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20:37:56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황금 나무의 그림자에서 넘어옴


[[엘든 링|
파일:Elden Ring Logo_small.png
파일:EldenRingdeco2(RGB)(noise_scale)(Level3)(tta)(x1.500000).png]]


제스처 · 도전 과제 · 평가 · 패치 내역 · 코믹스
출시 전 정보 · 육성 관련 정보 · 전작 관련 정보
DLC · 황금 나무의 그림자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파일:elden-ring-shadow-of-the-erdtree-logo.png
파일:EldenRingdeco2(RGB)(noise_scale)(Level3)(tta)(x1.500000).png]]
등장인물 · 지역 · 보스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エルデンリング Shadow of the Erdtree
Elden Ring Shadow of the Erdtree
파일: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박스아트.jpg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fafafa> 제작 프롬 소프트웨어
유통 프롬 소프트웨어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장르 3인칭 오픈 월드 ARPG
플랫폼 PlayStation 4 | Xbox One[1]
PlayStation 5[2] | Xbox Series X|S[3]
Microsoft Windows
ESD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 Steam
출시 2024년 6월 21일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Xbox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트레일러3. 프롤로그4. 팁5. 추가 요소
5.1. 등장인물5.2. 설정5.3. 스토리5.4. 지역5.5. 무기5.6. 방어구5.7. 탈리스만5.8. 주문
5.8.1. 마술5.8.2. 기도
5.9. 적5.10. 아이템5.11. 뼛가루5.12. 전회5.13. 제스처
6. 평가
6.1. 호평6.2. 혹평
7. 흥행8. 기타
8.1. 공개 과정

[clearfix]

1. 개요

공식 론치 트레일러
約束の王を待つ
약속한 왕을 기다린다
일본의 게임 개발사 프롬 소프트웨어가 개발,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가 유통한 3인칭 오픈 월드 다크 판타지 액션 RPG 엘든 링의 DLC. 신규 지역 '그림자의 땅'을 배경으로 새로운 인물과 이야기를 다룬다.

2. 트레일러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folding [ 자막 ]
스토리 트레일러

3. 프롤로그

파일:43zhJiE.png

影の地

==# 발매 전 정보 #==
프리뷰 및 미야자키 디렉터와의 인터뷰에서 나온 정보는 다음과 같다.

4.

5. 추가 요소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1. 등장인물

5.2. 설정

5.3. 스토리

5.4.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그림자의 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스포일러 ]
* 에니르 일림

5.5. 무기


이외에도 기존 본편의 무기군들을 포함하여 총 95개의 무기가 신규 추가되었다.

5.6. 방어구

5.7. 탈리스만

5.8. 주문

5.8.1. 마술

5.8.2. 기도

5.9.

