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18:06:38

현지화/중국/기업명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현지화/중국

1. 개요2. 예시
2.1. 자동차2.2. 음식2.3. 게임2.4. IT 및 통신2.5. 항공2.6. 기타
3. 관련 문서

1. 개요

기업명중화권에서 현지화한 것들. 얼핏 보면 중화권의 작명센스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표의문자인 한자의 특성상 음차로만 번역할 수 없기 때문이므로 중국에서는 자연스러운 것이다. 단지 우리가 보기에 개그처럼 느껴질 뿐이다. 예를 들면, 영미권에서 'Apple'로 부르는 기업을 우리나라에서는 '사과'라고 부르는 것과 별로 다르지도 않다.

주로 원래 이름의 발음과 성조를 맞추는 경우가 많지만 대체로 중국어 단어에 의미를 부여하는 경향이 많다.

한국인으로서는 이런 표기들이 매우 부자연스럽게 느껴지겠지만 (특히 한국식 한자음으로 읽으면), 중국어 발음으로 들으면 괜찮은 데다가 한자 뜻을 살펴보면 의외로 센스있는 작명이 많다. 게다가 음과 뜻을 동시에 비슷한 것으로 고르는데서 향찰의 느낌을 주기도 한다. 중국의 이런 전통은 사실 매우 오래된 것으로 남북조시대 이후 인도에서 들여온 불경을 한역할때 의미와 음을 모두 고려할때부터 이어진 것이다.

우리나라나 일본 같은 한자문화권의 회사들의 이름은 대부분 한문이다 보니 한문 그대로 쓰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현지화에 해당하지 않는다.[1] 하지만 마쓰다처럼 원래 한자 그대로 할 경우 어감이 좋지 않아 馬自達(마즈다)로 음역한 경우도 있다. 농심(農心)의 경우도 특징이 없어 快樂農心(콰이러눙신)으로 표기하여 즐거운농심이라는 뜻을 덧붙이기도 했다. 본 항목에서는 기업 외에 브랜드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LG, BMW처럼 이니셜을 쓰는 기업은 음차된 기업명이 있어도 원래 영어 명칭을 더 많이 쓰는 경우가 많고, 경우에 따라 원 기업명을 음차나 한역을 하지 않고 별도의 중화권 한정 명칭을 만드는 기업도 있다. 아래에도 보면 뜻, 음 모두 아닌 기업들이 있다.[2]

홍콩의 광동어 음차는 香(홍콩)으로 표기. 한역을 할때 뜻을 중심으로 했을때는 <意>, 음을 중심으로 했을땐 <音>이라고 표기.한자문화권 국가의 기업 중 한자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해당 기업 모국의 언어에 따라 <韓漢>, <日漢>, <越漢>으로 표기.

2. 예시

2.1. 자동차

중국본토와 대만에서의 브랜드 명칭은 회사별로 약간 차이가 있다.

※ 韓漢 : 한국어 한자 그대로 사용 , 音 : 음차, 日漢 : 일본어 한자 그대로 사용 , 意 : 뜻
브랜드명 명칭 어원 기타
중국 본토(简)
(발음)
대만(正)
(발음)
현대 现代
(셴다이)
現代
(셴다이)
韓漢
기아 起亚
(치야)
起亞
(치야)
韓漢
제네시스[3] 捷尼赛思
(제니싸이쓰)
捷尼賽思
(제니싸이쓰)
제네시스 BH 劳恩斯
(라오언스)
勞恩斯
(라오언스)
[4]
제네시스 DH 捷恩斯
(제인스)
혼다 本田
(번톈)
日漢 [5]
마쓰다 马自达
(마쯔다)
馬自達
(마쯔다)
[6]
토요타 丰田
(펑톈)
豐田
(펑톈)
日漢 [7]
렉서스 雷克萨斯
(레커싸스)
凌志
(링즈)
音(중국본토) [8]
닛산 日産
(르찬)
日漢
BMW 宝马[9]
(바오마)
巴伐利亞引擎製造廠
(바파리야인칭지자오창)[10]

