나 감옥 같은 독자적인 디자인을 가진 미니 던전들이 다수 존재한다.
- 본편의 디지털 아트에 가까운 높은 맵 아트 퀄리티
이번 DLC에선 맵 아트워크 퀄리티가 더욱 발전해 호평받았다. 라우프의 옛 유적, 푸른 해안, 톱니산, 나락의 숲[11], 무녀 마을 등이 주로 호평받으며 다른 지역들도 하나같이 독보적인 비주얼을 자랑한다. 톱니산을 지나 도달하게 되는 카로의 숨겨진 묘지에서는 톱니산의 붉은 꽃과 푸른 해안의 푸른 꽃이 정확히 반으로 갈라져 양쪽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볼 수 있는 절경도 존재한다.
- 한층 더 발전한 보스 디자인과 패턴 연출
보스에 대한 디자인과 패턴의 연출 또한 전체적으로 공들여서 만든 티가 난다. 메인 보스 가시공 메스메르와 히든 보스 미친 불의 왕 미드라, 폭룡 베일은 매력적인 디자인과 서사를 지녔으며, 패턴 또한 까다로워도 확실한 공략법과 전조가 존재하는 등 이견의 여지 없이 패턴과 디자인을 모두 챙긴 웰메이드 보스로 평가 받는다. 개선 패치 이전 패턴에서 큰 비판을 받았던 최종보스 또한 장엄한 분위기만큼은 압도당한다는 반응이 있었다. 전체적인 보스들의 패턴 스케일이 굉장히 커졌으며 덕분에 역대 프롬 소프트웨어의 소울류 게임 중에서도 가장 화려하고 보는 맛이 있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 직관적이고 활약도가 높은 NPC들의 퀘스트와 스토리
최종보스를 제외하면 DLC에서 추가된 스토리도 전체적으로 호평받는다. 폭룡 베일 관련 스토리는 npc, 아이템, 몬스터, 맵 디자인을 통한 빌드업이 자연스러웠으며 용왕 플라키두삭스와의 떡밥을 설득력있게 풀어냈다. 무녀 관련 스토리도 마리카의 과거, 흉조, 인육 항아리들의 관계를 적절히 연관지으면서 엘든 링 세계관의 잔혹함을 더욱 어필하는 것에 성공했다. 서사적으로 dlc에서 가장 큰 호평을 받은 메스메르 관련 스토리도 본편에선 거의 비중이 없던 멜리나의 정체까지 다루면서 몇 가지 의문점들은 해소한 셈이다.
주요 NPC들이 전투에 있어서 본편 이상으로 활약하게된 점도 호평이다. 대부분의 메인보스 방 앞에서 NPC 소환이 가능해졌는데 단순히 소환하고 전투에만 도움주는 것만이 아닌 격파 혹은 사망 후 리액션까지 볼 수 있으며[12] 후반부 보스인 미켈라의 가신단은 적대관계 NPC들끼리 따로 대화를 하면서 전투하는 등 NPC의 서사에도 굉장히 공을 들였다. 전체적으로 어려운 DLC 보스들의 난이도도 조정할 겸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평가다.
특히 최종 보스와 대치하기 직전에 일어나는 미켈라의 가신단과의 전투는 도저히 깔 수가 없는 수준. 가신단 NPC 퀘스트를 하나도 빼놓지 않고 해왔다면[13] 가신단끼리 신념을 걸고 싸우는데 그동안 스토리에서 빌드업해왔던 부분들이 한꺼번에 포텐이 터져서 완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그냥 싸우는 것도 아니고 전투 도중에 각자의 대사를 통해 가신단의 생각과 마음가짐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 등 공을 들여서 퀘스트를 설계했다는 것이 느껴진다. 때문에 DLC에서 등장한 캐릭터들은 본편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들보다 훨씬 많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일부 비호감 캐릭터도 존재하지만 캐릭터성과 개성만큼은 확실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8.2. 혹평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BusySubsequentBadLace|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bgcolor=#fff,#1c1d1f><(>'''[[https://namu.wiki/thread/BusySubsequentBadLace|토론]] - 합의사항1'''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토론 합의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떨어지는 프레임
본편도 사실 최적화나 프레임이 좋은 편은 아니지만 DLC는 플레이하면 할수록 유독 더 프레임이 요동친다. 본편이 최고 프레임 60 FPS 고정인데 그림자의 땅으로 가면 프레임이 15까지 요동치는 등 정상이 아닌 수준이다. 심지어 뚝뚝 끊기는 일도 다반사이며 실제 인게임 내의 탑의 도시 벨라트 같은 곳에서 끄고 다시 켜면 상당히 자주 끊긴다. 가관인 것은 프롬에서 해결책이랍시고 내놓은 것이 '레이트레이싱 끄고 마우스 관련 앱도 끄세요' 뿐이다.