5.9.1. 보스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보스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0px"
ENEMY
[[주검사 라비리스|{{{#!wiki style="letter-spacing: -1px"]] [[떨어지는 별의 짐승|{{{#!wiki style="letter-spacing: -1px"]] [[트리 가드|{{{#!wiki style="letter-spacing: -1px"]] [[흑기사 가루|{{{#!wiki style="letter-spacing: -1.5px"]]
[[흑기사 에드레드|{{{#!wiki style="letter-spacing: -1px"]] [[고립 감옥의 기사|{{{#!wiki style="letter-spacing: -1px"]] [[죽음의 기사(엘든 링)|{{{#!wiki style="letter-spacing: -1px"]] [[고룡인|{{{#!wiki style="letter-spacing: -1px"]]
[[아인 검성 온지|{{{#!wiki style="letter-spacing: -1px"]] [[큰 붉은곰|{{{#!wiki style="letter-spacing: -1px"]] [[큰 붉은곰|{{{#!wiki style="letter-spacing: -1px"]] [[혈귀의 우두머리|{{{#!wiki style="letter-spacing: -1px"]]
[[라나의 무희|{{{#!wiki style="letter-spacing: -1px"]] [[한탄하는 사람|{{{#!wiki style="letter-spacing: -1px"]] [[손가락의 어머니 유미르 경|{{{#!wiki style="letter-spacing: -1px"]] [[죽음 의례의 새|{{{#!wiki style="letter-spacing: -1px"]]
[[붉은곰(엘든 링)|{{{#!wiki style="letter-spacing: -1px"]] [[아인 여왕|{{{#!wiki style="letter-spacing: -1px"]] [[낙엽의 단|{{{#!wiki style="letter-spacing: -1px"]] [[나찰(엘든 링)|{{{#!wiki style="letter-spacing: -1px"]]
[[신수 사자무|{{{#!wiki style="letter-spacing: -1px"]]
}}}
||<-4><tablealign=center><tablebgcolor=#666666,#999999><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e6a2><bgcolor=#323232><tablecolor=#373a3c><color=#fff> GREAT ENEMY ||
[[영혼 불꽃 용|{{{#!wiki style="letter-spacing: -1px"]] [[황금 하마|{{{#!wiki style="letter-spacing: -1px"]] [[고문 노인 이오리|{{{#!wiki style="letter-spacing: -1.5px"]] [[톱니산의 비룡|{{{#!wiki style="letter-spacing: -1px"]]
[[고룡 세네삭스|{{{#!wiki style="letter-spacing: -1px"]]

||<-4><tablealign=center><tablebgcolor=#666666,#999999><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e6a2><bgcolor=#323232><tablecolor=#373a3c><color=#fff> LEGEND ||
파일:사자무의 추억.png
파일:쌍월의 기사의 추억.png
파일:수렁의 추억.png
파일:멧돼지 탄 자의 추억.png
신수 사자무 쌍월의 기사 렐라나 수렁의 기사 노장 가이우스
파일:영륜초의 추억.png
파일:꽃봉오리의 성녀의 추억.png
파일:미친 불의 왕의 추억.png
파일:손가락의 어머니의 추억.png
그림자 나무의 화신 꽃봉오리의 성녀 로미나 미친 불의 왕 미드라 손가락의 어머니 메티르
폭룡 베일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666666,#999999><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e6a2><bgcolor=#323232><tablecolor=#373a3c><color=#fff> DEMIGOD ||
가시공 메스메르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666666,#999999><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e6a2><bgcolor=#323232><tablecolor=#373a3c><color=#fff> GOD ||
??? ? ???
{{{#!wiki style="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323232; color :#FFD70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80px; text-align: center" }}}
}}}}}}
[ 스포일러 ]
* GOD

5.10. 아이템

5.11. 뼛가루

5.12. 전회

5.13. 제스처

6.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S5}}}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5/elden-ring-shadow-of-the-erdtree|
95
]]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5/elden-ring-shadow-of-the-erdtree/user-reviews|
8.3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S4}}}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elden-ring-shadow-of-the-erdtree|
리뷰 부족
]]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elden-ring-shadow-of-the-erdtree/user-reviews|
tbd
]]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elden-ring-shadow-of-the-erdtree|
95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elden-ring-shadow-of-the-erdtree/user-reviews|
8.2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elden-ring-shadow-of-the-erdtree|
리뷰 부족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elden-ring-shadow-of-the-erdtree/user-review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pc/elden-ring-shadow-of-the-erdtree|
92
]]