音(중국본토 제외)
[11]
미니 迷你
(미니)
롤스로이스 劳斯莱斯
(라오쓰라이쓰)
勞斯萊斯
(라오쓰라이쓰)
메르세데스-벤츠 梅赛德斯-奔驰
(메이싸이더쓰 번츠)
梅賽德斯 賓士
(메이싸이더쓰 빈스)
볼보 沃尔沃
(워얼워)
富豪
(푸하오)
音(중국본토)
音意(대만)
[12]
시트로엥 雪铁龙
(쉐톄룽)
雪鐵龍
(쉐톄룽)
제너럴 모터스 通用汽车
(퉁용치처)
通用汽車
(퉁용치처)
[13]
쉐보레 雪佛兰
(쉐푸란)
雪佛蘭(쉐푸란)
캐딜락 凱迪拉克
(카이디라커)
뷰익 別克
(볘커)
포드 福特
(푸터)
폭스바겐 大众
(따종)
福斯汽車
(푸쓰지처)
意(중국)
音(대만)
[14]
아우디 奥迪
(아오디)
포르쉐 保时捷
(바오스제)
保時捷
(바오스제)
람보르기니 兰博基尼
(란보지니)
藍寶堅尼
(란바오지니)
벤틀리 宾利
(빈리)
賓利
(빈리)
푸조 标致[15]
(뱌오즈)
寶獅
(바오스)
意(중국,홍콩,마카오)
音(대만)
랜드로버 路虎
(루후)
荒原路華
(황위안루화)
지프 吉普
(지푸)
르노 雷诺
(레이눠)
雷諾
(레이눠)
스카니아 斯堪尼亚
(스카니야)
斯堪尼亞
(스카니야)
페라리 法拉利
(파라리)
부가티 布加迪
(부지아디)
布卡堤
(부카티)

2.2. 음식

2.3. 게임

게임 타이틀의 중국 현지화는 중국/게임 타이틀 현지화 항목으로.

