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권의 계파 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무학논쟁 | ||||||||||||||||||||||||||||||||||||||||||||||||||||||||||||||||||||||||||||||||||||||||||||||||||
무림 | 중간파[1] | 학림 | |||||||||||||||||||||||||||||||||||||||||||||||||||||||||||||||||||||||||||||||||||||||||||||||||
야비 | 정세 | ||||||||||||||||||||||||||||||||||||||||||||||||||||||||||||||||||||||||||||||||||||||||||||||||||
MC | MT(전민투) | ||||||||||||||||||||||||||||||||||||||||||||||||||||||||||||||||||||||||||||||||||||||||||||||||||
사회구성체 논쟁 시작 | |||||||||||||||||||||||||||||||||||||||||||||||||||||||||||||||||||||||||||||||||||||||||||||||||||
MC | 민족민주혁명(NDR) | 시민민주혁명 (CDR) | 민중민주혁명(PDR) | ||||||||||||||||||||||||||||||||||||||||||||||||||||||||||||||||||||||||||||||||||||||||||||||||
제1차 사회구성체 논쟁 | |||||||||||||||||||||||||||||||||||||||||||||||||||||||||||||||||||||||||||||||||||||||||||||||||||
MC | 삼민투(NDR) | 민중민주파(PDR) | |||||||||||||||||||||||||||||||||||||||||||||||||||||||||||||||||||||||||||||||||||||||||||||||||
자주민족투쟁위원회 (AIPDR) | 민족민주투쟁위원회(CPA)/헌법제정민주회의(CPC) | 민중민주파(PD)[2] | |||||||||||||||||||||||||||||||||||||||||||||||||||||||||||||||||||||||||||||||||||||||||||||||||
민족해방민중민주주의혁명 (NLPDR) | 제헌의회그룹(CA) CPA 다수파 | 제파PD CPA 소수파 | |||||||||||||||||||||||||||||||||||||||||||||||||||||||||||||||||||||||||||||||||||||||||||||||||
제2, 3차 사회구성체 논쟁 | |||||||||||||||||||||||||||||||||||||||||||||||||||||||||||||||||||||||||||||||||||||||||||||||||||
자민통 자주혁신 | 주체사상파 자주파 다수파 | 민족민주(ND) | 비주사파 NL 자주파 좌파/제헌의회그룹 다수파 | AP | AF | 제독PD | |||||||||||||||||||||||||||||||||||||||||||||||||||||||||||||||||||||||||||||||||||||||||||||
자주파(NL) | 평등파(PD)[3] | 21세기(21C)[4] | 제파PD | ||||||||||||||||||||||||||||||||||||||||||||||||||||||||||||||||||||||||||||||||||||||||||||||||
학생운동 | |||||||||||||||||||||||||||||||||||||||||||||||||||||||||||||||||||||||||||||||||||||||||||||||||||
진보대학생넷 한국대학생진보연합(대진련) | 너머 | 민달팽이 유니온 | 노동당 학생위원회 학생사회주의자연대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 | |||||||||||||||||||||||||||||||||||||||||||||||||||||||||||||||||||||||||||||||||||||||||||||||
노동운동 |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
국민파 전국회의 | 알바노조 | 청년유니온 | 현장파 전국결집 노동전선 | 중앙파 평등의길 | |||||||||||||||||||||||||||||||||||||||||||||||||||||||||||||||||||||||||||||||||||||||||||||||
정당 및 정치·시민사회단체 | |||||||||||||||||||||||||||||||||||||||||||||||||||||||||||||||||||||||||||||||||||||||||||||||||||
경기동부연합 인천연합 광주전남연합 함께서울 진보당 전국농민회총연맹 | 기본소득당 | 미래당 | 노동당 사회주의를 향한 전진 노동사회과학연구소 볼셰비키그룹 노동자연대 | 정의당 전환 | |||||||||||||||||||||||||||||||||||||||||||||||||||||||||||||||||||||||||||||||||||||||||||||||