[[https://www.metacritic.com/game/pc/elden-ring-shadow-of-the-erdtree/user-reviews|
7.7
]]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333,#555><table bgcolor=#fff,#1c1d1f><bgcolor=#333>
기준일:
2024-06-26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
[[https://opencritic.com/game/16525/elden-ring-shadow-of-the-erdtree| '''평론가 평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https://opencritic.com/game/16525/elden-ring-shadow-of-the-erdtree| '''평론가 추천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24-06-27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778580/#app_reviews_hash| 대체로 긍정적 (7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778580/#app_reviews_hash| tbd (X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메타크리틱 95, 오픈크리틱 94점을 받아내면서 지금까지 발매된 모든 프롬 소프트웨어의 DLC들 중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해당 평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DLC가 아니라 확장팩이라 봐야 할 수준의 방대한 지역과 보스를 포함한 컨텐츠 볼륨, 다양하고 매력적인 설정을 지닌 새로운 등장인물과 보스들, 밀도를 중시한 수직적 구성의 레벨 디자인과 각종 숨겨진 요소 등 2년 이상이 소요된 프롬 소프트웨어의 DLC에 걸맞는 퀄리티를 보여준다.

다만 몇 가지 이유로 2024년 6월 28일 기준 스팀에서의 평가는 본편과는 달리 70%가 긍정적인 '대체로 긍정적'을 기록해 호불호가 살짝 갈리는 모습을 보인다.

6.1. 호평

평론가와 유저를 가리지 않고 DLC라는 범위를 넘어선 풍부한 볼륨, 더욱 강화된 보스전 연출, 뛰어난 맵 퀄리티와 다양한 무기 종류 추가 등 여러 부분을 크게 호평했으며, 96점을 받은 본편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본편의 명성을 잇는 명작이라고 평가를 내렸다.

본편 이상으로 밀도가 높은 맵과 풍부한 볼륨에 대해서 호평을 받았다. 프롬 소프트웨어는 이전 인터뷰에서 림그레이브보다 조금 더 큰 사이즈로 제작했다고 공언하였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더 크다. 그림자의 땅의 경우 레벨 디자인이 수직적 요소를 중점적으로 채용하였기 때문에 탑뷰 월드맵 시점으로 봤을때 동일 면적이어도 실제 3차원적으로는 위아래로 잡아늘여져 있다. 단순히 평면적인 넓이만을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매우 밀도높고 입체적인 디자인이며 수직적 요소의 강조를 통해 다채로운 탐험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DLC에 등장하는 레거시 던전들은 던전의 규모를 넓히기 위해서인지 스톰빌 성이나 도읍 로데일처럼 중간 보스가 중간에 있지 않고, 초반부나 후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10] 중간 보스의 재배치로 인해 레거시 던전 하나하나의 크기가 매우 넓직하며, 동시에 레벨 디자인의 복잡성과 깊이를 증가시키려고 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그림자 성의 특정 레벨은 다크소울 3의 대서고의 극 강화판이라고 여겨질 정도로 복잡하게 짜여 있다. 숨겨진 루트도 상당히 많고 다크 소울 시리즈를 방불케할 정도로 여러 숏컷이 존재하다보니 탐색의 재미는 본편 그 이상이라는 평이다.

던전과 몬스터 또한 본편에서 지나치게 재탕이 많았다는 비판을 수용했는지 이번 DLC에서는 오리지널 던전이나 몬스터가 다수 등장하며, 디자인 또한 수려하여 호평을 받았다.[11] 미니 던전의 경우 동굴, 갱도, 지하묘지, 영웅묘지로 구성되어 있던 본편과 달리 대장장이 유적이나 감옥 같은 독자적인 디자인을 가진 미니 던전들이 다수 존재한다.

특히 이번 DLC에선 본편의 디지털 아트에 가까운 맵 아트워크 퀄리티가 더욱 발전해 호평받았다. 라우프의 옛 유적, 푸른 해안, 톱니산, 나락의 숲[12], 무녀 마을 등이 주로 호평받으며 다른 지역들도 하나같이 독보적인 비주얼을 자랑한다. 톱니산을 지나 도달하게 되는 카로의 숨겨진 묘지에서는 톱니산의 붉은 꽃과 푸른 해안의 푸른 꽃이 정확히 반으로 갈라져 양쪽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볼 수 있는 절경도 존재한다.