- 일부 지역들의 낮은 밀도
이 문제의 대표 격으로는 손가락 유적이 자주 언급된다. 땅에서 솟아난 듯한 거대한 손가락들이 주는 기이한 분위기 자체는 호평받지만, 문제는 손가락 유적에서 할 수 있는 것이라곤 중앙에 있는 종을 울리는 것 말고는 거의 없다. 맵 자체는 토렌트를 타고 진입해야 할 정도로 넓은데 정작 중요하거나 유용한 아이템은 거의 없으며, 심지어 숨겨진 땅에 있는 데오의 손가락 유적은 낙마를 유발하는 분홍빛 여덟눈장어까지 배치되어 있어서 짜증나기만 하는 기믹이라는 평가가 많다.
나락의 숲의 경우도 은신 기믹이나 맵의 디자인 자체는 호평받지만, 영마가 겁에 질린다는 이유로 넓은 맵을 플레이어가 직접 뛰어가도록 만들어 놓았으면서 정작 중요한 아이템도 거의 없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나락의 숲의 중반부가 반드시 은신해서 지나가야 하는 구성인데, [14] 해당 구간 이외에도 토렌트를 사용할 수 없기에 특정 구간에서 강제 낙마하는 기믹이 있음에도 사용하지 않은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반응이 많다.
카로의 숨겨진 묘지도 전술한 둘 만큼은 아니지만 종종 언급되는데, 지역 구성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고 중요한 아이템들이 없는 것도 아니지만 그럼에도 맵의 밀도가 다른 지역들에 비해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다.
앞서 언급된 세 지역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떨어지는 밀도로, 맵의 크기에 비해 플레이어가 즐길 수 있는 컨텐츠는 지나치게 적다는 점이 비판 요소로 손꼽힌다.
- 혼란을 가중하는 지도
DLC의 맵들은 선행 퀘스트를 요구하거나 NPC 혹은 특정 아이템의 설명으로 그 존재나 진입 방법을 암시하는 본편의 맵들과 다르게, 탐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맵을 발견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용굴을 탐험했더니 톱니산을 발견하고 모스의 폐허에서 내려갔더니 보니마을을 발견하는 것이 그 예시. 이처럼 맵의 연결 자체가 자연스럽게 이어져있고 각 지역들의 크기가 크지 않은 만큼 맵을 둘러보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본편보다 적은 만큼 해당 구조 자체는 정보를 찾아보는 데에 귀찮음을 느끼거나 탐험을 좋아하는 플레이어들에게는 호평 요소로 작용하기도 했다.[15]
다만 복잡한 연결 구조는 또다른 문제점을 불러왔는데, 바로 지도 획득에 애로사항이 생긴다는 것. 그림자의 땅은 지역 당 하나 이상의 지도가 존재했던 본편과는 다르게 여러 지역의 지도가 한번에 밝혀지는 방식인데, 진행 순서에 따라 지도가 없는 지역에 먼저 진입한다면 탐험하는 데에 크게 어려움을 겪는다. 더군다나 복잡한 연결로 인해 어느 방향으로 가야 지도를 얻을 수 있는지도 사실상 묘지 평원과 그림자 알터의 것을 제외하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이 문제가 단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라우프의 옛 유적의 지도를 라우프의 기슭에서 얻을 수 있는 구조로, 기슭을 발견하지 못한 플레이어는 지도 없이 옛 유적을 진행해야 한다.
또한 고저차에 따른 지도의 구분이 없기 때문에, 지도에서는 상층에 해당하는 부분밖에 보이지 않는다. 이는 본편에서도 가끔 언급되던 문제점으로,[16] 특히 상하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은 DLC에서 이러한 점이 더욱 심화되었다. 제작진도 이를 모르는 것이 아니었는지 상층에서 하층으로 내려가는 길목에는 음영을 표시하거나[17] 고도가 낮은 지역은 상대적으로 어둡게 채색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기는 했으나, 결국 상충과 하층이 같은 장소의 다른 고도에 존재하는 지역의 경우 지도가 사실상 의미가 없어졌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으며 해당 조치의 직관성도 다소 떨어진다.