|
대한민국 진보 진영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대한민국 진보정당 | ||||||||||||
김재연 | 용혜인 | 한창민 | 이백윤 | 이상현 | 손상우 | 권영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정치인 | 대통령 후보 | 조봉암 · 서민호 · 김철 · 홍숙자 · 백기완 · 권영길 · 김영규 · 금민 · 이정희 · 심상정 · 김선동 · 오준호 · 이백윤 · 김재연 | |||
주요 당대표 | 이우재(범민주) · 장기표(범보수) · 김혜경 · 천영세 · 조준호 · 노회찬 · 조승수 · 나경채 · 현린 · 용혜인 · 천호선 · 여영국 · 이정미 · 하승수 · 이성윤 · 김종훈 · 오태양 | ||||||||||||
소속 정치인 | 국회의원 · 당대표 | ||||||||||||
정파 | 평등파 | 중앙파 · 현장파 · 노동정치연대 · 평등사회네트워크 · 새진보통합연대 · 모멘텀 · 전환 · 노동자계급정당 추진위원회 · 노동자연대 · 전국노동조합협의회 | |||||||||||
자주파 | 국민파 · 인천연합 · 울산연합 · 광주전남연합 · 경기동부연합 · 겨레하나 | ||||||||||||
기타 · 신좌파 | 국민모임 · 21세기 · 참여계 · 글로벌 그린스 · 사회당계 · 새로운진보 | ||||||||||||
정당연대 | 진보동맹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그린뉴딜 포럼(정의당·녹색당·미래당 공동캠페인) ·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 · 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 · 노동자민중 사회주의 좌파 공동투쟁본부 · 정치개혁연합 (해체)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해체) · 녹색정의당 · 새진보연합 · 더불어민주연합 | ||||||||||||
역사 | 제1공-노태우 · 문민-이명박 · 박근혜-문재인 · 윤석열-현재 | ||||||||||||
관련 정당 | 대한민국당 · 민중민주당 | ||||||||||||
다른 진영 관련 문서 (민주당계 · 보수) |
1. 개요
아래로부터의 현장권력 쟁취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정파. 민주노총 내에서 국민파, 중앙파와 더불어 3대 세력으로 꼽힌다. 교섭과 대화보다는 총파업등의 투쟁을 중시하는 성향이다. 학생운동의 PD계열, 특히 제파PD 출신들이 많이 진출해 있다.
2. 명칭
자세한 내용은 중앙파 문서의 명칭의 시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현장파라는 하나의 조류는 그 이름보다 먼저 시작되었다. 정파의 분류에 앞서, 민주노총 내에서 급진적 마르크스주의를 따라 노동현장에서의 파업 투쟁을 중요시하는 이갑용, 유덕상, 조돈희등의 노동운동가들이 존재했다. [1] 이들은 노조 내에서도 급진적으로 평가받으며, 민주노총 내 좌파를 형성했다. 그러는 도중, 1998년, 금속노조의 자유게시판에 각 단위노조의 지도부들을 분류하여 평가한 익명의 글이 올라왔고 현장파, 중앙파, 국민파 라는 명칭은 여기에서 기인한다. #
현장파들 스스로는 좌파 내지는 좌단위라는 명칭을 선호하는데, 민족주의를 내세우는 국민파(전국회의 포함)나 현실 정치에 길들여진 중앙파와 달리 자신들이야말로 원래의 마르크스주의를 사수하는 진짜 좌파라는 뉘앙스가 강하다.
3. 특징
현장파는 세 개의 정파들 중에서 규모가 가장 작다. 2020년대 현재 전국회의가 55~60%이고 평등의길과 기타 정파 및 무정파가 대략 30~35%라면 현장파는 10% 정도라고 생각하면 대충 맞다. 그렇지만 전투적 노동운동과, 지속적인 학습과 이론교육을 통해 튼튼하고 알찬 조직을 가지고 있다. 그덕에 중앙파와의 연계할 수 있는 이슈가 생기거나, 조직 내 강경투쟁 분위기가 고조되어 전국회의와 접접이 생기는 정세에서는 민주노총의 주도권을 쥔 경우도 많았다. 예를 들어 한상균 전 위원장은 현장파 조직중 하나인 노동전선 소속이었다.의회 정치보다는 노동 현장 활동을 중시하여 대중적 진보정당 활동에는 적극적이지 않은 편이나, 대중정당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사회변혁노동자당과 합당한 노동당을 대체로 지지하는 편이며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양자대결에서도 오차 범위 이내가 아니라면 그 어느 쪽도 지지하지 않는다고 한다.
4. 관련된 인물과 단체
- 이갑용: 현장파 타이틀로 첫 당선된 민주노총 위원장. 노동당 대표 역임.
- 이백윤: 제20대 대통령 선거 노동당 후보, 현 노동당 대표
- 한상균(1962): 현장파인 노동전선과, 변혁적 현장실천 사회주의 노동자회의 지지를 받아 민주노총 위원장에 당선.