2.4. IT 및 통신

2.5. 항공

2.6. 기타

3. 관련 문서



[1] 삼성, 현대 같은 경우 별 고민 없이 三星, 現代로 표기한다. 물론 발음을 중시하여 바꾸는 경우도 있는데 과거 금성사(현 LG전자)의 경우 金星 대신 GoldStar와 비슷한 발음이 나는 高士達(가오스다)을 상표로 등록한 일이 있다.#[2] 반대로 중화권 기업이 영문 명칭을 원 한자명칭과 별개로 새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주로 과거 홍콩 기업이 많이 했다.[3] 2023년 현재[4] Royal(최고의)과 Enhance(높이다)의 조합한 로헨스(Rohens)를 중국어로 음차한 것이다.[5] 일본 본사 명칭이 '혼다(본전) 기연공업 주식회사'(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이다. 이중 우리가 흔히 'HONDA'라고 부르는 본전 부분만 그대로 중국어 발음으로 읽은 것.[6] '마쓰다'의 본래 한자인 '松田'(송전)의 중국어 발음 '쑹톈'이 죽은 사람을 보낸다는 '쑹톈(送天, 송천)'과 비슷해서 본래 한자가 있음에도 음역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가나로 표기한다.[7] 상기의 혼다와 마찬가지로 토요타(풍전)자동차 주식회사의 TOYOTA 부분만 중국어식 발음으로 읽은 것.[8] 凌志는 과거 홍콩, 대만에서 사용하던 이름인데 특이하게도 유래가 중국 공산당의 마오쩌둥이 쓴 징강산에 올라(重上井岡山)라는 글인데 2004년 중국본토에 진출하면서 원음에서 따온 雷克萨斯를 사용하게 되었다.[9] 홍콩, 마카오 포함[10] BMW의 원 뜻인 바이에른 엔진제조공장이라는 뜻인데, 너무 길어서 민간에서는 BMW 내지는 민남어 낱말인 米漿(Bí-leng)이라고 하기도 한다.[11] 보물같이 소중한 말이라는 뜻이 있다.[12] 발음도 발음이지만 억만장자라는 뜻도 된다.[13] General = 通用(통용), 汽车(기차)는 중국어로 자동차[14] 중국 본토에서는 폭스바겐을 大众(대중)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독일어로 국민차를 뜻하는 Volkswagen을 의역한것이다.[15] 홍콩 마카오 포함[16] 광둥어 발음으로는 막똥로우. 홍콩 맥도날드는 간판에 광둥어 표기를 하지 않으나, 마카오 맥도날드는 간판에 광동어 표기가 되어 있다.[17] 단 법인명은 2017년부터 맥도날드 로고를 풀어 쓴 金拱门(진궁먼)으로 바뀌었다.[18] 사드사태이후 롯데리아는 중국에서 철수했다.[19] burger-漢堡, king-王.[20] 중국의 현지화 작명중 가장 성공적으로 꼽히는 사례중 하나. 중국발음으로도 '코카콜라' 비슷하게 발음되고, 뜻도 음료수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좋은 내용이다.[21] 한때 <意>로 小妖精이라고 했다가 크게 망한 일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22] 켄터키 주를 한자로 이렇게 표현하기에 켄터키라는 지명을 정확하게 의미하게 된다.[23] 빡씨호록 - 광동어[24] 코카콜라와 더불어 중국의 현지화 작명중 가장 성공적으로 꼽히고 있음. 발음상으로도 '펩시콜라' 비슷하게 발음되고, 뜻도 '이 콜라를 마시면 모든 일이 즐겁다'이니까 절묘하기도 하다.[25] 줄여서 바오쾅리(宝矿力 · 寶鑛力)라고도 한다.[26] 광둥어 발음으로는 삣씽학.[27] star는 星으로 했고, buck의 巴克 음역.[28] 로고 모양에서 착안함.[29] 일본 본사도 저 한자 그대로다. 참고로 닌텐도를 한국식 독음으로 읽은 임천당도 닌텐도 문서로 리다이렉트 된다.[30] 영어에서 직역하였다. Advanced를 超(초월하다의 초)로, Micro를 微(미세하다의 미)[31] 중국어로 일반명사 사과가 '蘋果'이기 때문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보통 '蘋果公司'로 표기한다.[32] 럭키(구 한자표기 락희(樂喜))화학과 금성(金星)사가 합병하며 럭키금성그룹이 되었고, 이것의 머릿글자를 따서 LG라고 했던 것에서.[33] 微: Micro; 軟: Soft. 중국어로 소프트웨어는 軟件(Soft + Ware의 직역).[34] 한국어로는, 빠르고 좋은 통신을 만들자는 퀄리티 커뮤니케이션(quality communication)에서 퀄컴의 기업명이 나왔다[35] 파나소닉의 구 명칭인 마쓰시타(松下)를 중국 한자음으로 읽은 것[36] 휼렛(惠利特 후이리터)과 패커드(普克德 푸케더)의 중국어 표기를, 영문 표기 HP에서처럼 두문자 하나씩 따 왔다.[3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를 그대로 번역한 것("국제 상업 기기"). 그러나 이 표현보다는 IBM이라는 로마자 표기가 더 일반적이다. 위의 HP는 惠普라는 표기가 일반적이지만.[38] Intel이 흔히 Intelligent의 약자로 오해받는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영특(英特)이라는 뜻을 집어넣고 음도 비슷하게 맞춘 건 나름 초월번역.[39] 도달한다라는 뜻의 달(達)과 미국의 美를 써 미국 항공사라는 뜻과 미국으로 갈 수 있다는 뜻을 동시에 표현했다.[40] 이름의 유래가 된 모기업 한진그룹의 '진'은 進이기 때문에 의역이 아닌 음역이라 볼수 있다.[41] '즐거운(樂) 금융(金), 빠른(快) 금융(金)'이란 의미. 중국 진출 기념으로 국내에 아주 괴상한 센스의 광고를 내보낸 적이 있다. 항목 참조.[42] 이 기업은 과거 하이얼에게 기술지원을 했던 적이 있다. 여기서 립헬의 음차 표기에서 끝 두 자를 따서 하이얼의 사명이 유래했다.[43] 일본 기업 라쿠텐과 표기가 같다. 정작 롯데그룹의 모티브가 됐던 샤롯데의 중국식 표기는 '夏洛特'.[44] 花旗는 19세기에 성조기를 부르던 명칭으로 미국을 뜻하기도 한다. 베트남어로 미국을 지칭하는 Hoa Kỳ 역시 여기서 온 명칭.[45] 홍콩한정으로 90년대까지는 萬國普通銀行(만국보통은행)이란 표현을 썼으나 2000년대 들어서 花旗銀行으로 통일. 사실 엄밀히 말하면 '시티'라는 뜻과 음 모두 사용하지 않고 미국계 은행이라는 의미로 새로 만든 이름이다.[46] 汇丰(후이펑)은 부를 모으다(汇聚财富) 또는 풍부한 돈을 송금하다(汇款丰裕) 뜻을 조합한 단어다.[47] '하나'와 음이 같으면서 한국계은행이라는 의미도 약간 살리고 있다.[48] 2016년 에버랜드에 들어온 판다들인 아이바오러바오의 이름의 유래이기도 하다.[49] 홍콩 재벌 리카싱(李嘉誠)이 소유한 브랜드. 광동어로는 '왓산시'라고 한다.[50] 막상 국내 이마트 안내방송에서는 이 표기를 쓰지 않는다.[51] 한자를 직역하면 '보물같이 깨끗한(보결)'이라서 세제류를 주로 생산하는 P&G의 이미지에도 어느정도 부합한다.[52] 원래 SEIKO의 사명이 SEIKOSHA(精工舍)였다. 즉 한자 이름인 회사. (지금은 세이코 홀딩스라는 지주회사 산하로 조직되어 가나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