- 직관성이 떨어지는 가호 시스템
인터뷰에서 언급된 그림자 나무/영혼 재의 가호 시스템의 존재 의의는 플레이어로 하여금 탐험의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본편의 단석, 성배의 물방울, 황금 종자와 비슷한 포지션의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이미 본편에서 무기, 뼛가루 및 성배병 강화 재료는 최종 단계까지 수급이 가능하고, 본편 발매 후 DLC 발매까지 2년이라는 긴 텀이 있는 만큼 이미 본편에서 충분한 성장을 해낸 플레이어들에게도 탐험의 동기를 부여하겠다는 의도 자체는 호불호가 갈릴 수 있을 지언정 오픈월드 게임에서 필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다만 가호 시스템이 비판받는 결정적인 이유는 가호를 올리는 데에 필요한 그림자 나무 파편의 위치가 다소 직관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전술한 단석과 성배의 물방울은 각각 갱도와 교회라는 고정된 수급처가 존재했으며, 모두 지도에서 그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른 강화 재료인 황금 종자 또한 고정된 수급처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지만, 개수 자체가 넉넉하게 뿌려져 있었고 플레이어들이 높은 확률로 거쳐가게 되는 구역에 놓여진 경우가 많아[18] 수급에 큰 어려움이 없었다. 가호 시스템 역시 초반 진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 파편의 고정된 수급처 중 하나인 미켈라의 십자의 지도를 제공하는 등 플레이어를 아예 배려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십자에서 제공하는 파편의 개수는 전체 파편의 개수의 20% 정도밖에 해당되지 않는데다 이중 일부는 지도에 그 위치가 기록되어 있지도 않다. 즉 다른 수급처를 필수적으로 찾아야 하는데, 단 3개밖에 되지 않는 교회를 제외하면 파편의 존재 여부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가 없다.
즉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가호가 부족하다면 파편을 모으기 위해 탐험을 해야 하는데, 그 지역에 파편이 있기는 한지, 얼마나 있는지 등을 전혀 알지 못한채 맵을 뒤져야 하는 상황이다 보니 이것이 탐험의 동기가 되기 보다는 귀찮은 제약 정도로 전락해버리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파편의 고정적인 수급처[19]가 본편의 황금 종자 근처의 황금색 나무에 비해 가시성이 다소 떨어지기에 경우에 따라서는 아예 파편을 놓쳐버릴 수도 있다. 특히 전술한 수급처 없이 그냥 맵 깊숙한 곳에 숨겨져있는 경우도 은근히 많은데, 정작 진행하면서 거의 필수적으로 거쳐가는 곳에 놓여진 파편은 메스메르의 암실 앞에 놓여진 파편을 제외하면 사실상 없다.
특히 패치 이전 출시 초기 버전의 경우, 사실상 거의 모든 파편을 얻으면서 진행해야 정상적으로 진행이 이루어지는 정도였다 보니 플레이어들의 반발이 매우 거셌으며, 제작사인 프롬소프트웨어도 문제를 인지하고 출시 일주일만에 개선 패치를 내놓는 등 이례적으로 빠른 개선 행보를 보였다. 사실상 출시 초기의 밸런스 붕괴를 인정한 상황이며, 이후 패치로 가호의 상승폭이 초반이 높아지고 후반이 낮아지도록 적용되면서 다소 완화되기는 했으나,[20] 결국 직관적인 수급처의 존재가 부족하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은 잔존해있다.
- 리젠되는 높은 스펙의 필드 몬스터&일부 불쾌한 기믹을 가진 필드 몬스터
DLC 지역인 만큼 필드 몬스터의 평균 난이도도 올라갔으며, 대표적인 예시로 군주군 병사 포지션에 해당하는 메스메르군 병사들이 워 크라이를 사용해 대미지를 올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보통 낮은 경직 저항을 가지고 있기에 가호만 충분히 모았다면 상대하기에 큰 어려움은 없으며, 혈귀 같은 거대한 적들도 은근히 경직이 잘 걸리고 뒤잡이 통하기에 전투기술을 잘 활용한다면 어렵지 않게 상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몬스터의 난이도가 너무 높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대표적으로 주검사와 뿔 전사 계열이 있다. 주검사의 경우 평상시에는 경직 저항이 낮지만 공격이나 회피 시 경직 저항이 다소 올라가는데,[21] 역수검을 사용해 엄청난 타수의 연타 공격을 가하거나 뒤로 회피하며 단검을 던지거나 잡기 공격도 시전하는 등 까다로운 패턴으로 무장한 강적이다. 뿔 전사 계열의 적들도 악명이 자자한데, 애초에 경직 모션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데다 강인도는 어지간한 보스와 같은 수치이며, 패턴 또한 엇박이 섞여 까다로운 편이고 대미지도 높다.[22]
물론 엘리트몹들의 스펙이 높다는 점 자체를 비판점으로 삼는 것은 관점에 따라 부당하다고 느껴질 수도 있다. 전술한 주검사와 뿔 전사 계열은 탑의 도시 벨라트와 최종 지역을 제외하면 마주칠 일이 많지 않고, 이들은 거의 항상 다른 잡몹 없이 혼자서 등장하기에 스펙이 높은 적들에게 다굴당할 일은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대하지 않고 지나칠 수도 있다. 특히 주검사의 경우는 경직 저항이 다소 높기는 하나 전투기술을 잘 활용하면 생각보다 쉽게 상대할 수도 있다.[23] 그러나 이들의 스펙이 어지간한 던전 보스 급으로 높음에도 처치해도 리젠된다는 점은 지나치게 피로감을 높이는 설계라는 반응이 많다. 물론 장비 파밍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처치 시 고정적으로 장비를 지급하거나[24] 초반 지역의 개체는 리젠되지 않게 설정하는 등의 방안 없이 모든 개체가 무조건적으로 리젠된다는 점은 지나치게 피로감을 높이는 설계라는 반응이 많다.