보스에 대한 디자인과 패턴의 연출 또한 전체적으로 공들여서 만든 티가 난다. 메인 보스 가시공 메스메르와 히든 보스 미친 불의 왕 미드라, 폭룡 베일은 매력적인 디자인과 서사를 지녔으며, 패턴 또한 까다로워도 확실한 공략법과 전조가 존재하는 등 이견의 여지 없이 패턴과 디자인을 모두 챙긴 웰메이드 보스로 평가받는다. 패턴과 스토리면에서 비판을 받는 최종보스 또한 장엄한 분위기 만큼은 압도당한다는 반응이 있다. 사실 전체적인 보스들의 패턴 스케일이 굉장히 커졌으며 덕분에 역대 프롬 소프트웨어의 소울류 게임 중에서도 가장 화려하고 보는 맛이 있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최종보스를 제외하면 DLC에서 추가된 스토리도 전체적으로 호평받는다. 폭룡 베일 관련 스토리는 npc, 아이템, 몬스터, 맵 디자인을 통한 빌드업이 자연스러웠으며 용왕 플라키두삭스와의 떡밥을 설득력있게 풀어냈다. 무녀 관련 스토리도 마리카의 과거, 흉조, 인육 항아리들의 관계를 적절히 연관지으면서 엘든 링 세계관의 잔혹함을 더욱 어필하는것에 성공했다. 서사적으로 dlc에서 가장 큰 호평을 받은 메스메르 관련 스토리도 본편에선 거의 비중이 없던 멜리나의 정체까지 다루면서 몇 가지 의문점들은 해소한 셈이다.

6.2. 혹평

최적화 문제가 꽤나 크게 지적 받고 있다. 특정 쉐이더가 적용된 맵의 경우 프레임이 수직 하강하는 상황도 자주 보이며 보스전에서는 20프레임으로 떨어기도 하는 등 퍼포먼스 문제도 종종 보인다. 특히 최종 보스를 상대할 때는 수시로 프레임 드랍이 일어나는 수준이라 많은 유저들이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프레임 드랍이 발생할 경우 레이트레이싱 옵션을 끄면 대부분 해결된다.

필드 중 나락의 숲은 영마가 겁에 질린다는 이유로 굉장히 넓은 맵을 지루하게 빛바랜 자가 스스로 뛰어가도록 만들어 놓아 혹평을 받기도 한다. 나락의 숲의 중반부가 반드시 은신해서 지나가야 하는 구성인데, 영마를 사용하면 이를 무시하고 지나갈 수 있으니 의도적으로 영마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13] 다만 그럼에도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는데 은신을 요구하는 적이 있는 곳이 나락의 숲 전체가 아닌 일부 구역으로 정해져 있고 그외에는 딱히 들키건 말건 상관이 없는데다, 무엇보다 본편에서 암령 침입 또는 특정 구간 진입 시 영마에서 하차하는 시스템이 이미 구축되어있었음에도 나락의 숲 지역에서는 해당 시스템을 일절 사용하지 않고 통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만들어 놓았다는 것이다.[14]

또한 나락의 숲과 손가락 유적 두 군데처럼 필드 중에선 크기에 비해 이상할 정도로 텅텅 비어있는 구간도 다수 존재한다.

보스들의 스케일, 분위기 등은 대다수가 압도적으로 호평하지만 몇몇 보스의 패턴은 일각에서 불호를 표시하기도 한다. 가시공 메스메르, 미친 불의 왕 미드라 등 대다수가 인정하는 웰 메이드 패턴으로 구성된 보스들이 많지만, 최종 보스는 특정 패턴에 대한 비판적 의견이 존재하며 신수 사자무와 같이 카메라 무빙이 어지럽고 히트박스와 딜타임이 비직관적이라는 비판이 꽤 있는 보스들도 있다.