- 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노동전선): 민주노총 내 현장파 의견그룹. 반미 집회에도 참여하는 등 반제국주의 성향을 보인다. 민주노총 위원장을 배출할 정도로 현장파 의견그룹의 가장 주요한 조직이었으나 2022년경부터는 후술할 전국결집이 현장파 의견그룹으로 떠오르면서 노동전선의 현장 영향력은 감소했다.[2]
- 노동해방을 위한 좌파활동가 전국결집 (전국결집): 2022년경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민주노총 내 현장파 의견그룹. 현재 현장파에서 총연맹 후보조를 내보낼 수 있을 정도의 역량이 있는 그룹이다. 사실상 한상균 전 위원장이 소속된 노동전선의 포지션을 물려받은 셈이다.
- 노동당 : 현장파 계열이 지지하던 법외정당 사회변혁노동자당과 2022년 합당하여 현장파의 대표정당이 되었다. 이갑용이 바로 이쪽 소속
- 노동사회과학연구소(노사과연) : 정통 마르크스-레닌주의 연구 단체. 흐루쇼프의 수정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반수정주의[3] 성향으로, 국내 운동권 단체 중 친소련 성향이 가장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스 공산당과도 가까우며, 관련 자료들을 많이 올리기도 하며, 공식적으로 번역하여 출판한 책들이 몇권 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위에 언급된 단체들과 달리 이론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주로 현실사회주의 국가 소련을 여러 근거와 연구를 바탕으로 방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언급된 이유는 이들이 노동전선에 아주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23년 말에 청년위원회가 독단적 운영에 항의하며 집단 탈퇴하면서 아예 진보당으로 넘어가 버리면서 2024년 현재에는 영향력이 축소되었다.
- 공공운수현장활동가회의 (공활모): 공공운수노조 내의 현장파 그룹. 두 차례 도전 끝에 2023년 공공운수노조 직선 4기 위원장을 배출했다.[4] #
- 교육노동자현장실천: 전교조 내의 현장파 그룹.
- 민주노조 재건 금속 민주노동자 투쟁위원회: 금속노조 내의 현장파 그룹.
[1] 물론 현재 이들은 마르크스주의랑은 거리가 있고 민주사회주의와 신좌파 성향을 띈다. 현재 현장파는 이들과 거리가 있는 다른 마르크스주의자들이다.[2] 노동전선은 좌단위에서 거의 유일하게 범민련에도 참여하는 조직이었다. 노동전선의 영향력이 감소한 이유는, 좌단위 내에서 이념 지형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는데, 전국노동자정치협회(노정협), 후술할 노사과연 청년위원회 등이 북, 중국,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 지지를 이유로 반북중러가 대세인 좌단위에서 밀려나 아예 진보당계로 넘어가버렸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노동전선의 영향력도 자연스럽게 전국결집에 밀리게 된 것. 전국결집은 2023년 민주노총 위원장 선거 공약에서도 볼 수 있듯이 좌파판 양국 체제론을 거론하고 있는 상황이다.[3] 이오시프 스탈린 시기의 소련 사회를 옹호하는 흐름의 반수정주의를 의미한다. 물론 반수정주의 성향인 만큼 마오쩌둥에 대해서도 우호적인 편이다.[4] 처음으로 위원장을 배출한 2023년 직접선거는 가히 이변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갈수록 온건화되는 공공운수노조에서 가장 강성인 후보조가 본선 1위를 하는 것도 모자라 결선에서는 공공에서 무시 못할 세력을 유지하고 있는 평등의길(중앙파) 후보조와 1:1로 붙어 이겼다. 이에 대해 공공운수노조 내에서 세력을 키우고 있는 NL 성향 전국회의의 몰표가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있다. 전국회의의 공공운수노조 내 영향력은 서비스연맹이나 건설 등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전국회의의 이태환이 공공운수노조 공항항만운송본부장을 거쳐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으로 올라가는 등 공공운수노조 내에서도 전국회의가 큰 영향력을 떨치는 단위가 있기에 삼파전 구도가 나오고 있다. 전국회의가 경쟁 관계인 현장파를 밀어준다는 게 이해가 안 될 수도 있지만, 강성 투쟁 성향과 중앙파·정의당에 대한 반감이라는 공통분모가 있어서 산별과 사업장 단위에서는 전국회의와 현장파가 뭉쳐 중앙파를 견제하기도 하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엄길용 후보조는 전국회의와 연대하지 않았지만, 전국회의는 공공운수노조에 아직 독자 출마를 낼 수는 없는 상황에서 평등의길 위원장만은 막자면서 자체적으로 엄길용을 밀어준 것이다. 다른 지역본부에서는 전국회의와 현장파가 아예 공동 선본까지 구성해서 당선되기도 낙선하기도 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