또한 상대하기 어렵지는 않지만 플레이어의 짜증이나 귀찮음을 유발하는 필드 몬스터들이 존재한다. 전술한 손가락 유적에서 낙마를 유도하는 구체를 발사하는 분홍빛 여덟눈장어나, 석관의 큰 구멍에서 등장하는 인식범위가 넓은데 쉬지도 않고 레이저를 발사해서 연속 구르기를 유도하는 비정상적인 돌 군체가 그 예시.
- 부실한 최종보스 관련 서사
스토리 측면에서는 최종 보스의 서사 부실에 대한 비판, 죽은 자의 소생을 통한 동성 형제 간의 결혼이라는 서사에 대한 "기괴하다"라는 평 등 부정적 평가를 다수 찾아볼 수 있었다. 다만 출시 초기 서사의 근본적인 내용에 대한 오해가 있었던 만큼 현 시점에서는 재평가가 이루어지기도 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자세한 내용은 미켈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켈라#s-|]]번 문단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켈라#|]][[미켈라#|]] 부분을
자세한 내용은 약속의 왕 라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약속의 왕 라단#s-|]]번 문단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약속의 왕 라단#|]][[약속의 왕 라단#|]] 부분을
8.3. 호불호
- 급격하게 높아진 보스전 난이도
전통적으로 프롬소프트웨어의 DLC 보스들은 전반적으로 본편의 보스들보다 난이도가 높았으며, 엘든 링 또한 그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난이도가 높은 보스가 인기가 많은 경향이 있고 보스의 연출 자체는 잘 만들어진 만큼 이를 호평하는 유저도 적지 않으나, 한편으로는 난이도의 격차가 너무 크다는 반응도 있다. 출시 초에는 전술한 가호 시스템의 밸런스 조절 실패로 보스의 스펙이나 패턴 면에서 불합리하다는 평가가 거의 모든 보스에게서 발생했으나, 이후 패턴 연구가 진행되고 가호 시스템도 개선되면서 이러한 평가는 대부분 사그러들었다.
엘든 링은 전작인 다크 소울 시리즈에 비해 딜타임이 다소 짧아졌는데, 이는 상향된 전투기술과 늘어난 대미지 증가 버프의 종류로 인해 플레이어가 시간당 넣을 수 있는 대미지가 전작들에 비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25] 이 때문에 적이 공격하는 시간에 비해 플레이어가 공격할 수 있는 시간은 밸런스 문제로 짧아질 수 밖에 없으며, 뜻인즉 흔히 DLC 보스들을 비판할 때 자주 언급되는 ’보스는 3~4대 때릴 때 나는 한 대 때릴 수 있다‘라는 말은 이를 감안하면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26]
그러나 DLC 보스들은 전반적으로 호전성이 매우 높고, 거리를 벌려도 빠른 속도로 추격해오기 때문에 짧은 딜타임과 높은 호전성이 맞물려 보스전이 피로해진다는 평가가 많다. 즉 보스전 내에 숨 돌릴 틈 자체가 거의 없는데 패턴 난이도는 DLC 보스들 답게 전반적으로 높고, (실제 들어가는 대미지는 정상적인 것과는 별개로) 체감 딜타임조차 짧은 점이 시너지를 일으킨 것. 패턴에 익숙하지 않아 딜타임 때 머뭇거린다면 곧바로 공격이 들어와 딜타임을 놓치기 쉽고, DLC 보스인 만큼 공격의 대미지 자체도 높은 편이라 함부로 성배병을 마시려다가 공격에 맞고 도로 체력이 줄어드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DLC 보스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다 평가받는 수렁의 기사, 그림자 나무의 화신, 꽃봉오리의 성녀 로미나의 공통점이 호전성이 그리 높지 않다는 점이다.