스토리적 측면에서 몇몇 신규 보스들을 제외하고는 본편에서 이어지는 DLC의 핵심 등장인물인 미켈라는 떡밥을 풀어나가기는커녕 서사를 뜬금없고 기괴하게 뒤틀어놓아 DLC 스토리뿐 아니라 기존의 본편 스토리에마저 상당한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 자세한 건 미켈라의 행적과 평가 참고.

7. 흥행

출시 후 첫날 스팀 동접자 수는 59만 명, 최대 78만 명을 기록했다. #

6월 27일 엘든 링 공식 트위터에 출시 3일만에 500만장을 돌파했다는 트윗이 올라왔다. 역대 프롬소프트 게임들중 엘든 링을 제외하면 가장 빠른 속도로 팔리고 있다.# 게임시장 전체를 통틀어서 봐도 이정도로 단기간에 많이팔린 DLC는 전후무후하다.[15]

8. 기타

8.1. 공개 과정

파일:fromsoftware-20230228-170906-000.jpg
파일:부서진 황금 나무.jpg
파일:미켈라 DLC.jpg

본편 출시 1주년 3일 뒤인 2023년 2월 28일, 공식 매체를 통해 DLC 제작을 처음 공개해 컨셉 아트와 로고를 업로드했다.[18] 공개된 아트에선 토렌트를 타고 있는 미켈라[19]와 두 개의 나무가 서로 교차되어 자라난 나무가 그러져 있다.

공개를 앞두고 2023년 9월, 반다이 남코 유럽 사장이 머지않아 출시될 거라 공언했다. 2023년 12월 1일, 프롬 소프트웨어 프로듀서 키타오 야스히로가 인터뷰에서 '엘든 링 DLC는 아직은 조금 남았다'고 언급하면서 2월 발매 루머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첫 발표 후 추가 정보 발표까지 지연이 길어지면서 컨텐츠 규모에 대한 루머가 속속들이 나왔고 엘든 링 스팀 DB에 미상의 추가 컨텐츠 항목이 주기적으로 확인되었다. 2023년 12월 15일에 조이스틱 전문 회사 트러스트마스터에서 제품의 출시를 예고하며 상품의 홍보 이미지에 엘든 링 DLC의 출시일을 2024년 2월로 명시하다 삭제된 해프닝도 있었다.

한국 시각으로 2024년 2월 22일 정각에 게임플레이 트레일러와 미야자키 히데타카의 인터뷰가 공개되었다.[20]

한국 시각으로 2024년 5월 22일 자정에 스토리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한국 시각으로 2024년 6월 4일 23시 무렵 프리뷰 행사에 참여한 매체 및 개개인을 통해 일부 정보가 공개되었다.[21] 사용 가능한 영상과 이미지는 공식 공개본뿐이지만 확인 가능한 내용의 텍스트 정도는 공개되었다.

한국 시각으로 2024년 6월 16일 새벽에 레드불 게이밍에서 여러 스트리머를 초청해 엘든 링 DLC를 플레이 하는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했다. 플레이 내용은 이전에 컨셉아트로 공개되었던 던전 보스 클리어.


