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극좌단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6.25 전쟁 이전 | 조선공산당† · 남조선신민당† · 남조선로동당† · 조선인민유격대† |
6.25 전쟁 이후 | [[운동권| 학생단체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 대학생겨레하나 · 전국학생행진† · 21세기 한국대학생연합† · 진보대학생넷 · 한국대학생진보연합(대진연)[[종북| 종북단체 ]] 주체사상파† · 반미청년회† · 자주일보† · 자주시보 · 위인맞이 환영단 · 백두칭송위원회[[시민단체| 사회단체 ]] 한국진보연대 · 노동자연대 · 인천연합 · 울산연합 · 광주전남연합 · 경기동부연합[[대한민국의 극좌정당| 극좌정당 ]] 민중민주당(2017년) · 국민주권당(2023년) · 민중당(2017년)† · 민중연합당† · 사회변혁노동자당† | |
이적단체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 · 조국통일범민족연합(범민련)† · 코리아연대† · 일심회간첩† ·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인민노련)† · 충북동지회간첩† · 사이버민족방위사령부† · 자주민보† | |
위헌정당 | 통합진보당† | |
반국가단체 | 통일혁명당† ·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 ·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 남한조선노동당 중부지역당간첩† · 구국전위간첩† · 민족민주혁명당† | |
†표시는 해산하거나 활동을 중단한 단체 |
대한민국의 주요 대학생운동단체 (NL 계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1987~19931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1993~20112 | 21세기한국대학생연합 2005~2018 해산3 | 진보대학생넷 2017~현재 | 한국대학생진보연합 2018~현재 |
1: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건설 준비위원회’를 발족하기로 결의하며 자진 해산. 2: 이적단체 지정. 3: 진보당에 속한 구 전국연합 계열은 진보대학생넷을 결성했고, 이후 국민주권당을 창당하는 주권연대 계열의 남은 조직은 한국대학생진보연합으로 계승. | }}}}}}}}} |
겨레하나 Korea Council for Unification Movement (KCUM) | |
| |
설립일 | 2004년 |
이사장 | 조성우 |
소재지 | 서울 서대문구 경기대로 63 |
형태 | 시민단체 |
홈페이지 |
1. 개요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는 2004년 남북의 화해와 평화, 통일을 바라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좌파 성향의 시민단체이다. 2019년 겨레하나로 명칭을 변경했다. #2. 역사
2004년 NL 운동권 정파 가운데 하나인 ‘인천연합’이 주도해 설립되었으며# 민족 화해 및 통일 준비를 위한 시민단체로 창설되었다. 통일에 대해 국민적 관심을 환기시키고 조속한 남북통일을 준비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3. 활동
북녘어린이영양빵공장, 평양치과병원 건립 등 대북인도적지원사업과 남북독도토론회, 평양유적답사 등 남북사회문화교류 사업을 진행해 왔다. 남북대학생교류, 남북강제징용 공동 토론회 등을 추진 중이다.역사 관련 활동에 적극적으로 부산 일본 영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 건립에 참여했으며, 부산 외에도 전국 각지의 소녀상 건립에 참여했다.
강제징용노동자 상 건립도 진행하며, 일본 제국의 전쟁범죄 행위에 대한 사죄를 일본에 요구하는 강제징용사죄배상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2019년에 발생한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한 반발로 강제동원 사죄배상을 촉구하는 활동 활발하게 벌였며, 일본 전범기업을 상대로 피켓시위를 펼치는 등 민간 부문 외교적 항의 활동을 진행했다.
2020년 6월 남북합의안 파기 대해서 미국 간섭 배제, 한미워킹그룹 해체 시위, 대북전단 살포 반대 시위 등을 펼치고 있다.
주한미국대사관 앞에서 한미연합군사연습 반대 기자회견을 하는 등 반미 성향을 보이고 있다. #
야권 비례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비례후보 1번을 맡을 예정이던 전지예 금융정의연대 운영위원이 12일 후보를 사퇴키로 했다. 전 운영위원이 한·미 연합훈련 반대 시위를 벌여온 반미 성향 단체 ‘겨레하나’에서 활동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었다. 기사
4. 사건사고
4.1. 초등학생 대상 서울시민환영단 엽서 배포 논란
영상 기사
논란이 된 내용은 행사에 사용된 엽서로, 전면에는 행사활동에 관련된 내용이 적혀있으나 후면에는 해당 학교에 통일수업으로 행사신청서가 접수된 것과는 달리, 서울시민 환영단을 모집하는 가입서가 적혀 있었다.
이에 언론에서는 미성년을 대상으로 한 노골적인 정치활동이며 학교측에 신청한 내용과 판이하게 달랐다며 즉각 보도했고, 겨레하나 측은 '통일교육의 일부였으며 일부 직원의 실수로 엽서가 사용된 것일 뿐, 정치적 사심이 담긴 것은 아니었다.'라고 해명했다.
이에 겨레하나 측은 정정보도, 반론보도를 통해 반박했다. # #
4.2. 대북지원금 회계내역 논란
기사겨레하나는 2014~15년 2년간 약 18억원을 모금해 15억여 원을 대북지원 및 운영비로 사용했다. 북한에 직접 목적사업비로 썼다고 공시한 금액은 4억 7000여 만원이다.
문제는 북한에 지원했다고 밝힌 금액이 실질적으로 어디에 사용됐는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겨레하나 측은 국세청 공시에서 2014년과 2015년 2년간 지출한 15억여 원의 대북지원비 용처를 제대로 밝히지 않았다. 매달 수천만 원 이상의 기부금을 지출했다고 공시하면서 지급처는 한 건도 적지 않은 것이다. 다만, 지급목적 항목에 '대북지원 및 운영'이라고만 일괄 기입했다.
4.3. 국회 개최 토론회 北 전쟁관 수용 발언 논란
기사겨레하나, 국가보안법7조폐지운동 시민연대, 전대협동우회, 남북민간교류협의회 민족위원회 등 20곳에 이르는 시민 단체가 공동 주최한 ‘남북 관계 근본 변화와 한반도 위기 이해–평화 해법 모색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긴급 토론회에서 김광수 이사장은 최근 북한의 대남 기조 변화와 관련, “최후의 방법이긴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전쟁이 일어난다면, 통일 전쟁이 일어나 그 전쟁으로 결과의 평화가 만들어질 수 있다면, 그 전쟁관도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