다만 높은 호전성은 보스의 설계 자체가 잘못된 부분이라고는 볼 수 없으며, 패턴 자체는 전반적으로 잘 짜여진 편이기에 익숙해진다면 딜타임을 쉽게 캐치해낼 수 있고 딜타임을 제공하는 주기도 생각보다 길지 않다. 불합리한 패턴도 최종보스의 개선 패치 이후로는 빡빡한 프레임으로 유명한 노장 가이우스의 돌진 패턴이나[27] 특정 상황에선 사실상 회피가 불가능한 손가락의 어머니 메티르의 통칭 미러볼 패턴을 제외하면 그다지 없다. 신수 사자무나 폭룡 베일에게서 언급된 시점 문제나 쌍월의 기사 렐라나의 딜타임이 부족하다는 문제도 각각의 공략법[28]이 발견된 뒤론 주된 비판 여론은 아니다. 다만 카메라 문제의 대표 격인 황금 하마만큼은 여전히 비판 의견이 주류다.
난이도가 높은 보스들이 인기가 많은 만큼 높아진 난이도의 보스전에 피로감을 느끼는 의견도 많으며, 플레이어마다 기준이 다른 만큼 이는 호불호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8.4. 해소된 문제
발매 전부터 유저들이 DLC 내에서 성장을 체감할 수 있게 시스템을 넣었다고 언급했는데 이것이 세키로의 수주옥과 유사한 시스템인 그림자 나무 가호 버프 시스템이다. 문제는 게임 밸런싱의 근간이 된 시스템이 출시 당시에는 레벨당 버프량이 지나치게 적었고, 여기에 전술한 지나치게 중구난방 흩뿌려진 파편 배치, 꼬일 대로 꼬인 맵 동선이 겹쳐 대다수의 유저들이 적정 스펙을 갖추지 못 한 채로 중후반 구역에 입장하게 되다 보니 불지옥에 가까운 체감 난이도를 자랑했다. 그리고 이후 파편들의 위치들이 퍼지고 동선이 밝혀지면서 질낮은 레벨 디자인에 수많은 유저들이 불쾌감을 표했고, 이 이슈로 인해서 유저 여론이 바로 반영되는 스팀 평가가 복합적까지 떨어졌다. 여기에 발매 전 개발진이 가호 업그레이드는 선택이라고 인터뷰를 했는데, 정작 게임은 정반대로 짜여져 있다 보니 더 불만이 쇄도했다.유저 피드백을 받아 발매 5일만에 가호 성장폭을 개편했다. 기존의 버프 단계에 의한 성장 그래프가 완전 선형이었던 것을 패치 후 성장 곡선이 적용되고 전반적인 버프량도 증가되어 발매 초보다 적은 파밍으로도 빠르게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조정되었다.
이외에도 발매 초엔 기괴하게 꼬아놓은 AI 어그로 순위로 라이트 유저들에게 이해할 수 없는 불쾌함을 선사했었는데 패치로 이 부분은 일정 부분 해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패치 전에는 영체가 한참을 때려야 어그로가 풀렸는데 패치 뒤엔 그래도 본편만큼 어그로가 잘 분산되는 편. 다만 유저 공격에 여전히 칼같이 반응하며 패치 전처럼 패턴 호밍을 하여 중간에도 다른 유저를 견제하는 AI는 여전하니 공격중에도 주의해야 한다. 어찌되었든 공격에 어그로가 반응하므로 적의 공격을 회피하다 영체와 거리가 멀어지면 영체가 공격을 하지 못해 어그로 분산을 못하게 되는 참사가 벌어진다.
8.5. PC 최적화 이슈
디지털 파운드리의 황금 나무의 그림자 테스트. 레귤레이션 1.12.2 기준 최적화가 나아진 게 없다. 14분경부터 테스트 결과를 볼 수 있는데 요약을 하자면 이미 엘든링 본편부터가 발적화였고 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으며, 프레임타임은 여전히 널뛰기중이다. 레이트레이싱 및 수직 동기화는 그 문제를 더더욱 심하게 만들 뿐이고 이미 근본부터 결함이 있는 상태다.
대부분의 프롬 소프트웨어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최적화에 문제가 있다. 특정 셰이더가 적용된 맵의 경우 프레임이 수직 하강하는 상황도 자주 보이며 보스전에서는 20프레임으로 떨어기도 하는 등 퍼포먼스 문제도 종종 보인다. 특히 최종 보스를 상대할 때는 수시로 프레임 드랍이 일어나는 수준이라 많은 유저들이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프레임 드랍이 발생할 경우 레이트레이싱 옵션과 수직 동기화 옵션을 끄면 프레임 드랍이 상당히 완화된다. RTX 4070 Ti 이상의 그래픽 카드를 탑재한 고성능 컴퓨터에서는 해당 옵션을 끄면 프레임 드랍은 거의 없는 수준이지만, 위의 영상에서 테스트한 RTX 4060 + FHD 환경에서도 최종보스전, 푸른 해안, 라우프 유적 같이 이펙트 효과가 많은 특정 필드의 프레임드랍이 여전히 있다. 완화를 위해서는 레이트레이싱 뿐만 아니라 품질 설정에서 이펙트를 최소로 맞춰야 한다. 문제는 스팀 권장사양상 GTX 1070 8GB로 기술되어 있다는 것인데 이미 상단 영상으로도 증명이 됐지만 4060으로도 옵션타협 없이 프레임 유지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PC판 기준 DLC 패치 이후 이지안티치트의 영향인지 서버의 영향인지는 몰라도, 코옵 세션 활성화 시 적잖은 확률로 부정 동작이 검출되었다는 메세지와 함께 튕기게 된다. 현재진행형인 문제로 실제 밴이 아닌 단순 버그이기 때문에 게임을 껐다 키면 정상적으로 서버에 접속되지만, 유저들 입장에선 이만저만 불편한 게 아니다.
