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21:38:28

현대백화점 미아점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현대백화점/점포
,
,
,
,
,

파일:현대백화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백화점
천호점
신촌점 미아점 목동점
중동점 판교점 킨텍스점 부산점
울산점 충청점
유플렉스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3%> 판교점 ||<width=33.3%> 신촌점 ||<width=33.3%> 중동점 ||
충청점 디큐브시티
프리미엄아울렛
김포점 송도점 대전점
시티아울렛
동대문점 가산점 대구점
* 공식 웹 사이트 기재순
}}}}}}}}} ||

<colbgcolor=#48665a><colcolor=#fff> 미아점 (2001)
파일:미아점(현대백화점).jpg
연계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미아사거리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길음역
개점일 2001년 8월 31일
휴무일 새해 첫날, 추석, 설날 당일
영업 시간 월요일 ~ 목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금요일 ~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30분
공휴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30분
소유 현대백화점
지점장 오형만 상무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 315 (길음동)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문화][공연][갤러리]

1. 개요2. 상세3. 층별 안내4. 매출5. 경쟁 점포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 315 (길음동)에 위치한 현대백화점 지점.

2. 상세

서울특별시 동북부의 대표적인 지역 상권 중 하나인 미아사거리에 위치해있다. 인근 미아사거리역 중심에는 롯데백화점 미아점를 비롯, Y-스퀘어와 이마트 미아점까지 모여 있어 큰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사실 미아사거리역의 터줏대감은 신세계백화점 미아점이었는데, 2001년 훨씬 큰 규모로 현대백화점이 들어오면서 점차 밀려나기 시작하더니 2006년 롯데백화점까지 미아점에 진출하자 결국 버티지 못하고 폐점했다. 그리고 이마트로 변경되면서 현재의 이마트 미아점이 되었다.

이렇듯 미아사거리 근처는 대기업 백화점들이 앞다퉈 진출하던 거대 상권이었고, 현대백화점 미아점 역시 세 대기업 백화점 중에 가장 잘 나가며 한때 4,000억 원대의 연 매출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매출이 점차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명품 브랜드와 핵심 매장이 다소 부족했던 데다가[4] 미아동 상권 자체의 위치가 무척이나 애매하기 때문이었다. 서울 지하철 4호선을 타고 사당 방면으로 20분 정도 가면 롯데백화점 본점신세계백화점 본점이 있다.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20분 정도 가면 롯데백화점의 중형급 점포인 롯데백화점 노원점이 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도태될 수 밖에 없는 구조. 더욱이 현대백화점 미아점은 미아사거리에 바로 붙어 있다보니, 정작 미아사거리역과는 거리가 다소 떨어져있다.[5]

그래도 여전히 롯데백화점 노원점과 함께 서울 동북부 상권을 대표하는 백화점인 만큼, 현대백화점 측에서도 꾸준한 리뉴얼을 진행하고 있다. 2019년 버버리, 코치, 에트로 등이 철수한 1층을 한섬의 편집샵 톰그레이 하운드를 비롯하여 산드로, 마쥬, DKNY, 폴로 랄프로렌컨템포러리 브랜드를 중심으로 매장을 개편했다. 이외에도 LG전자삼성전자의 고급 매장을 비롯해서 명품 브랜드 편집 매장[6]을 입점시키는 것은 물론 트렌드에 맞추어 2020년에는 식당가와 식품관도 리뉴얼을 마쳤다.

현대백화점 측에서는 근처의 미아동~길음동의 재개발 단지에 기대를 걸고 있는 듯. 실제로 백화점 바로 뒤에 롯데캐슬 클라시아 아파트와 래미안 길음 센터피스 아파트가 들어섰고, 해당 지역 주민들이 부담없이 도보로 방문할 수 있는 거리라 이마트 미아점이 닫는 날 등에 가벼운 마음으로 쇼핑하러 오는 고객이 많다.