[1] Xbox One X Enhanced, 파일:Xbox Smart Delivery 아이콘.svg 스마트 딜리버리 지원[2] 햅틱 피드백 및 PS4와 크로스 플레이 지원, 3D 오디오와 적응형 트리거 미지원.[3] 파일:Optimized for Xbox Series XS 로고.svg Optimized for Xbox Series X|S 인증, 파일:XBOX 4K ULTRA HD.svg 4K UHD 지원, 파일:Dolby Vision 로고.svg Dolby Vision 지원 및 자동 증강 지원, 파일:Xbox Smart Delivery 아이콘.svg 스마트 딜리버리 지원, 파일:XBOX HDR.svg HDR10 지원, Xbox One과 크로스 플레이 지원[4] 이렇게 상승한 보너스는 캐릭터 정보 창에서 노란 색으로 표시된다. 1.12 패치전 기준으로 그림자 나무 가호 1레벨당 공격력 5% 증가와 모든 감소율이 약 3.3%씩 증가한다. 감소율의 경우엔 감소율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 효율이 떨어지게 설정되어 있기에 딱 수치만큼 상승하진 않는다. 패치 이후로는 저레벨 구간의 버프 상승폭을 상향했고 최종적으로도 약간 상향되었다.[5] 이라고 하지만 분류는 대자검이다.[6] 자세히 보면 얼굴 외형 또한 휴 잭맨을 닮았다.[7] 소각로 가면 설명을 보면 뿔로 둘러싸인 가면의 형상은 뿔인간 전승에서의 불의 악신을 본따 만들었다고 하는데, 겉면에 포박한 포로들을 둘러 놓은 뒤 안에 시체들을 쌓아 연료로 쓰는 듯한 작동 방식도 그렇고 그림자 땅의 인신공양 악습도 그렇고 마리카의 명령에 따라 그림자 땅의 뿔인간들을 갈아버린 메스메르 입장에서는 다분히 의도적인 디자인으로 보인다.[8] "골렘의 소각로가 불탈 때, 그 안에 항아리의 불꽃을 섞지 말 것, 특히 소용돌이치는 불꽃은 엄중히 피할 것."[9] 그나마 다행인 부분은, 이 외침은 가드가 가능하다. 대형 방패씩이나 쓰지 않아도 물리컷 100 방패면 꽤 무난하게 가드 가능하니 참고.[10] 예시로 그림자의 성은 멀기트처럼 레거시 던전에 진입하자마자 보스가 등장하는 구성이다.[11] 본편 보스 중에서는 트리 가드 정도가 패턴의 변화 없이 재등장하긴 했지만, 이 트리 가드는 등장하는 장소의 정체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스토리성 장치다.[12] 다만 나락의 숲의 경우 반드시 은신해서 진행해야 하는 파트가 있어서 인지 영마를 탑승할 수 없는 문제와 은신 구간 이외 부분이 비어있다는 문제로 인해 비주얼 외적인 부분에선 비판을 받기도 한다.[13] 출시 전 트레일러를 보면 나락의 숲에서 영마를 타는 장면이 존재한다. 트레일러 제작 당시에는 나락의 숲 기믹이 완성되지 않았거나 중간에 컨셉이 한 번 엎어진 것으로 보인다.[14] 은신을 요구하는 적이 존재하는 구역에 진입했을 때 영마에서 강제 하차가 되었다면 플레이어 입장에서도 "여기서부터는 은신을 해야하는 구나"라고 인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등 합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이다.[15] 마찬가지로 좋은 평가를 받았던 위쳐 3 혹은 사실 확장팩이 본체인 사이버펑크 2077 DLC도 500만장을 돌파하는데 수 개월 이상이 걸렸다. 그나마 견줄만한 확장팩이 바로 몬스터 헌터 월드: 아이스본이다.[16] Kenneth Kin Yue Chan 프로필 (링크드인)[17] 유닛 이미지 트윗 (트위터)[18] DLC 공개 트윗 (트위터) 키타오 야스히로 공개 로고 (트위터)[19] 컨셉아트 공개 당시부터 미켈라라는 추측이 많았으나 확증은 없었다. 이후 1년 뒤 미야자키의 인터뷰에서 비로소 확정.[20] 【エルデンリングDLC】『SHADOW OF THE ERDTREE』宮崎英高ディレクターの国内メディア独占インタビュー。過去最大規模のDLCで描かれる“影の地”の物語、その詳細が明らかに! (패미통)
Elden Ring Shadow of the Erdtree is FromSoftware's "largest expansion" ever (유로게이머)
EXCLUSIVE: Elden Ring Director Answers All of Our Shadow of the Erdtree DLC Questions (IGN)
[21] '이것이 원조 맛집' 엘든 링 DLC 미리 해봤습니다 (디스이즈게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9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9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