9. 흥행
출시 후 첫날 스팀 동접자 수는 59만 명, 최대 78만 명을 기록했다. #2024년 6월 27일 엘든 링 공식 트위터에 출시 3일만에 500만장을 돌파했다는 트윗이 올라왔다. 역대 프롬 소프트웨어 게임 중 엘든 링을 제외하면 가장 빠른 속도로 팔리고 있다.# 게임시장 전체를 통틀어서 봐도 이 정도로 단기간에 많이 팔린 DLC는 전무후무하다.[29]
10. 기타
- 본편 출시 직후인 2022년 4월부터 2년 넘게 개발된 프롬 소프트웨어 최대의 DLC로 대표작 다크 소울 시리즈의 DLC가 모두 출시 후 1년 안에 완성되었던 점을 감안하면 역대 추가 컨텐츠 중 개발 기간이 제일 긴 DLC이다. 가격도 본편의 64,800원에 근접하는 49,800원으로 책정됐다.[30]
- 발매일이 6월 21일로 예정되어 있는데 공교롭게도 아머드 코어 VI 루비콘의 화염의 주인공 이름이 강화 인간 C4-621이라 출시일을 노린 게 아니냐는 팬덤의 의견도 있다.
- 스토리 트레일러를 제작한 VFX 스튜디오는 유닛 이미지이다.[31] 본편과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 스토리 트레일러도 담당했다.
- 발매 며칠전부터 최종보스를 포함한 여러 보스들의 정보가 유출되었는데, 이 중 일부 영상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캐릭터 몇몇이 등장하는 것은 물론 다크소울 시리즈의 보스들의 패턴을 재활용한 흔적들 때문에 미완성된 듯한 느낌이 짙었다보니 그 진위 여부와 DLC의 완성도를 두고 논란이 된 적이 있다. 발매 후 유출들은 모두 사실로 알려졌으나, 다행히 미완성된 듯한 구성은 보완된 채로 발매되었다.
- 플스 5 버전은 바로 DLC 적용이 안되는 문제가 있어서 실행후 재부팅해야 한다.이 게임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고 몇몇 게임들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 헬 다이버즈2의 디렉터가 엘든링 DLC의 난이도에 대해 불만을 표한 트윗에 "모두를 위한 게임은 누구를 위한 게임도 아니다."라고 반응하며 옹호를 했는데 해당 디렉터가 만든 게임 헬 다이버즈2 역시 밸런스 문제로 상당히 논란이 많아 이에 대해 여러 갑론을박이 나오고 있다.#
- 미야자키 히데타카는 엘든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가 처음이자 마지막 DLC라고 2024년 5월 2일 인터뷰에서 밝혔다.#
10.1. 공개 과정
|
| |
본편 출시 1주년 3일 뒤인 2023년 2월 28일, 공식 매체를 통해 DLC 제작을 처음 공개해 컨셉 아트와 로고를 업로드했다.[32] 공개된 아트에선 토렌트를 타고 있는 미켈라[33]와 두 개의 나무가 서로 교차되어 자라난 나무가 그러져 있다.
공개를 앞두고 2023년 9월, 반다이 남코 유럽 사장이 머지않아 출시될 거라 공언했다. 2023년 12월 1일, 프롬 소프트웨어 프로듀서 키타오 야스히로가 인터뷰에서 '엘든 링 DLC는 아직은 조금 남았다'고 언급하면서 2월 발매 루머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첫 발표 후 추가 정보 발표까지 지연이 길어지면서 컨텐츠 규모에 대한 루머가 속속들이 나왔고 엘든 링 스팀 DB에 미상의 추가 컨텐츠 항목이 주기적으로 확인되었다. 2023년 12월 15일에 조이스틱 전문 회사 트러스트마스터에서 제품의 출시를 예고하며 상품의 홍보 이미지에 엘든 링 DLC의 출시일을 2024년 2월로 명시하다 삭제된 해프닝도 있었다.