3. 층별 안내

||<table 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48665a><table bgcolor=#ffffff,#1f2023><colbgcolor=#48665a><colcolor=#fff><width=20%> 11F || 하늘정원 ||
10F 문화홀·고객서비스라운지·CAFE H
9F 식당가·문화센터
8F LIVART·SPA
7F 리빙
6F 아동·스포츠·골프
5F 남성패션·아웃도어
4F 영캐주얼·진스트리트
3F 여성패션·구두·핸드백
2F 여성캐주얼·잡화·h'315
1F 컨템포러리·화장품
B1 식품·대행사장
B2~B5 주차장

4. 매출

<colbgcolor=#46665a><colcolor=white><rowcolor=white> 연도 순위 연 매출 신장률
2016년 27위 4,102억 원 -
2017년 28위 3,976억 원 -3.1%
2018년 28위 3,912억 원 -1.6%
2019년 29위 3,701억 원 -5.4%
2020년 30위 3,283억 원 -11.3%
2021년 35위 3,235억 원 -1.5%
2022년 41위 3,122억 원 -3.5%
2023년 42위 2,809억 원 -10%

롯데백화점 노원점과 함께 서울특별시 동북부 상권을 대표하는 백화점으로 연 매출 3,000억 원대를 꾸준히 유지했던 점포지만 위치가 위치인 만큼 2016년에 4,102억 원을 정점으로 연 매출은 갈수록 하락하는 추세다.

2017년 3,975억 원을 시작으로, 2018년 3,912억 원, 2019년 3,710억 원으로 꾸준한 역신장을 기록해왔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의 대유행으로 전년 대비 -11.3% 역신장을 기록한 연 매출 3,283억 원을 기록했다.

2023년에는 연 매출 2,809억 원을 올리며 전국 42위를 기록했다. 코로나 보복 소비나 리뉴얼의 효과를 보지 못한 채 매출이 코로나 시기 못지 않을 정도로 크게 빠졌다. 과거를 생각해보면 미아 상권이 얼마나 침체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5. 경쟁 점포

6. 둘러보기

||<-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f2023>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백화점 ||
파일:강남구 CI.svg
강남구
파일:강동구 CI.svg
강동구
파일:강북구 CI.svg
강북구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강서구
파일:관악구 CI.svg
관악구
롯데백화점 강남점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
갤러리아 명품관
신세계백화점 수서역점
현대백화점 천호점 롯데백화점 미아점 롯데백화점 김포공항점
NC백화점 강서점
롯데백화점 관악점
파일:광진구 CI.svg
광진구
파일:구로구 CI.svg
구로구
파일:금천구 CI.svg
금천구
파일:노원구 CI.svg
노원구
파일:도봉구 CI.svg
도봉구
롯데백화점 건대스타시티점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
NC백화점 신구로점
- 롯데백화점 노원점 -
파일:동대문구 CI.svg
동대문구
파일:동작구 CI.svg
동작구
파일:마포구 CI.svg
마포구
파일:서대문구 CI.svg
서대문구
파일:서초구 CI.svg
서초구
롯데백화점 청량리점 - - 현대백화점 신촌점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파일:성동구 CI.svg
성동구
파일:성북구 CI.svg
성북구
파일:송파구 CI.svg
송파구
파일:양천구 CI.svg
양천구
파일:영등포구 CI.svg
영등포구
- 현대백화점 미아점 롯데백화점 잠실점
NC백화점 송파점
현대백화점 목동점
행복한백화점
롯데백화점 영등포점
더현대 서울
신세계백화점 타임스퀘어점
파일:용산구 CI.svg
용산구
파일:은평구 CI.svg
은평구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svg
중구
파일:중랑구 CI.svg
중랑구
- NC백화점 불광점 - 롯데백화점 본점
신세계백화점 본점
-



[문화] 문화 센터[공연] 문화홀 현대백화점의 문화 공연장[갤러리] 갤러리H 현대백화점 갤러리[4] 과거엔 버버리, 코치, 에트로 등이 입점해있었다. 현재는 모두 철수.[5] 반면 롯데백화점 미아점은 미아사거리역에서 바로 연결된다. 물론 그럼에도 매출은 롯데가 한참 밀리지만...[6] 린드버그 안경, 구찌, 프라다, 지방시 등 명품 브랜드의 잡화 제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한다.[7] 롯데 미아점은 아예 역에서 바로 연결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