한국 시각으로 2024년 2월 22일 정각에 게임플레이 트레일러와 미야자키 히데타카의 인터뷰가 공개되었다.[34]
한국 시각으로 2024년 5월 22일 자정에 스토리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한국 시각으로 2024년 6월 4일 23시 무렵 프리뷰 행사에 참여한 매체 및 개개인을 통해 일부 정보가 공개되었다.[35] 사용 가능한 영상과 이미지는 공식 공개본뿐이지만 확인 가능한 내용의 텍스트 정도는 공개되었다.
한국 시각으로 2024년 6월 16일 새벽에 레드불 게이밍에서 여러 스트리머를 초청해 엘든 링 DLC를 플레이 하는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했다. 플레이 내용은 이전에 컨셉아트로 공개되었던 던전 보스 클리어.
[1] Xbox One X Enhanced,
스마트 딜리버리 지원[2] 햅틱 피드백 및 PS4와 크로스 플레이 지원, 3D 오디오와 적응형 트리거 미지원.[3]
Optimized for Xbox Series X|S 인증,
4K UHD 지원,
Dolby Vision 지원 및 자동 증강 지원,
스마트 딜리버리 지원,
HDR10 지원, Xbox One과 크로스 플레이 지원[4] 이렇게 상승한 보너스는 캐릭터 정보 창에서 노란 색으로 표시된다. 1.12 패치전 기준으로 그림자 나무 가호 1레벨당 공격력 5% 증가하고 모든 감소율은 1레벨 때 5% 증가해 최종적으로 50% 증가한다. 패치 이후로는 저레벨 구간의 버프 상승폭을 크게 상향해 패치후 12렙이 패치전 17렙과 맞먹는다. 또한 최종적으로도 약간 상향되었다.[5] 패치 이후로는 가호 레벨이 12~15만되도 스펙적으로는 최종 보스를 잡기에 부족하지 않다. 그 이상 올리는 건 노력 대비 증가폭이 낮아 추천하지 않는다.[6] 이라고 하지만 분류는 대자검이다.[7] 그림자 파편 효과를 저레벨 구간에서 상향하는 등 난이도 완화 내용을 포함[8] 다만 이에 대해 본래 TGA에서 DLC는 수상 후보 자체에 등재되지 않고 있었는데 황금 나무의 그림자가 출시된 이후 갑자기 2024년 시상식부터 DLC도 수상이 가능하다며 기준 변경을 공지했고, 본작이 GOTY 후보에 등재되면서 노골적으로 상을 주고 싶어서 없던 기준까지 새로 만든 것 아니냐는 TGA에 대한 비판도 나오고 있다.[9] 예시로 그림자의 성은 멀기트처럼 레거시 던전에 진입하자마자 보스가 등장하는 구성이다.[10] 본편 보스 중에서는 트리 가드 정도가 패턴의 변화 없이 재등장하긴 했지만, 이 트리 가드는 등장하는 장소의 정체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스토리성 장치다.[11] 다만 나락의 숲의 경우 반드시 은신해서 진행해야 하는 파트가 있어서 인지 영마를 탑승할 수 없는 문제와 은신 구간 이외 부분이 비어있다는 문제로 인해 비주얼 외적인 부분에선 비판을 받기도 한다.[12] 특히 폭룡 베일 보스전에서 소환 할 수 있는 에이곤은 기세넘치는 목소리로 플레이어의 사기를 올려주고 실제 보스전에서도 가장 유능한 NPC이기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서 평가가 상당히 좋은 편이다.[13] 생각보다 복잡하므로 공략을 꼭 참고하자.[14] 출시 전 트레일러를 보면 나락의 숲에서 영마를 타는 장면이 존재한다. 트레일러 제작 당시에는 나락의 숲 기믹이 완성되지 않았거나 중간에 컨셉이 한 번 엎어진 것으로 보인다.[15] 탐험하는 데에 선행 조건이 필요한 지역은 석관의 큰 구멍과 에니르 일림 뿐이며, 이중 전자는 스토리 상 반드시 거치는 이벤트가 선행 조건이고 후자는 최종 지역이다.[16] 대표적으로 백금 마을과 월광의 제단이 같은 장소의 다른 고도에 배치되어 있는데 지도엔 월광의 제단만 보이는 탓에 백금 마을에서 지도에 보이는 교회와 봉인 감옥을 찾아 헤매던 유저들이 많았다.[17] 대표적으로 묘지 평원에서 에라크 강으로 내려가는 용암통의 대장장이 유적 옆쪽의 길이 있다.[18] 대표적으로 알터 고원에서 트리가드 2명이 지키는 외성벽을 통과한 직후 황금 종자가 3개 떨어져있는 수급처가 있다.[19] 목이 잘린 마리카 석상, 황금 하마, 빛나는 항아리를 든 뿔인간 망자[20] 패치 이전 기준 최종보스에 도달한 시점에서 권장 가호는 17 정도였는데, 패치 이후 12와 동일한 수치이며 이는 전체 파편 50개 중 절반 정도만 모아도 달성 가능한 수치다.[21] 평상시에는 직검으로도 경직이 걸리지만 피격당하다 공격이나 회피 모션을 취할 경우는 특대검 정도가 되어야 약공격으로 공격을 끊을 수 있다.[22] 뿔 전사의 강인도는 본편에서 대부분의 보스에 해당되는 수치인 80이다.[23] 적을 강제 다운시키는 거인 사냥이나 사자 베기 등의 전기가 통하며, 대부분의 전투기술은 경직치가 높기에 어렵지 않게 경직을 먹일 수 있다.[24] 실제로 폭풍을 사용하는 신수 전사만은 유일하게 처치해도 리젠되지 않는데, 처치 시 뿔 전사의 대곡검을 확정 드랍한다.[25] 본편 출시 초 전투기술에 익숙치 않았던 유저들이 소위 ‘구평’ 플레이를 시도하다 보스의 스펙이 체력이 너무 과도하게 높다는 불만을 표하는 경우가 많았던 이유가 이 때문이다. 체력 자체가 전투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상정된 것이기 때문.[26] 전투기술은 한 번만 성공시켜도 약공격의 3배 정도 되는 피해를 가할 수 있는만큼 전투 시간 대비 플레이어의 딜이 하락한 상황은 아니다. 본편에서 호평받은 여러 보스들은 물론, DLC 보스들 중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 가시공 메스메르 또한 공유하는 특징이므로 해당 특징 자체가 문제인 것은 아니다.[27] 여담으로 노장 가이우스는 다른 패턴들이 괜찮게 구성되어 있음에도 이 돌진 패턴의 존재 하나 때문에 평가가 대폭 깎이게 되었다.[28] 사자무의 경우 패턴을 후방으로 굴러 피해 카메라에 사자무의 전신이 담겨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 베일도 마찬가지로 굳이 몸 아래로 피하지 않는다면 시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렐라나의 경우 거리 조절을 통해 대부분의 동작을 회피 커멘드 없이도 피할 수 있다.[29] 마찬가지로 좋은 평가를 받았던 위쳐 3 혹은 사실 확장팩이 본체인 사이버펑크 2077 DLC도 500만장을 돌파하는데 수 개월 이상이 걸렸다. 그나마 견줄만한 확장팩이 바로 몬스터 헌터 월드: 아이스본이다.[30] Kenneth Kin Yue Chan 프로필 (링크드인)[31] 유닛 이미지 트윗 (트위터)[32] DLC 공개 트윗 (트위터) 키타오 야스히로 공개 로고 (트위터)[33] 컨셉아트 공개 당시부터 미켈라라는 추측이 많았으나 확증은 없었다. 이후 1년 뒤 미야자키의 인터뷰에서 비로소 확정.[34] 【エルデンリングDLC】『SHADOW OF THE ERDTREE』宮崎英高ディレクターの国内メディア独占インタビュー。過去最大規模のDLCで描かれる“影の地”の物語、その詳細が明らかに! (패미통)
Elden Ring Shadow of the Erdtree is FromSoftware's "largest expansion" ever (유로게이머)
EXCLUSIVE: Elden Ring Director Answers All of Our Shadow of the Erdtree DLC Questions (IGN)[35] '이것이 원조 맛집' 엘든 링 DLC 미리 해봤습니다 (디스이즈게임)
Elden Ring Shadow of the Erdtree is FromSoftware's "largest expansion" ever (유로게이머)
EXCLUSIVE: Elden Ring Director Answers All of Our Shadow of the Erdtree DLC Questions (IGN)[35] '이것이 원조 맛집' 엘든 링 DLC 미리 해봤습니다 (디스이즈게임)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엘든 링|엘든 링]]}}}{{{#!if external != "o"
[[엘든 링]]}}}}}}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엘든 링?uuid=b3586498-ebbf-4ca8-b311-ad423cd04fa4|r179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엘든 링?uuid=b3586498-ebbf-4ca8-b311-ad423cd04fa4#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엘든 링?from=179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엘든 링|엘든 링]]}}}{{{#!if external != "o"
[[엘든 링]]}}}}}}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엘든 링?uuid=b3586498-ebbf-4ca8-b311-ad423cd04fa4|r179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엘든 링?uuid=b3586498-ebbf-4ca8-b311-ad423cd04fa4#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엘든 링?from=179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